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백암선생문집」에 수록된 교서문에 관한 연구 / 朴文烈 1

〈초록〉 1

〈ABSTRACT〉 2

1. 서언 3

2. 백암의 생애와 사상 3

2.1. 백암의 생애 3

2.2. 백암의 사상 6

2.3. 『백암선생문집』 7

3. 종계변무와 반사교서문 10

3.1. 종계변무 11

3.2. 〈종계반무반사중외교서〉 19

4. 송당 유홍과 교서문 21

4.1. 송당 유홍의 평가 21

4.2. 〈교함경감사유홍서〉 27

5. 결론 30

〈참고문헌〉 31

초록보기

본 연구는 栢巖 金?(1540-1616)의 ?栢巖先生文集?에 수록된 敎書文에 관하여 考究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栢巖은 嘯? 朴承任(1517-1586)과 錦溪 黃俊良(1517-1563) 및 退溪 李滉(1501-1570)의 門下에서 受學하였다. 忠直한 爲政思想과 勤勉充實한 牧民思想의 소유자였을 뿐 아니라, 奉先思想과 顯揚思想 그리고 愛鄕心과 儀節心도 강한 人物이었다. 저술로는 ?栢巖先生文集? 6卷 4冊이 있다.

(2) ?栢巖先生文集? 卷3의 敎書篇에는 栢巖이 王命으로 찬술한 <宗系辨誣頒赦中外?書>와 등의 敎書가 수록되어 있다.

(3) <宗系辨誣頒赦中外?書>는 1584(선조 17)년 11월에 宗系辨誣가 일단락된 뒤에 宣祖의 命으로 撰述된 敎書文이다. ?宣祖實錄?과 ?光國志慶錄?에 수록되지 않고 있으나 史料로서 귀중한 價値를 지니고 있는 敎書이다.

(4) 는 1581(선조 14)년 1월에 宣祖가 후일 宗系辨誣를 完決하고 平難功臣과 光國功臣으로 策勳되는 松塘 兪泓을 咸鏡道觀察使로 보내면서 내린 敎書이다. 宣祖의 命으로 撰述된 敎書임에도 ?宣祖實錄?과 ?松塘集?에 收錄되지 않고 있으나 當時의 北邊事情을 짐작할 수 있는 史料로서 귀중한 價値를 지니고 있는 敎書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King’s Message included in Baekamseonsaeng-munjip by Baekam(栢巖) Kim Reuk(金?, 1540-1616).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Baekam studied under Park Seungim(朴承任, 1517-1586), Hwang Junryang (黃俊良, 1517-1563) and Yi Hwang(李滉, 1501-1570). He was not only a faithful politician who governed the people kindly, but also a very courteous and patriotic person who sincerely respected his ancestors and his native place. The Baekamseonsaeng-munjip, 6 volumes in 4 books, is the collection of his works.

(2) In the third volume of the Baekamseonsaeng-munjip, the King’s Messages titled as Jongyebyeonmu-bansajungoegyoseo and Gyohamgyeonggamsa- Yuhongseo are contained. These two messages were written by the order of King Seonjo.

(3) Although Jongyebyeonmubansa-jungoegyoseo was written by the order of King Seonjo in 1584, it was not recorded in Seonjo-silrok and Gwangguk-jigyeongrok. However, it is still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4) Gyohamgyeonggamsa-Yuhongseo was written, when King Seonjo later appointed Songdang Yu Hong the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in 1581. It was not recorded in Seonjosilrok and Songdangjip, but still a very useful material which could show the circumstances of northen frontiers at that tim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향산삼체법」에 관한 서지적 연구 강순애 pp.5-32

보기
충청감영과 청주목의 간행도서에 관한 분석 金聖洙 pp.33-63

보기
「백암선생문집」에 수록된 교서문에 관한 연구 朴文烈 pp.65-96

보기
「국조보감」 1848년 간본의 각수에 관한 연구 김상호 pp.97-117

보기
조중회 신행 「전별시첩」에 관한 연구 金東煥 pp.119-149

보기
권춘란의「진학도」에 관한 연구 宋日基 ;盧基春 pp.151-183

보기
강백년의「옥하만록」연구 오용섭 pp.185-213

보기
이우의「송재선생문집」에 관한 연구 김순희 pp.215-233

보기
초조장 「어제비장전」판화의 저본과 판각에 대한 연구 柳富鉉 pp.235-258

보기
금속활자의 산청토를 이용한 밀랍주조법 실험 연구 曺炯鎭 pp.259-293

보기
「천청문경」에 대한 고찰 김은미 pp.295-325

보기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金玏 著, 金瑋 編. 「栢巖先生文集」. 木版本. [刊行地未詳]: [刊行者未詳], [英祖48(1772)]. 미소장
2 金虎勇. 「光國志慶錄」에 관한 硏究. 淸州, 淸州大學校大學院, 2007. 碩士學位論文. 미소장
3 金虎勇. “「光國志慶錄」에 관한 硏究.” 「古印刷文化」. 第14輯. 淸州: 淸州古印刷博物館, 2007. 61-108. 미소장
4 栢巖先生儒稧 編. 「栢巖先生略傳」. 榮州: 栢巖先生儒稧, 2008. 미소장
5 朴文烈. 「忠北의 冊版」. 學術叢書2. 淸州: 淸州大學校博物館, 2006. 미소장
6 朴文烈. “「光國志慶錄」의 版本과 校勘.” 「古印刷文化」. 第14輯. 淸州: 淸州古印刷博物館, 2007. 179-220. 미소장
7 백암 김륵의 생애와 저술에 관한 연구 소장
8 兪泓 著, 兪伯曾 編. 「松塘集」. 木版本. [刊行地未詳] : [刊行者未詳], [仁祖 20(1642)]. 미소장
9 李櫶 等受命編. 「光國志慶錄」. 木版本. [刊行地未詳]: [刊行者未詳], [英祖 20(1744)]. 미소장
10 春秋館 編. 「太祖實錄」. 影印本. 서울: 國史編纂委員會, 1986. 미소장
11 春秋館 編. 「太宗實錄」. 影印本. 서울: 國史編纂委員會, 1986. 미소장
12 春秋館 編. 「中宗實錄」. 影印本. 서울: 國史編纂委員會, 1986. 미소장
13 春秋館 編. 「明宗實錄」. 影印本. 서울: 國史編纂委員會, 1986. 미소장
14 春秋館 編. 「宣祖實錄」. 影印本. 서울: 國史編纂委員會, 1986. 미소장
15 春秋館 編. 「宣祖修正實錄」. 影印本. 서울: 國史編纂委員會, 1986. 미소장
16 春秋館 編. 「光海君日記」. 影印本. 서울: 國史編纂委員會, 1986. 미소장
17 春秋館 編. 「正祖實錄」. 影印本. 서울: 國史編纂委員會, 198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