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중년여성의 경제활동과 노후소득보장제도 가입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李貞和 ; 文相皓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韓國政策學會, 2010.06.30
수록지명
韓國政策學會報. 제19권 제2호 (2010년 6월), pp.129-159, 313
자료실
[서울관] 전자자료,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0096819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중년여성의 경제활동과 노후소득보장제도 가입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李貞和 ; 文相皓 1

[요약] 1

I. 서론 2

II. 선행연구의 검토 6

III. 연구 설계 7

1. 연구대상과 분석의 틀 7

2. 연구의 전제조건에 관한 설명 8

3. 변수의 설정 9

IV. 실증분석 결과 12

1. 자료의 특성 12

2. 여성의 경제활동과 인적조건이 국민연금제도 가입에 미치는 영향 16

V.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3

1. 연구결과의 정리 23

2. 정책적 시사점 24

【참고문헌】 28

Abstract 32

초록보기 더보기

급속한 고령화 추세로 인하여 노후소득대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여성노동자에 대한 현재의 노후소득보장제도는 취업자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상품의 종류 및 선택의 폭이 비교적 획일적이어서 낮은 경제활동참가율과 잦은 경력단절, 재취업 시 근로조건의 하향화로 특징지어 지는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소요(needs)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중년 여성들의 경제활동 특성이 현재의 노후대비 경향 및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자료는 국민연금공단의 국민노후보장패널(KRelS) 서베이데이터(2005년, 2007년)를 사용하였으며, 만 40세 이상 59세 이하(2007년 기준) 여성의 경제활동 관련 조건(경제활동유형, 근속연수, 시작?종료 연도)이 노후보장제도 가입에 미치는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진행 중인 경제활동 상태뿐 아니라 ‘과거’의 경제활동조건(‘경제활동유형’)이 노후보장제도의 적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이는 빈번한 생애주기적 사건(혼인?출산?양육 등)으로 인한 근로조건의 하향화 혹은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중년여성들의 정책소요(policy needs)를 내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여성들의 연금제도 가입 형태를 통하여 국민연금제도가 중년여성의 주된 노후소득원으로 기능한다는 해석이 가능하였으며, 국민연금 강제가입의 성격은 국민보장 이외의 대체 노후보장제도와 참여가 미약한 반면 국민의 고령화와 수명연장이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의 사회보장 수준과 현실에서 여성이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노후보장 장치에 의하여 보호받도록 유도하는 데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정책당국이 중년여성의 노후보장 필요와 경제활동의 특이성에 대한 충분한 성찰을 통하여 노후소득보장제도를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중년여성의 노후준비 인식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In the modern societies, the pension systems are getting more significant with rapidly aging population.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pension system of Korea is mainly focused on currently employed workers and that it does not properly meet the special care needs of female workers, who are characterized by unique features of employment patterns such as low rates of economic activities, discontinuity of careers, and deterioration of employment conditions after getting back to work. As a result, the current pension scheme of Korea is not believed to provide sufficient and reliable coverage of female labor force participants (LFP), most of whom are supposed to work on and off, frequently affected by family-related affairs - marriage, delivery, and child care, and so on.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ctivities of female workers and their enrollment in the national pension plan. The two-year biennial panel data (2005, 2007)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lS), prepared by the National Pension Corporation, was used for the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middle-aged (40-59) female workers' work conditions (i.e., types of employment, length of services, starting/ending years of work) and enrollment within the National Pension Scheme (NPS).

We find that the 'past' economic activities of the middle-aged (40-59) female work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nrollment in the pension plan and that the National Pension Scheme (NPS) was the major post-retirement source of income for the working-aged (40-59) female workers. Considering the relatively low rates of enrollment in the National Pension Scheme (NPS), despite rapidly increasing life-expectancies, we suggest that a carefully designed national level income maintenance programme, properly reflecting the patterns of female labor supply and discontinuity of careers, would greatly help female workers have economically self-reliant life in their post-retirement year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보건의료 정책과정에서의 옹호연합(Advocacy Coalitions)의 형성과 작동 :의약분업 및 의료보험통합 논쟁 사례의 비교·분석 金淳陽 pp.1-44, 30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교육경비보조제도를 통해 표출된 지방교육수요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嚴泰皓 ;黃素河 pp.45-78, 31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보건복지부 국고보조사업의 지방이양'과 '분권교부세 제도 도입'이 이양사업에 대한 사업비 규모에 미친 효과 분석 張德熙 pp.79-103, 31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저출산 유인요소와 대응정책에 관한 분석 金玟柱 pp.105-128, 31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중년여성의 경제활동과 노후소득보장제도 가입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李貞和 ;文相皓 pp.129-159, 313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에너지빈곤의 개념 및 정책대상 추정에 관한 연구 陳尙炫 ;朴恩哲 ;黃仁昌 pp.161-181, 31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지속가능한 소비를 위한 국제 기후변화 대응방안 :생산 중심적 배출통계의 교정을 중심으로 尹順眞 pp.183-215, 31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법·질서 확립 수준의 결정요인 분석 :1984-2007년 기간 동안 99개 국가를 대상으로 李昌茂 ;申鉉仲 pp.217-243, 31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정책이전과 확산과정 연구 :일본의 매니페스토 운동 사례를 대상으로 河東賢 pp.245-273, 31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성과의 영향요인 연구 :공기업 지식관리시스템(KMS)을 중심으로 李洪宰 pp.275-305, 318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6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Inequality and the Polarization of After-retirement Income and Redistribution Effect of Public Pension on the Income of the Old-Aged 소장
2 강성호·김경아. (2008). “노동시장 참여형태별 성별 노후소득수준 격차 분석”. <한국노동패널 제9회 학술대회논문집>. 미소장
3 Factors Determining Participation in Social Security Programs 소장
4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http://www.nps.or.kr). 미소장
5 권기헌. (2008). <정책학: 현대정책이론의 창조적 탐색>. 서울: 박영사. 미소장
6 The Expected Effect of National Pension Scheme on Poverty Reduction 소장
7 기혼여성의 고용형태에 따른 가정내 성평등에 관한 연구 소장
8 여성 무급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 : 2004년 한국사례 소장
9 김계수. (2007) . 한나래출판사. 미소장
10 A Study of Women`s Labor Market Transitions over the Life Cycle 소장
11 The Estimation of Old-age Income Security Take-up Rates in Korea: in the Aspects of Multi-pillar System 소장
12 김우영·권현지. (2008). “비정규 일자리 결정의 동태성과 성별 비정규직 비중의 격차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4: 5-43. 미소장
13 여성가구주의 특성 및 경제활동 분석 : 여성배우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소장
14 주부의 연금수급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우리나라 국민연금제도에 기초하여 소장
15 An Analysis of Cohort Variation in Women Labor Force Participation 소장
16 민현주·안상수·황정미. (2008). “한국 여성 삶의 변화와 미래 아젠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건국 6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발표 연구보고서. 미소장
17 박경숙. (2007). “노년의 제도화와 복지”. <사회양극화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 구상>. 풀빛 출판사. 미소장
18 The Longitudinal Research on the Korean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소장
19 박영란·황정임. (2002). “사회보험제도의 여성수급현황 및 성 인지적 개선방향”. <한국여성개발원>. 62: 1-22. 미소장
20 The Change of Female Non-standard Workers` Employment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소장
21 The Concept of ‘Women’ in Individual Model and Public Pension Policy 소장
22 서병선. (2007). “가계생산과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국제경제연구>. 10(1): 141-167. 미소장
23 Income Gap and Differences of Income Sources between Older Women and Men 소장
24 공적연금의 사각지대 : 실태, 원인과 정책방안 소장
25 The Choice of Self - Employment and Career Interruption Among Females 소장
26 신동면. (2006). “한국의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선택적 친화성”. <한국정치학회>. 40(1): 115-138. 미소장
27 The Essence of the Retirement Financing and the Role of the Three-Tiered Old Age Security System 소장
28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Status of Female-Headed Household 네이버 미소장
29 여성의 단시간근로 : 그 선택과 동기 소장
30 양재진·정형선·김혜원·이종태. (2008). <사회정책의 제3의 길>. 백산서당 출판사. 미소장
31 생애과정이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 : 생애사건연쇄분석 소장
32 이성림. (2004). “미취업 여성의 미취업 원인에 관한 연구: 의중임금과 시장임금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27(1): 135-164. 미소장
33 A Study on Improvement of National Pension System for Ensuring Elderly Women`s Incomes 소장
34 이정우. (2003). “이혼여성을 위한 분할연금제도의 개선방안”. <사회보장연구>. 19(2): 63-95. 미소장
35 老後所得 擔保裝置로서 國民年金 積立基金의 有用性에 관한 硏究 소장
36 이행숙. (1997). “주부의 노후경제생활 기대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3): 1-18. 미소장
37 한국국민연금의성 불평등구조:가입과 급여의 적격성을 중심으로 소장
38 임병인·전승훈. (2008). “공적연금자산과 개인연금 :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이용한 분석”. <국민노후보장패널 제1회 학술대회논문집>. 미소장
39 장지연·부가청. (2001). “숨겨진 선택 : 기혼여성노동자의 일과 자녀양육”. <여성연구>. 2(65): 149-179. 미소장
40 장지연·호정화. (2003). “여성 미취업자의 취업의사와 실업탈출과정 : 미취업기간 탈출률의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5(4): 159-188. 미소장
41 은퇴 후 필요소득수준과 국민연금 및 퇴직연금의 자산충분성 소장
42 정무권. (2007). “한국 발전주의 생산레짐과 복지체제의 형성”. <한국사회정책학회>. 제14집. 미소장
43 한국여성의 경제활동 : 구조변화와 과제 소장
44 조선일보. (2010). “베이비붐 세대 ‘2010년 쇼크’”. 창간 90주년 연중기획. 미소장
45 A study on the Change of Married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네이버 미소장
46 The Determinants of Married Women's Employment Status 소장
47 Causes of Poverty among the Elderly Women throughout the Life Cycle 소장
48 고령화사회의 노후 소득보장 제도 소장
49 국민연금법 개정방안에 대한 고찰 소장
50 통계청 홈페이지 (http://www.kosis.kr). 미소장
51 최윤희. (2010). <한국의 사회지표>. 미소장
52 한국여성연구소. (2005). <새 여성학 강의>. 동녘 출판사. 미소장
53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1). <사회보험제도의 여성수급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미소장
54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여성 연금수급권 확대를 위한 국민연금제도 개선방안 연구 : 개별수급권을 중심으로>. 미소장
55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2007 여성통계연보>. 미소장
56 A Study on the Policy Process and Welfare Politics of National Pension Service Change in Korea 소장
57 홍경준. (2007). “한국 복지체제의 성격과 재설계”. <사회양극화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 구상>. 풀빛 출판사. 미소장
58 Gender Differences in Pensions 네이버 미소장
59 Ginn, Jay. & Arber, Sara. & Street, Debra. (2001). Women, Work and Pensions:International issues and prospects. Buckingkingam: Open University Press. 미소장
60 Gender differences in pension wealth: estimates using provider data. 네이버 미소장
61 OECD. (2009). Pensions at a Glance: Retirement-Income Systems in OECD Countries. 미소장
62 OECD. (2007). “Chapter 5: Public social spending in the context of rapid population ageing”. OECD Economic Surveys. 103-148.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