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기업별노조의 산별노조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유병홍 1
〈요약〉 1
I. 서론 2
II. 산별노조 전환 현황과 선행연구 고찰 3
2.1. 산별노조 전환 현황 3
2.2. 선행연구 고찰과 새로운 연구방향 모색 5
III. 연구모형과 가설 7
3.1. 연구 이론 7
3.2. 산별노조 전환 영향요인과 가설 9
IV. 실증분석 15
4.1. 연구방법 15
4.2. 실증분석 결과 17
V. 결론 22
5.1. 연구결과 종합 22
5.2. 연구 시사점과 한계 23
5.3. 연구 한계와 새로운 연구 방향 24
참고문헌 26
[요약] 29
민주노총 소속 노조들은 오래 전부터 산별노조전환을 목표로 해왔는데 이런 목표는 일정한 성과를 거두어서 금속노조, 공공노조 등 여러 산별노조들이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제기를 하고 그에 대한 실증연구를 한다. 첫째, 산별노조전환에서 노조별 차이를 가져오는 구조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둘째, 각각의 구조요인은 산별노조 전환 촉진과 저해 중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산별노조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노조의 행위자요인은 무엇이 있는 가?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구조요인이 산별노조 전환을 촉진 또는 저해하는 영향을 미친다. 둘째, 산별노조 전환과 관련하여 행위자요인으로 노조운동지도부의 전략적 선택, 기업별노조의 활동성과 다른 노조의 산별노조 전환이 영향을 미친다.셋째, 산별노조 전환에서 민간부문과 공공부문 특성이 해당 부문 노조에게 영향을 미친다.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첫째, 한국 산별노조 전환에서 목적의식성, 전략적 선택이 한 역할에 대해 제한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둘째, 이 연구는 행위자요인이 산별노조 전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행위자요인은 단지 개별조직이 갖고 있는 요인만이 아니라 해당조직이 속해 있는 상급단체, 해당조직이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조직의 영향도 포함한다. 셋째, 한국 노조 약화에 따라 과거와 같이 산별노조 전환이 많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산별노조 전환, 미전환 노조 공존상태가 당분간 지속될것으로 보인다.
Aiming to transfer from its enterprised based structure to the industrial based
for long years, some of unions affiliated to the Korean Confederations of Trade
Unions(hereafter the KCTU) such as metal industry unions and public sector
unions have finally succeeded in building industrial based union structure.
The transformation related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tructural and
actor factors. Furthermor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union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Sample sizes are 277 unions from metal and public sectors including both those which already have succeeded in transferring to industrial unions and those which have not yet transferred. This study used event history analysis method.
The result showed that firstly, structural factor facilitates or impedes the transformation to industrial unionism. Secondly, the actor factor, the strategic
choice by union leaders, the level of activism of each enterprised unions, and the success of transformation of other unions influenced in transferring to industrial unionism. Lastly, the transformation of unions varied by sector,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 in that, firstly, the strategic
choice played a limited role in transferring to industrial unionism in Korea.
Secondly, however, actor factor has influenced in transformation. Actor factor in this study includes not only each individual enterprise level union but also the umbrella federations and the other organizations in relations to the each union.
Thirdly, unions taking transformation process would not as many as before due to the weakening influential power of Korean labor union movements and for a while those unions which already joined industrial union will coexist with others of enterprise based.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조직정치와 조직시민행동, 직무긴장, 이직의도와 관계 및 조직지원 인식의 매개효과 | 배성현 ;김미선 | pp.1-30 |
|
보기 |
양면성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조직화 양식 | 배종석 ;박오원 | pp.31-68 |
|
보기 |
여성 근로자의 개인 및 직장 상황이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영향 | 김효선 ;차운아 | pp.69-104 |
|
보기 |
기업별노조의 산별노조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유병홍 | pp.105-133 |
|
보기 |
중국진출 한국기업에서 인사부서의 전략적 참여, 경쟁전략, 몰입형 인사시스템 및 기업성과간의 관계 | 이용진 ;김성수 | pp.135-166 |
|
보기 |
기업조직에서 자기기만과 리더십효과성 | 구자숙 ;서상태 ;최해연 | pp.167-195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2004), 2004 금속노동조합 실태조사 결과보고 | 미소장 |
2 | 금속산별노조건설추진위원회(2000), 금속산별노조건설추진위원회사업보고 | 미소장 |
3 | Restructuring of the Korean financial industry and trade union movement: since IMF bail-out crisis of 1997 | 소장 |
4 | 김재훈, 이종래(2004), 노동조합의 조직과 리더십: 금속노조의 사례, 한울 아카데미 | 미소장 |
5 | 김태현(2004), 산별노조운동의 현단계, 한국노동연구원 | 미소장 |
6 | 민주노총, 각년도 사업보고 | 미소장 |
7 | 송경일, 최종수(2008), SPSS 15를 이용한 생존자료의 분석, 한나래, 서울. | 미소장 |
8 | 산별노조지역조직의 민주집중제의 현황과 과제 : 4개 부산지역조직의 경우 | 소장 |
9 | 국내 산업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 소장 |
10 | 이재형(2007), 우리 산업의 경쟁구조와 산업집중 분석: 광공업 및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KDI, 서울 | 미소장 |
11 | IMF 경제위기와 한국의 노사관계 변화 | 소장 |
12 | Articles : Pressure toward Centralization and Changes in Collective Bargaining Structure | 소장 |
13 | Evaluation of Collective Bargaining at the Industry-level : The Case of Korean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 | 소장 |
14 | Organizational Dilemma of the Industrial Unions in Korea: the Case of Korean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 | 소장 |
15 | 임영일(1998), 한국 노동체제의 전환과 노사관계. 「경제와 사회」통권 제40호 | 미소장 |
16 | 임영일(2000), 노동체제 전환과 산별노조: 현황과 쟁점, 「경제와 사회」제48호 | 미소장 |
17 |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연맹, 2005, 공공연맹 현장간부합동수련회 자료집 | 미소장 |
18 |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연맹, 각년도 사업보고와 대의원대회 회의자료 | 미소장 |
19 | 전국금속산업연맹, 각년도 사업보고와 대의원대회 회의자료 | 미소장 |
20 | 정진상(2006), 산별노조 전환과 노조간부의 의식: 연맹별 비교. 정진상 외, 2006, 산별노조 건설운동과 노조간부의 의식, 한울 아카데미. | 미소장 |
21 | 정진상, 주무현, 이진동(2003), 금속노동조합과 금속노조 지도자, 정진상, 주무현, 이진동, 한울 아카데미 | 미소장 |
22 | 조성재(2006), 결론. 한국노동연구원, 2006, 2006년도 노사분규 실태분석 및 평가-완성차 부문 | 미소장 |
23 | 조성재, 조준모, 조동훈, 이종현, 황선웅(2007), 노사관계 및 노동조합의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노동부 | 미소장 |
24 | 조효래(2005a), 산별노조 지부의 조직과 운영. 김재훈, 조효래, 2005, 노동과 조직, 그리고 민주주의, 한울 아카데미 | 미소장 |
25 | 조효래(2005b), 노동조합 조직연구의 동향과 쟁점. 김재훈, 조효래, 2005, 노동과 조직, 그리고 민주주의, 한울 아카데미 | 미소장 |
26 | The Transition to Industrial Union and The Change of Collective Identity in the White-Collar Unions | 소장 |
27 | The Diversity of Method of Capital Accumul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Bargaining Structure in the Metal Industry | 소장 |
28 | Institutional and Competitive Bandwagons: Using Mathematical Modeling as a Tool to Explore Innovation Diffusion ![]() |
미소장 |
29 | Environments of Organizations ![]() |
미소장 |
30 | Behrens, M., Hurd, R., and Waddington, J.(2004), How does restructuring contribute to union revitalization? in Frege, C and Kelly, J. 2004, Varieties of unionism: Strategies for union revitalization in a globalizing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1 | Carroll, G. and M. Hannan(1995), Organizations in industry: Strategy, Structure and Sele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2 | Chaison, G.(2001), Union mergers and union revival. In Turner, L. Katz, H. C., and Hurd, R. W. (eds.), 2001, Rekindling the movement: Labor's quest for relevance in the 21st centur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3 | Child, J. (1972) Organization Structure. Environment and performance: The role of strategic choice. Sociology. Vol. 6. | 미소장 |
34 | The Dynamics of the Adoption of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in Organizations ![]() |
미소장 |
35 | Planning for Change: Determinants of Innovation in U.S. National Unions ![]() |
미소장 |
36 |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 |
미소장 |
37 | The changing union and bargaining landscape: union concentration and collective bargaining trends ![]() |
미소장 |
38 | Fiorito, J., Gramm, C. L., and Hendricks, W. E.(1991), Union structural choices. in George Strauss, Danniel G. Gallagher, Jack Fiorito, (Eds.), 1991, The state of the unions, IRRA. | 미소장 |
39 | Frege, C and Kelly, J. (2004), Union strategies in comparative context. In Frege, C and Kelly, J. 2004, Varieties of unionism: Strategies for union revitalization in a globalizing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0 | Heery, E. (2003), Trade unions and industrial relations. in Ackers, P., and Wilkinson (Eds.), 2003, Understanding work and employment: Industrial relations in trans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1 | Constraints on the Adoption of Psychology-Based Personnel Practices: Lessons From Organizational Innovation ![]() |
미소장 |
42 | Globalization, Financial Crisis, and Industrial Relations: The Case of South Korea ![]() |
미소장 |
43 | Kochan, Thomas A., Harry C. Katz, (1988), Collective Bargaining and Industrial Relations: From theory to policy and practice. | 미소장 |
44 | The Public-Private Distinction in Organization Theory: A Critique and Research Strategy ![]() |
미소장 |
45 | Pfeffer, J., (1982),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 theory, Pitman Books Ltd. | 미소장 |
46 | Scott, W. R., (2003), Organizations. Rational, Natural, and Open Systems (5th ed.). Pearson Education, Inc. | 미소장 |
47 | Turner, L. (2004), Why Revitalize? Labour's urgent mission in a contested global economy. In Frege, C and Kelly, J.(Eds.), 2004, Varieties of unionism: Strategies for union revitalization in a globalizing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8 | Windmuller, J. P., (1987),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parties. in Windmuller, J. P. (Ed.), Collective bargaining in market economies: A reappraisal, ILO, Geneva.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