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노동수급 자급률 측면의 마산, 창원, 진해 행정구역 통합 효과에 관한 연구 / 남기성 ; 오민홍 1
요약 1
1. 서론 1
2. 도시권역과 이론적 배경 3
2.1. 도시권(역) 3
2.2. 이론적 배경 4
3. 마산, 창원, 진해의 노동시장 분석 5
3.1. 노동이동에 대한 분석 5
3.2. 노동시장에서의 행정구역 통합 효과 6
4. 결론 9
참고문헌 10
Abstract 11
본 연구의 목적은 마산, 창원, 진해 간 노동수급 자급률을 분석하여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행정구역통합의 노동시장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산업·직업별고용구조조사를 활용하여 거주지 주소와 직장 주소를 기초로 각 도시의 노동공급 자급비율과 노동수요 자급비율을 분석하여 단일노동시장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행정구역통합 이후의 변화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행정통합 이전 이들 세 도시는 단일노동시장으로 평가하기에 도시간 근로자의 유출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마산, 창원, 진해시 행정통합은 노동수요 자급비율과 노동공급 자급비율을 모두 상향시킴으로써 이들 지역을 단일노동시장권화 시키며, 도시의 성격도 노동지역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지역노동시장 활성화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일자리 수가 많고, 근로자 유입률이 높은 창원시를 중심으로 한 행정구역의 통합이 각 도시간 시너지를 확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행정구역통합에 있어서 대상지역의 시장특성과 관련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며, 행정구역통합의 차선책으로서 표준도시통계권의 도입 필요성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recent provincial integration in the aspect of labor market. Based on the concept of travel-to-work area, the study used Occupational Employment Survey to calculate self-containment rate of labor demand and supply before and after the integration of the targeted provinces. Before the integration each targeted city seems to have lower rate of self-containment with over inflow or outflow of workers, whereas the provincial integration made the rate of self-containment larg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ions were an ex-ante travel-to-work area and thus the integration would make the labor market more efficient. In addition, our result implies that the integration would be more effective when Changwon, a city with relatively more jobs, takes the lead in the new spatial policy. Finally, as the second best option, introducing SMSA would be beneficial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provincial system and the effect of provincial integration.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e Study of Job Character Using Cluster Analysis | 소장 |
2 | A Study on Prescribe of Regions Characteristic Use Concentration of Job Distribution | 소장 |
3 | Analyzing Spatial Ripple Effects Using Jobs-Housing Distribution | 소장 |
4 | 지역노동시장은 존재하는가? | 소장 |
5 | A Study on Imputation Method for Wage Data in OES(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 소장 |
6 | Wagner's Law vs Keynesian View: A Causality Test of Local Government Expenditure and Production Applying Data of 6 Major Cities in Korea | 소장 |
7 | 이상호 (2008). 한국 지역노동시장의 구조와 동학에 관한 세 가지 연구, 경북대학교 경제학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Local Labour Market Areas in Spain: A Case Study ![]() |
미소장 |
9 | Kerry L. Papps, James O. Newell (2002). Identifying Functional Labour Market Areas in New Zealand: A Reconnaissance Study Using Travel-to-Work Data, IZA Discussion Paper, No. 443. | 미소장 |
10 | OECD (2002). Disparities in Regional Labour Markets, OECD Employment Outlook. | 미소장 |
11 | Reality versus Policy: The Delineation and Testing of Local Labour Market and Spatial Policy Area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