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담론민주주의와 시민참여 : 21세기 마을회의를 중심으로 / 박재창 1

[요약] 1

1. 서론 2

2. 정보사회의 도래와 대의민주주의의 한계 5

3. 대안민주주의의 모색과 담론참여 10

1) 대안민주주의의 모색 10

2) 담론 참여의 일반원리 15

4. "21세기 마을회의" 제도의 사례 19

1) 등장배경 19

2) 운영실제 22

5. 21세기 마을회의 제도의 평가 27

1) 회의 이전 단계 27

2) 회의 진행 단계 29

3) 회의 이후 단계 33

6. 결론 35

참고문헌 39

Abstract 42

초록보기

담론민주주의에 대한 사회적인 수요가 높은 때에 등장한 '21세기 마을회의'는 시민참여의 한 양식으로서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 수천 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토론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집단지성의 집적을 기도한다. 소규모 집단의 대화에 의존한다는 점에서는 친밀감에 기초한 학습과정을 전제한다. 무엇보다도 비공식적인 시민사회의 의견을 권위적인 공적 의사로 전환하는 성격을 지녔다. 보다 가시적이고 구체적인 성과 배출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는 과업지향적인 참여 양식의 하나다. 다양한 정보와 시각이 균형 있게 반영되도록 했다는 점에서는 정부 정책의 정당성, 적실성, 수용성을 높이고 시민사회의 기대에 부응하는 효과가 크다. 시민참여를 통해 정부 정책이 수정, 보완된다는 점에서는 정책 과정의 투명성, 책무성, 신뢰성을 높인다. 정부의 역할을 단순히 관리기능론적인 차원에서만 이해하는 것도 아니며 그렇다고 해서 권력론적인 시각에서만 이해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양자 간의 상호작용에 착안하고 주목하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민사회의 '민주화' 지표 국제비교 :대표성, 책무성, 투명성, 자율성, 인권을 중심으로 주성수 pp.5-34

보기
우리나라 시민사회단체의 책무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임승빈 pp.35-55

보기
담론민주주의와 시민참여 :21세기 마을회의를 중심으로 박재창 pp.57-98

보기
민간공급 서비스의 공공생산 최재송 pp.99-126

보기
한국 마이크로크레딧의 현황과 과제 최홍관 pp.127-174

보기
방리유, 프랑스 공화주의의 이면 : 「공존의 기술」, 이기라·양창렬 외 지음 <서평> 김태수 평 pp.175-180

보기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stablishing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NGOs' participation to policy process 소장
2 박재창. 2008. “시민권과 지구시민사회: 지구 거버넌스의 모색.” 한국정책과학 학회보 . 미소장
3 행정자치부. 2004. Policy Process 참여모델 시범적용 계획. 홍찬식. “인터넷 마녀사냥.” 「동아일보」. 2008. 6. 9. 미소장
4 「경향신문」. “촛불민심은 공안 통치로 끌 수 없다.” 2008. 5. 27. 미소장
5 AmericaSpeaks. 1996. “How Sustainable Is Your Community’s Citizen Involvement?” Washington D. C. 미소장
6 AmericaSpeaks. 2000. “Citizen-Driven Strategic Management of Municipal Governance.” Washington D. C. 미소장
7 AmericaSpeaks. 2007. “Going Beyond the Up or Down Vote?” Washington D. C. 미소장
8 Patriotic, not deliberative, democracy 네이버 미소장
9 Castells, Manuel. 1996.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Volume 1. The Information Ag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Malden MA: Blackwell. 미소장
10 Coase, R. H. 1998. The Firm, the Market and the Law.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11 Cohen, Joseph Nathan. 2007. “The Impact of Neoliberalism, Political Institutions and Financial Autonomy on Economic Development, 1980–2003.”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ology, Princeton University. Defended June 2007. 미소장
12 Coleman, Stephen. 2005. Direct Representation: Towards a Conversational Democracy. Th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UK. 미소장
13 Fishkin, James, 1991. Democracy and Deliberation: New Directions for Democratic Reform.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4 Forester, John. 2001. The Deliberative Practitioner. MIT Press. 미소장
15 Fung, Archon and Erick Olin Wright. 2003. Deepening Democracy: Institutional Innovations in Empowered Participatory Governance. The Real Utopias Project IV. NY: Verso. 미소장
16 Goldman, Joe and Hasselblad, Torres Lars. 2004. “Approaches to Face-Face Deliberation in the U. S.” Washington D. C.: AmericaSpeaks. 미소장
17 Civil society and the problem of global democracy 네이버 미소장
18 Gramberger, Marc. 2001. Citizens as Partners: Information, Consult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Paris: OECD. 미소장
19 Jon, Elster. 1998. “Deliberation and Constitution Making.” in Jon Elster. (ed.). Deliberative Democra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8. 미소장
20 Levine, Peter. 2000. The New Progressive Era. Lanham, MD: Rowman, and Littlefield. 미소장
21 Taking Democracy to Scale: Creating a Town Hall Meeting for the Twenty‐First Century 네이버 미소장
22 Taking Democracy to Scale: Large Scale Interventions-for Citizens 네이버 미소장
23 Lukensmeyer, Carolin J. and Torres, Lars Hasselbald. 2003. “Deliberation for Community Planning and Economic Development.” Washington D. C.: AmericaSpeaks. 미소장
24 McBurney, Peter, Hitchcock, David and Parsons, Simon. 2004. “The Eightfold Ways for Deliberation Dialogue.” http://www.humanities.mcmaster.ca/~hitchckd/dd.pdf (검색일: 2008.9.2.) 미소장
25 McGann, Anthony J. and Latner, Michael. 2006. “Consensus Without Veto_Players: Testing Theories of Consensual Democracy.” Center for the Study of Democracy.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미소장
26 Ministry of Housing, Spacial Planning, and the Environment(MHSPE). 1997. Government Communi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Hague: Netherland. 미소장
27 Nino, Carlos S. 1996. The Constitution of Deliberative Democrac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8 Osborne, David and Plastrik, Peter. 1997. Banishing Bureaucracy: The Five Strategies for Reinventing Government. Reading, MA: Addison-Wesley. 미소장
29 Peters, Guy B. 1996. The Future of Governing: Four Emerging Models. Lawrence, KS: University Press of Kansas. 미소장
30 Polletta, Francesca. 2003. “The Big Idea: Citizen Planners.” City Limits. December. 미소장
31 Rheingold, Howard. 2002. Smart Mobs: The Next Social Revolution. Cambridge, MA: Perscus. 미소장
32 Only the `Activist State' Can Defend General Welfare 네이버 미소장
33 Scholte, Jan Aart. 2001. “Civil Society and Democracy in Global Governance.” CSGR Working Paper. 65(01). Coventry: UK. University of Warwick. 미소장
34 Sclove, R. 1995. Democracy and Technology. NY: Guildford Press. 미소장
35 Stern, Paul and Fineberg, Harvery. 1996. Understanding Risk.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미소장
36 Torres, Lars Hasselblad, Streufert, Ben, and Goldman, Joe. 2004. “Approaches to Online Public Engagement.” Washington D. C.: AmericaSpeaks. 미소장
37 Torres, Lars Hasselblad, Gunn, Rosemary, Bernier, Roger and Leighninger, Matthew. 2004. “The Deliberative Agency: Opportunities to Deepen Public Participation.” Deliberative Democracy Consortium Discussion Pape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