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조선서화 감정과 근거 자료의 운용 : 1850년 이후에 제작된 안견<몽도원도>제첨 '몽유도원도'와 위작 정선<계상정거도> 등을 중심으로 / 이동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형연구소, 2009.12.31
수록지명
조형 아카이브. 2009년 제1호 (2009년 12월), pp.251-302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제어번호
KINX2010114374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조선서화 감정과 근거 자료의 운용 : 1850년 이후에 제작된 안견〈몽도원도〉 제첨 '몽유도원도'와 위작 정선〈계상정거도〉 등을 중심으로 / 이동천 1

[저자소개] 1

- Abstract - 3

- 목차 - 5

I. 들어가는 말 6

II. 조선서화 감정에 있어서 근거 자료의 운용 10

1. 시대적 특징 11

1) 소릉에 쓰인 안견〈몽도원도〉 제첨 '몽유도원도' 감정 11

2) 현재 반연 현상이 나타난 1850년 이후 조선서화 위조에 쓰인 새로운 연분 감정 19

2. 개인적 특징 28

1) 1000원권 지폐 뒷면에 실린 위작 정선〈계상정거도〉(보물 585호) 감정 28

2) 정선의 법고창신 필묵을 근거한 위조 작품 감정 47

III. 남은 말 49

표1. '몽유도원도'와 왕희지, 조맹부, 안평대군, 신숙주, 박팽년 글씨 비교. 15

도1. 중위작〈전 정곤수 초상〉과 〈전 정곤수 초상〉의 X선 사진. 9

도2. 작가미상, 안견〈몽도원도〉의 '몽유도원도' 글씨, 19세기 말 20세기 초, 소릉에 먹, 38.6×6㎝, 일본 천리대학교 중앙도서관. 12

도3. 박팽년, 〈몽도원서〉부분, 1477년, 쇄금전지에 먹, 38.7×85.7㎝, 일본 천리대학교 중앙도서관. 12

도4. 이현로, 〈몽도원도부〉부분, 1477년, 쇄금전지에 먹, 38.7×200.6㎝, 일본 천리대학교 중앙도서관. 12

도5. 왕희지 글씨로 집자한 '몽유도원도'. 13

도6. 조맹부, 〈이체천자문책〉부분, 종이에 먹, 24.7×25㎝ 북경 고궁박물원. 13

도7. 조맹부, 〈이체천자문책〉중 '유'·'도'부분, 종이에 먹, 24.7×25㎝, 북경 고궁박물원. 13

도8. 조맹부 글씨로 집자한 '몽유도원도'. 13

도9. 안평대군, 〈몽도원도〉제기에서 집자한 '몽유도원도'. 14

도10. 안평대군, 〈몽도원도〉자작시 중 '몽도원' 글자. 14

도11. 신숙주와 박팽년의 〈몽도원도〉 제발 글씨에서 집자한 '몽유도원도'. 14

도12. 나이토 고난의 1929년 논문에 '안평대군 제'로 수록된 '몽유도원도'와 자작시. 16

도13. 오창석, 〈금착도〉, 1912년, 소릉에 먹, 142×42㎝, 일본 종과원정. 16

도14. 두루마리 장표 형식. 17

도15. 안견〈몽도원도〉와 장표 앞부분. 18

도16. 안평대군, 〈몽도원도〉자작시, 1450년, 비단에 주묵, 38.6×25㎝, 일본 천리대학교 중앙도서관. 19

도17. 작가미상, 〈이최중 초상〉, 19세기 말, 비단에 색, 59.3×47㎝, 국립중앙박물관. 24

도18. 강세황, 〈복천오부인팔십육세진〉, 1759년경, 비단에 색, 78.3×60.1㎝, 개인. 24

도19. 임웅, 〈화훼도권〉 부분, 1854년, 비단에 색, 34.5×345.5㎝, 북경 고궁박물원. 25

도20. 진사증, 〈화훼사조지삼〉, 1918년, 종이에 색, 173×43㎝, 천진인민미술출판사. 26

도21. 오경림, 〈매화도〉, 종이에 수묵담채, 22.7×27.4㎝, 서울대학교 박물관. 25

도22. 장승업, 〈삼인문년〉, 비단에 색, 152×69㎝, 간송미술관. 26

도23. 안중식, 〈남훈화당〉, 1909년, 비단에 색, 158.5×45.7㎝, 간송미술관. 26

도24. 이도영, 〈이정맥맥〉, 1919년, 비단에 색, 28.5×21.5㎝, 간송미술관. 26

도25. 김은호, 〈달마도해〉, 비단에 색, 32.5×19.6㎝, 간송미술관. 26

도26. 김은호, 〈모란〉, 종이에 색, 24×36㎝, 간송미술관. 26

도27. 위작, 정선, 〈금강내산〉, 비단에 색, 28.2×33.6㎝, 고려대학교 박물관. 27

도28. 정선, 〈금강내산총도〉, 1711년, 비단에 수묵담채, 37.5×35.9㎝, 간송미술관. 27

도29. 정선, 〈금강내산총도〉, 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 32.5×49.5㎝, 간송미술관. 27

도30. 위작, 정선, 〈계상정거도〉, 1746년, 종이에 수묵, 25.4×40㎝, 개인, 보물 585호. 28

도31. 위작, 정선, 〈무봉산중도〉, 1746년, 종이에 수묵, 32.5×22.3㎝, 개인, 보물 585호. 28

도32. 위작, 정선, 〈풍계유택도〉, 1746년, 종이에 수묵, 32.5×22.3㎝, 개인, 보물 585호. 28

도33. 위작, 정선, 〈인곡정사도〉, 1746년, 종이에 수묵, 32.5×22.5㎝, 개인, 보물 585호. 28

도34. 정만수가 뜬 발문의 위치. 31

도35. 이황, 〈회암서절요서〉부분, 1558년, 종이에 먹, 개인, 보물 585호. 31

도36. 김홍도, 〈서당〉, 종이에 수묵담채, 27×22.7㎝,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31

도37. 김진여 등, 〈기해기사첩〉부분,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929호. 32

도38. 장경주 등, 〈삼세도상첩〉부분, 개인. 32

도39. 정선, 〈우화등선〉, 1742년, 비단에 수묵담채, 33.1×93.8㎝, 개인. 33

도40. 정선, 〈웅연계람〉, 1742년, 비단에 수묵담채, 33.1×93.8㎝, 개인. 33

도41. 정선, 〈불정대〉, 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 33.6×25.6㎝, 간송미술관. 33

도42. 정선, 〈총석정〉, 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 32×24.3㎝, 간송미술관. 34

도43. 정선, 〈문암〉, 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 32.8×25㎝, 간송미술관. 34

도44. 정선, 〈삼부연〉, 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 31.4×24.2㎝, 간송미술관. 34

도45. 정선, 〈화적연〉, 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 32×25㎝, 간송미술관. 35

도46. 정선, 〈만폭동〉, 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 32×24.8㎝, 간송미술관. 35

도47. 정선, 〈칠성암〉, 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 31.9×17.3㎝, 간송미술관. 35

도48. 〈우화등선〉의 암벽. 35

도49. 〈불정대〉, 〈총석정〉, 〈문암〉의 산. 35

도50. 잠미. 35

도51. 『개자원화전』중 난시준. 36

도51. 난시준 부분 36

도52. 〈웅연계람〉의 나무. 36

도53. 〈삼부연〉, 〈화적연〉, 〈해산정〉의 나무. 36

도54. 정선, 〈웅연계람〉발문, 1742년, 종이에 먹. 37

도55. 〈화적연〉, 〈문암〉, 〈단발령망금강〉의 관지. 37

도56. 〈불정대〉, 〈만폭동〉의 암벽. 38

도57. 위작 〈계상정거도〉중 천연대. 38

도58. 정황, 〈문암〉, 모시에 수묵담채, 23×16.5㎝, 국립중앙박물관. 38

도59. 위작 〈계상정거도〉부분. 38

도60. 〈우화등선〉부분. 41

도61. 〈웅연계람〉부분. 41

도62. 작가미상, 〈유점사도〉, 비단에 수묵담채, 53.5×37㎝, 일본 유현재. 41

도63. 정선, 〈피금정〉,1711년, 비단에 수묵담채, 35.8×33.6㎝, 국립중앙박물관. 41

도64. 〈우화등선〉부분. 41

도65. 정선, 〈화강백전〉, 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 32×24.9㎝, 간송미술관. 41

도66. 정선, 〈장안사비홍교〉,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 32×24.8㎝, 간송미술관. 42

도67. 정선, 〈단발령망금강〉, 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32.2×24.4㎝, 간송미술관. 42

도68. 정선, 〈총석정〉 기와집, 1711년, 비단에 수묵담채, 38.3×37.5㎝, 국립중앙박물관. 42

도69. 정선, 〈해산정〉 기와집, 1711년, 비단에 수묵담채, 26.8×37.6㎝, 국립중앙박물관. 42

도70. 정선, 〈장안사〉 기와집, 1711년, 비단에 수묵담채, 36.6×37.5㎝, 국립증앙박물관. 42

도71. 〈우화등선〉 기와집. 42

도72. 〈총석정〉 기와집. 42

도73. 정선, 〈해산정〉 기와집, 1747년, 비단에 수묵담채, 33.5×25.4㎝, 간송미술관. 42

도74. 위작 〈계상정거도〉 기와집. 42

도75. 〈화적연〉, 〈삼부연〉, 〈만폭동〉의 물결. 43

도76. 위작 〈계상정거도〉 물결. 43

도77. 〈웅연계람〉 물가. 44

도78. 위작 〈계상정거도〉 물가. 44

도79. 위작 〈계상정거도〉 작품을 둘러싼 부분[양료]. 45

도80. 〈우화등선〉, 〈웅연계람〉의 산. 46

도81. 위작 〈계상정거도〉에 묘사된 도산. 46

도82. 위작 〈계상정거도〉에 묘사된 서취병. 46

도83. 고극공, 〈횡운수령도축〉, 비단에 색, 182.3×106.7㎝, 대북 고궁박물원. 47

도84. 동기창, 〈방고산수도책(지팔)〉, 종이에 수묵, 29.4×22.8㎝, 상해박물관. 47

도85. 미가산수 화법의 그림 그리는 순서. 48

도86. 유재소, 〈산수도〉, 1849년, 종이에 수묵담채, 17.4×22.1㎝, 국립중앙박물관. 48

도87. 변종위작, 정선, 〈단발령망금강〉, 종이에 수묵, 국립춘천박물관. 48

도88. 변종위작, 정선, 〈정양사〉, 종이에 수묵, 국립춘천박물관. 48

도89. 변종위작, 정선, 〈미법산수도〉, 비단에 수묵, 22.4×16.7㎝, 서울대학교 박물관. 48

도90. 변종위작, 정선, 〈목멱산〉, 비단에 수묵담채, 18.1×16.7㎝, 고려대학교 박물관. 48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