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안기숙 ; 유은정 1
요약 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3. 용어 정의 3
II. 연구방법 4
1. 연구대상 4
2. 연구 설계 5
3. 측정 6
4. 연구 절차 6
5. 자료 분석 8
III. 연구결과 8
1.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과 수용어휘력 8
2.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과 표현어휘력 10
3.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과 화용적 행동 11
IV. 논의 및 제한점 13
1. 연구방법에 관한 논의 14
2. 연구결과에 관한 논의 15
V. 결론 및 제언 15
참고문헌 16
Abstract 18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에게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을 적용하여 어휘력과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5~6세의 발달장애아동 3명이었으며, 총 24회기의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어휘력은 수용 어휘력과 표현 어휘력으로 나누어 AB설계로 변화를 측정하였고, 화용적 행동은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로 매회기별 빈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은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어휘습득에 흥미와 동기를 제공하여 어휘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은 발달장애아동의 화용적 행동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자발적으로 표현을 유도하며, 대화체의 노랫말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의미 있는 의사소통 표현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아동의 어휘의 습득과 화용적 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tegrative singing activity program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and pragmatic ac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enrolled the private developmental center in B city with the age of 5 to 6 were chosen in this research and thirty minutes per session intervention program was administered twice a week. Vocabulary acquisition divided into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was measured by AB design and by using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the frequency of pragmatic acts was measured on each stage.
By applying interventio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ntegrative singing activity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acquisi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 words of a song was changed to the level of children and the chosen words were familiar to them, this helped motivation to improve vocabulary.
Second, integrative singing activity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pragmatic ac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various activities, it induced children to express voluntarily in natural situation and the words of the song with conversational style affected improving convers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that applied integrative singing activity program is very effective on vocabulary acquisition required to communication and show positive effect on pragmatic ac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점숙 (2004). 전래동요를 이용한 언어훈련이 자폐아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효과. 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김성수, 김화수, 이상봉, 황보명 공역 (2010). 언어발달.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3 | 김숙경 (1995). 한국전래놀이노래. 청맥. | 미소장 |
4 | 김은진 (2003). 전래놀이가 경도장애아동의 어휘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지혜 (2006). 놀이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서봉연, 유안진 (1982). 인간발달. 서울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7 | 연진희 (2005). 확장된 환경중심언어중재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이보옥 (2009). CAI를 이용한 언어치료가 발달장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취학전 아동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이상숙 (2007). 전래동요지도가 발달장애아와 지적장애아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습득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이상연 (2001). 노래부르기를 통한 언어지도가 언어발달지체아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이주경 (1996). (유아를 위한)신체표현. 빛남. | 미소장 |
12 | 임춘경 (2005). 상징놀이를 통한 언어중재가 발달장애 유아의 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조윤정 (2006). 동요부르기가 자폐아동의 어휘습득 및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최병상 (2000). 동요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한국교육개발원 (1981). 한국아동의 언어발달연구: 음운발달 및 어휘발달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6 | 한국어린이육영회. (1994). 한국 전래동요의 통합적 활동을 위한 큰 책. 한국 어린이 육영회 | 미소장 |
17 | 허윤진 (2004). 미술을 통한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수준향상 사례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Owens, R. E. (1995). Language disorder -A functuinal approach to assessment and intervevtion. MA: Allyn & Bacon | 미소장 |
19 | Schulberg, C. D. (1981). The Music Therapy Source book. New York: Human Science, 1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