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드라마 〈신데렐라 언니〉 콘텐츠 요소 연구 / 함복희 1
1. 서론 1
2. 드라마 〈신데렐라 언니〉의 콘텐츠 특성 3
1) 스토리텔링 3
2) 캐릭터 11
3) 화법 14
4) 소통과 치유 21
3. 결론 29
참고문헌 31
Abstract 32
Although in this society where the digital media dominates our daily
lives, the drama contents are still playing a leading role as a
communication media for public understanding. Whatever has changed
is that the contents range is becoming wider due to the variations on
the original epic work. This shows not only that drama contents reflect
the various public needs, but they also accept the complexity of ways of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diverse television
image contents including Satellite DMB, Terrestrial DMB, HDTV.
Drama
transmitted as several editions in the oriental region as well as in Great
Britain, France and German. Hence, the drama forms the drama
enthusiasts, receiving variable evaluations from its viewers. At the
same time it contributes in many ways to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s,
since it showed the potential that the folk tale in particular, the
traditional fairy tale can become drama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extraction of the
narrative tendency in the social media’s storytelling,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drama contents based on the ideas that
can be reinvented a drama for the adult population.
Drama
character in the original version. Therefore the drama focuses on the
main character Eun-jo’s story while developing the process of
confrontation and reconciliation with the extra characters. Specifically it
focuses how the characters including the main character overcome their
psychological wounds and the communication obstacles. Considering this
as the base of drama features analysis, this study furthermore analyzes
the storytelling, characters, narrations, and healing/communicating
among characters in the version of drama, which is recreated from the
folk tale
While the folk tale
story, the drama version progresses focused on Cinderella’s stepsisters
and stepmother. The characters in Drama
of human communication yet, they may learn progressively how to
communicate as integrating into the situation of controversy. In other
words, the original
the former wife’s daughter and the stepmother’s daughters, centered on
the stepmother, and the poor treatment toward the former wife’s one, as
a consequence Cinderella’s overcoming this sort of situation. When it
come to Drama
their own wounds themselves,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overcoming their obstacles. It means the key point of storytelling in
Drama
upwardly mobile and successful life, but their learning communication,
realizing the existence of other people, and finally healing one’s own
wound progressively.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칭찬담화 상황에서 반응어로 나타나는 담화표식에 관한 연구 | 金貴花 ;李燦揆 | pp.7-30 |
|
보기 |
체언말 자음의 수의적 변이 | 金智衡 | pp.31-53 |
|
보기 |
영화를 통한 한국어 수업 방안 :영화 '기다리다 미쳐'를 중심으로 | 손진희 | pp.55-73 |
|
보기 |
필사본 『조선지지자료』의 국어학적 연구 :강원도 편 39-42권을 중심으로 | 심보경 | pp.75-101 |
|
보기 |
15세기 국어의 어휘적 대우 | 이선영 | pp.103-126 |
|
보기 |
한국수어 한자지문자의 구성 자질 특성 | 李栗夏 | pp.127-145 |
|
보기 |
16세기 사대부 시조에 나타난 성리학과 자연인식 양상 | 김성문 | pp.147-163 |
|
보기 |
설화문학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 김용기 | pp.165-198 |
|
보기 |
현대시조의 표기 양상 고찰 :초정 김상옥 시조를 중심으로 | 崔興烈 | pp.199-218 |
|
보기 |
드라마 <신데렐라 언니> 콘텐츠 요소 연구 | 함복희 | pp.219-252 |
|
보기 |
금박(金箔)의 모더니티 :김기림 시의 시사적 위치와 재평가 | 손종업 | pp.253-277 |
|
보기 |
박인환 시의 진정성 | 염철 | pp.279-297 |
|
보기 |
1950~90년대까지 추리소설의 전개 양상 | 오혜진 | pp.299-320 |
|
보기 |
비평가 김현의 삶과 문학 :김현평전 기술을 위한 시론 | 임영봉 | pp.321-339 |
|
보기 |
가해자를 통해 드러나는 도덕의 딜레마 :박경리의 장편소설 『창』을 중심으로 | 조윤아 | pp.341-364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