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중·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참여요인 및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 김종성 ; 이병훈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08.31
수록지명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3호 통권 제58호 (2010년 8월), pp.33-5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0129336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중·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참여요인 및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 김종성 ; 이병훈 1

초록 1

I. 머리말 : 연구목적 2

II. 선행연구문헌검토 4

III. 연구모형과 분석변수 9

IV. 분석결과 13

1. 아르바이트 참여요인 분석 13

3. 아르바이트 참여와 진로성숙 분석 17

V. 결론 및 정책함의 19

참고문헌 21

〈부록〉 25

ABSTRACT 26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청소년패널조사 4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중·고등학생들의 재학 중 아르바이트 참여요인 및 아르바이트경험과 진로성숙과의 관계를 규명해 보는데 있다. 분석결과 수업몰입도, 용돈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고등학교재학 중 아르바이트를 경험할 승산비는 낮아지고, 전교성적비율, 과거아르바이트 경험횟수가 증가할수록 고등학교재학 중 아르바이트를 경험할 승산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는 성별, 부모와의 관계만족도, 학교성적, 진로관련수업참여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와의 관계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진로관련수업에 참여할수록 진로성숙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노동시장에서 실제적인 노동을 경험할 수 있는 아르바이트 경험은 중·고등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진로관련수업 참여 여부가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정책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 몰입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라는 명목아래 노동시장에 나온다는 본 연구결과에 주목하여 학교에 몰입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하고 체계적인 학습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정부차원의 학교별 전문상담 교사 지원으로 전문상담을 통해 비몰입학생들이 학교에 적응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어야겠다. 둘째, 중·고등학생들의 진로성숙은 아르바이트와 같은 현장 경제 속에서 보다는 진로관련 수업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고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국 중·고등학교에 다양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보급되어야 하며, 학교현장에서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진로상담교사파견 등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겠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사회적 스티그마의 청소년에 대한 영향과 대응 김경준 pp.5-3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중·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참여요인 및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김종성 ;이병훈 pp.33-5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보호관찰 청소년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전종설 ;송인선 pp.61-8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청소년 팬덤 현상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정재민 pp.91-11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곽윤영 ;정문자 pp.121-14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허성호 ;정태연 pp.143-16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초기 청소년의 인터넷 일탈행위와 부정적 자아개념에 관한 종단 연구 :잠재성장모형 적용 이숙정 pp.165-18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IEA 시민의식 국제비교연구 참여를 통한 아시아 청소년들의 시민의식 비교 연구 :ARM 예비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조영하 ;김태준 pp.189-21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이혼가정 자녀와 양부모가정 자녀의 학교적응 비교 연구 남영옥 pp.219-243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참고문헌 (4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원도교육연구원(1993). 초․중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도구. 강원도교육연구원. 미소장
2 권병덕(2002). 청소년노동의 실태와 문제점에 관한 토론집. 참여연대. 미소장
3 권영조(1990).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진로의식 성숙도와 사회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4 일하는 고등학생들 : 재학 중 시간제 취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소장
5 김기헌․유성렬(2006). 청소년 아르바이트경험에 대한 종단분석. 한국청소년개발원 미소장
6 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이 경비행 및 중비행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로 탐색 소장
7 김은진(2001). 부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8 The Effects of Adolescents' Part-time Job Experience on School Maladjustment 소장
9 박아청(1998). 자아의 탐색. 서울, 교학사. 미소장
10 양한주(1998). 중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직업선호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1 오은경(2003). 사회적지지와 의사결정유형, 진로성숙도의 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2 An Exploratory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Part-time Work Experience and Behavioral Adjustments 소장
13 유성렬(2006). 청소년아르바이트의 변화추이 및 영향에 관한 연구. 제3회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자료집. pp. 187-229. 미소장
14 윤차선(2002). 낙관성 훈련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5 이경상․유성렬․박창남(2005). 청소년 아르바이트 참여경험의 실태 및 학교부적응관련 효과. 한국청소년개발원. 미소장
16 이경상․유성렬(2007). 청소년 아르바이트 참여실태의 변화와 특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소장
17 이금란(1999).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 향상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8 이병석(1992).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9 이성우(1990). 중학생들의 직업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숭실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20 이철위․박창남․정혜영(2000). 청소년파트타임 고용실태와 제도적 지원방안 연구: 중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개발원. 미소장
21 임언․정윤경․상경아(2001). 진로성숙도 검사개발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미소장
22 시간제 취업이 고등학생의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장
2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 - time Employment Experiences 소장
24 장은미(1996).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25 전방연(2003). 실업계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연구.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26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Part-time Work Experience and Career Maturity 소장
27 정정은(2004).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8 정채기(1991). 자아개념, 자아정체감 및 내외적통제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29 최영순(2006). 중학생의 낙관성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30 한국사회학회(1999). SPSS사회조사분석. SPSS아카데미사. 미소장
3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7). 청소년아르바이트 참여실태의 변화와 특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소장
32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 : 그 과정과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소장
33 Assessing the vocational maturity of students in the East Central State of Nigeria 네이버 미소장
34 Greenberger. E., & Steinberg, L. (1986). When teenagers work: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osts of adolescent employment. New York: Basic books. 미소장
35 Relationships among measures of readiness for vocational planning. 네이버 미소장
36 Adolescent Employment and Psychosocial Outcomes 네이버 미소장
37 Holland, J. L. (1981). Making vocational choice : A Theory of va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Inc. 미소장
38 The relationship of self and occupational concepts to the occupational preferences of adolescents 네이버 미소장
39 Lawrence, W., & Brown. D. (1976). An Investigation of Intelligence. Self-concept. Socio-economic status, Race and Sex as Predictor of Career Maturity.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9. 미소장
40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Perceived Barriers in Career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41 Mortimer, J. T., & Finch, M. D. (1986). The effect of part-time work on self concept and achievement. In K. Borman & J. Reisman(Eds.) Becoming a Worker pp. 66-89 Norwood, NJ : Ablex. 미소장
42 Work Experience,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Adjustment in Adolescence 네이버 미소장
43 Mortimer, J. T., & Shanahan, M. J. & Ryu, S. (1994). The effects of adolescent employment on shool-related orientation and behavior. In R. K. Silvereisen & E. Todt(Eds.) Adolescence in context: The interplay of family, school, peers, and work in adjustment.(pp. 304-326) NY : Springer-Verlag. 미소장
44 Mortimer, J. T., & Finch, M. D. (1996). Adolescents, work, and family. CA : Sage Publications. 미소장
45 The Effects of Work Intensity on Adolescent Mental Health, Achievement, and Behavioral Adjustment: New Evidence from a Prospective Study 네이버 미소장
46 Effects of working on adolescent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47 Super, D. E. (1955).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s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 College Record. 미소장
48 Westbrook, B. K. (1984). Career maturity : The concept, the instrument, and the Research. In W. B. Walsh and S. B. Osipow(Eds.)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