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한국 개신교 문화형성을 역사적으로 연구하고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성 구술사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에 여성 리더십을 중심으로 구술 자료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기존 문서자료의 객관적 지원을 받아 다양한 시각의 시도로 역사에서 ‘젠더화된 여성주체’를 발견하고 역사의 행위자로서의 ‘젠더행하기(doing gender)’를 실제화를 하기 위한 연구 표본들을 찾아내고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그 실질적인 예로, ‘전봉선’(1909~ 1986)이라는 평범한 개신교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개신교 문화형성에 대한 여성 네트워크 중심적 형성을 주장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역사적으로 한국 개신교 문화상황과 현 발전 상태를 분석하는데, 초기 개신교 선교 상황이라는 역사적 사건만을 분석하기 보다는 여성중심의 친족관계를 분석하고 문화상황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연구관점이 중요하다는 점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여성 구술사 방법론은 첫째, 숨겨진 여성들의 이야기를 발굴해내는데 중요한 역사적 방법론이며, 둘째, 역사적 관점을 사회 및 문화방면으로 넓게 확장할 수 있으며, 셋째, 기존의 역사방법론과 비교하여 다양한 인물에 대한 연구 및 시대상의 풍부한 해석 등을 가능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used by the oral historiography of women in that I historically researched and wrote the formation of Korean Protestant Culture. Accordingly, I deeply investigated in the interview-based data and collected the literature-based data in feminist perspective. In the process, it seems to me that I find out ‘the gendered self’ by various views of history, and research models to realise ‘doing gender’ through the practical doing of the self as an active person.

In the respect, I studied a case of a woman, Ms. Bongsun Chun (1909-1986) who was an ordinary Protestant woman. Owing to her story and positive leadership, I insist on the importance of female network leadership in the formation of Protestant Culture. In other words, it is much important that not only historical approaches but also cultural approaches of early Protestant mission situation support a method for surveying the relations of female kinships in the research of Korean Protestant culture.

Therefore, the oral historiography of women is, firstly, a vital way of history to discover the hidden stories of women. Secondly, it makes researchers extend historical views to socio-cultural areas. Finally, it can be led to effective studies of diverse persons and rich interpretation of the periods comparing the existing historiography.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민영진과의 1차 인터뷰, 대한 성서공회 총무 사무실 2007년 3월 12일 15:20~16:30, 미소장
2 민영진의 첫 번째 서신 답변, 2007년 3월 29일, 미소장
3 민영진과의 3차 인터뷰, 2007년 4월 19일 12:00~13:00 양재역 La Callas, 미소장
4 민영진, 민영대 인터뷰, 2007년 4월 26일 대전의 한식당, 13:00~14:00, 미소장
5 민영대와의 인터뷰, 대전 2007년 4월 26일 차 안에서 14:00~14:40, 미소장
6 유지훈과의 인터뷰 대전 2007년 4월 26일 민영대의 집 15:00~16:30, 미소장
7 김명현과의 인터뷰, 2007년 4월 26일 대한 성서공회 사무실, 20:00~ 20:35, 미소장
8 (1975) 전봉선 전도사 일기, 1975-01-11, 미소장
9 (1975) 전봉선 전도사 일기, 1975년 8월 2일, 4일, 미소장
10 민영진, (2007) 진도의 어머니, 대전으로 이사, 회고록 미소장
11 민영진, (2005) 삼성교회 개척 시절, 아버지 민영호 장로를 회고함, 삼성교회사 미소장
12 전봉선, 미소장
13 좌로부터 민영호과 전봉선, 미소장
14 전봉선의 가족과 지인들, 미소장
15 전봉선 가계도(家系圖), 미소장
16 전봉선과 민영호의 직계 가계도(家系圖), 미소장
17 친족 입성 순서, 미소장
18 고려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84) 신흥 종교, 한국 민속대관 3권, 고려대학교 한국문화 연구소 미소장
19 리햐르트 반 뒬멘, (2001) 역사인류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미소장
20 린헌트, (1997) 문화로 본 새로운 역사(그 이론과 실제), 소나무 미소장
21 박명수, (2003) 한국교회 부흥운동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미소장
22 박용규, (2007) 평양대부흥운동(100주년 기념 개정판), 생명의 말씀사 미소장
23 서정민, (2003) 한국교회의 역사, 살림 미소장
24 윤경로, (1997) 한국 근대사의 기독교사적 이해, 역민사 미소장
25 역사인류학자의 시각에서 본 역사학 : 구술사 연구를 중심으로 소장
26 정현백, (2007) 여성사 다시쓰기; 여성사의 새로운 재구성을 위하여, 당대 미소장
27 '여성사 쓰기'에 대한 (재)성찰 소장
28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1) 한국기독교와 신사참배문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미소장
29 한국철학사연구회, (1997) 한국철학사상사,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30 함한희, (2006) 새로운 역사 쓰기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미소장
31 (1910)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The Annual Report of One Hundred-Sixth British Foreign Bible Society 미소장
32 Carr, E. H., (1990) What is history?, Penguin Books 미소장
33 Chang, Sungjin, (2005) Korean Bible Women: Their Vital Contribution to Korean Protestantism, 미소장
34 (1963) Encyclopaedia Britann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미소장
35 (2002) 국민일보 2002년 3월 21일자, 미소장
36 (2006) 크리스천 투데이 2006년 5월 26일자,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