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e possible gene transfer from transgenic chili pepper to soil bacteria in rhizosphere was
evaluated. DNA was extracted from rhizosphere soil collected from growing transgenic chili pepper
(Capsicum annuum L.) resistant to cucumber mosaic virus (CMV) and control line, and PC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ecific primer for transgene in the transgenic chili pepper. The results of the PCR
targeting NPTII gene indicated that the transgene was present in the rhizosphere soil samples in all collecting
time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transgene detection in the samples, we isolated microorganisms
from the soil and cultured them on bacterial and fungal medium containing kanamycin. About 430
thousands of bacterial colonies and 160 thousands of fungal colonies were investigated, however, colonies
resistant to kanamycin were not detected, indicating gene transfer from transgenic chili pepper to culturable
rhizosphere soil microorganisms was not occurred in the present study.
이 연구는 형질전환 고추로부터 토양 근권 미생물로의 유전자
이동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재배중인 오이 모자이
크 바이러스 저항성 고추와 대조구의 근권토양으로부터 DNA를
추출한 후 형질전환 고추 도입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사
용하여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PCR 결과 도입유전자인 NPTII
유전자가 수집된 전 기간의 근권 토양 샘플에서 발견되었다. 발견
된 도입유전자가 고추로부터 토양 미생물로의 유전자 이동에 의
한 결과인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토양 샘플로부터 미생물들을 분
리하여 카나마이신이 첨가된 세균 및 진균 배지에 배양하였다. 약
43만개의 세균 코로니와 16만개의 진균 코로니를 조사 한 결과 카
나마이신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개체는 발견되지 않아 형질전환 고
추로부터 근권 미생물로의 유전자이동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사
료되었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쌀에 대한 인식정보가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구통계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박승환 | pp.187-196 |
|
|
Azerbaijan's agricultural situation and strategy for WTO accession | Jeong-Bin Im ;Hong-Sok(Brian) Kim | pp.197-209 |
|
|
일본의 지산지소 추진현황과 시사점 :효고현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만철 | pp.210-219 |
|
|
해외협력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한·몽골 사례를 중심으로 | 김완배 ;김관수 | pp.220-230 |
|
|
한국 농업에서의 유전자원 활용 현황과 금후 전망 | 김창영 ;이정란 ;윤문섭 ;조규택 ;백형진 ;고호철 ;조양희 ;전영아 ;김정곤 | pp.231-240 |
|
|
넓은잎큰조롱의 경엽절제가 생육 및 근수량에 미치는 영향 | 남상영 ;김인재 ;김민자 ;최성열 ;송인규 | pp.241-245 |
|
|
질소감비조건에서 주요 벼 품종별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등숙특성 | 박홍규 ;구본일 ;최민규 ;박태선 ;고재권 ;김영두 ;최재성 ;김기종 | pp.246-252 |
|
|
아주까리(Ricinus communis L.) 유전자원의 종실특성과 지방함량 및 지방산조성 변이 | 이윤호 ;박경호 ;박향민 ;남상영 ;김인재 ;정헌상 ;장영석 ;김홍식 | pp.253-259 |
|
|
근적외선 분광 분석법을 이용한 참깨의 지방함량 측정 | 김정봉 ;김민희 ;이영이 ;이호선 ;이석영 ;김헌웅 ;추상미 ;백형진 ;조영숙 ; | pp.260-266 |
|
|
LC-DAD ESI/MS를 이용한 국내 자색벼 품종 종실의 안토시아닌 조성 및 함량 분석 | 김헌웅 ;김정봉 ;추상미 ;김소영 ;김세나 ;조영숙 ;조수묵 ;백형진 ;박홍주 ; | pp.267-272 |
|
|
뱀딸기(Duchesnea chrysanthe) 부위별 생리활성 비교 | 이광식 ;노문철 ;장영주 ;이재은 ;최애진 ;박충범 ;차선우 ;이동진 | pp.273-276 |
|
|
Status of nematode resistance studies in Korea, Vietnam, and Malaysia | Myoung Rae Cho ;Chau N. Nguyen ;Nik Masdek ;Dorothy Chandrabalan ;Taek Ryoun Kwon | pp.277-281 |
|
|
국제미작연구소(IRRI) 종자은행의 유전자원 보존·관리 현황 | 최유미 ;강정훈 ;나영왕 ;조규택 ;고호철 ;이정란 ;김행훈 ;백형진 | pp.282-287 |
|
|
Evaluation of NPTII gene transfer from transgenic chili pepper to culturable microorganisms in rhizosphere soil | Bumkyu Lee ;Ji-Young Park ;Kee Woong Park ;Chee Hark Harn ;Hwan Mook Kim ;Chang-Gi Kim | pp.288-292 |
|
|
방화곤충에 의한 유전자변형 작물 화분 이동성 조사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 | 백형진 ;손수인 ;조명래 ;이관석 ;오영주 ;박종석 ;이기종 ;오성덕 ;서석철 ; | pp.293-297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