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유수경 ; 황해익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10.31
수록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5호 (2010년 10월), pp.221-255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04021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유수경 ; 황해익 1

[요약] 1

I. 서론 2

II. 연구절차 및 방법 4

1. 문헌연구 4

2. 포커스 그룹 인터뷰 5

III.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8

1. 실습교육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8

2.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1차 시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내용분석결과 13

IV. 예비유아교사 전문성신장을 위한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22

1.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체제 22

2.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구성원의 역할 22

3.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운영절차 및 내용 25

4.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기대효과 28

V. 논의 30

참고문헌 32

Abstract 35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 전문성신장을 위한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문헌연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프로그램의 하위내용을 구성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예비유아교사, 현직교사, 유아교육전문가 각 6인을 대상으로 그룹별 2회 총 6회가 실시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수집되어진 자료들은 분류체계분석에 의해 분석되어졌다.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멘토링 프로그램 발달과정에 따라 프로그램 준비, 프로그램 수행, 프로그램 평가과정으로 운영되도록 그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각각의 과정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참여 주체에 따라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프로그램 수행단계는 7단계로 구성하여 운영되어지도록 하였으며 각 단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함으로써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돕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ntoring field-practice program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For this, a researcher carried out a literature research and focus group interviewes targeting preschool-education experts, incumbent teachers, and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The objective of the final mentoring field-practice program was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collected results. The sub-contents of program were formed.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arried out totally 6 times with twice by group targeting 6 people in each of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incumbent teachers and preschool-education experts. The collected materials through this were analyzed by a classification system. The mentoring field-practice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hrough this, was developed with the aim of solving the negative aspect possessed by the existing field-education and of maximizing positive aspect as well as improving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The mentoring field-practice program consisted of three parts: the preparation of the program,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nd the evaluation process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general mentoring program development process. It suggested in detail by dividing the contents of program, which needs to be certainly performed in each course, according to participants. Especially, the stage of performing program was formed in order to operate the program with 7 stages for 8 weeks. The aim was to be conducive to smooth operation of the mentoring field-practice program by stating its contents more specifically.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감성교육을 위한 동화 관련 개념수업모형 적용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서현 ;박미자 pp.1-3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과학교수지식(PCK) 신장을 위한 강좌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관점과 과학교수지식의 변화과정 이은진 pp.33-5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인식 및 표현 프로그램이 만 3세 유아의 정서적 능력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지현 pp.59-8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멀티미디어 수학동화 읽기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송연경 ;김민진 pp.89-11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보조교사를 경험한 초임교사들의 담임교사 되어가기 박지선 ;이대균 pp.113-14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영아전담기관의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및 실태 공미선 ;김영연 pp.143-16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유아교사의 자질 이경하 ;석은조 pp.167-18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예비유아교사의 장기간 교육실습 경험을 위해 대학과 유치원의 협력으로 시행되는 보조교사 제도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이대균 pp.189-21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유수경 ;황해익 pp.221-25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우수경력교사의 유치원 활동 특성 곽은순 pp.257-28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 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유아 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3 김숙자 ;박현진 ;김혜승 pp.283-31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교실문화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임부연 ;김성숙 pp.315-34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권정윤 ;정미라 ;홍소영 ;박수경 pp.341-35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의 성, 기질, 가정의 월수입,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사회적유능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 ; 강성단 ; 권경숙 pp.359-38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의 어휘력과 이야기 이해능력이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 ;오진희 pp.383-40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과 단어읽기, 단어쓰기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최은영 ;이지현 pp.405-43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조직풍토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 권연희 pp.437-45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신애 ;문수백 pp.457-47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형제자매 변인에 따른 유아의 마음 이해와 마음관련 표현 비교 송영주 pp.477-49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3세 유아의 기본정서 인식 및 표현에 대한 내용 분석 정상녀 ;김경숙 pp.499-53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순미 (2007). 멘토링에 의한 교사-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변화 탐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 현장실전 학습을 통한 인재육성 전략 : 멘토링 소장
3 The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a Child Care Center of Student Teaching on Teacher's Role Awareness and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소장
4 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기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소장
5 박수미 (2007). 멘토링(mentoring)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변화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박은혜, 조운주 (2007). 반성적 실천을 위한 유아교육실습. 서울: 창지사. 미소장
7 선미현 (2008).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따른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신경림, 장연집, 김영경, 이금재, 최명민, 김혜영, 김옥현, 김영혜 (2004). 질적연구방법 포커스 그룹. 서울: 현문사. 미소장
9 The Practice and Implication of the Beginning Teacher Mentoring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소장
10 신장미 (2008). 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Studying Conflict during in a Preservice Teachers' Practicum 소장
12 Early Childhood Practicum 네이버 미소장
13 An empirical study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소장
14 유아교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소장
15 이명순 (2000). 유치원 교사가 되어 가는 과정에 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6 2년제 유치원교사 양성대학의 교육실습 개선방안 연구 소장
17 이영미 (2006). 멘토링을 통한 2세 영아교사의 보육프로그램 수행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8 이영희 (2001).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 조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미소장
19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2003).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미소장
20 이진숙 (2003).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실습관련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A study on the instruction program of a cooperating teacher on student teachers 소장
22 전경원, 황혜성 (2004). 유아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문사. 미소장
23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양성의 방향 소장
24 교육실습을 통한 교육실습생의 교육신념 변화 연구 소장
25 A Collaborative Model for the Supervision of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ing 소장
26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소장
27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Kindergarten Cooperating Teachers 소장
28 A Study on Student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Anxiety, Conflict in Student Teaching 소장
29 최중근 (2008). 웹기반 산․학 협력 유아교육 실습지도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0 A narrative inquiry on prospective teachers‘ teaching physical education practices at secondary school 소장
31 An Effect of Teaching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Climate in Kindergarten on the Self-concept, Role performance and Teaching Efficacy 소장
32 Mentoring beginning primary teachers for exemplary teaching practices 네이버 미소장
33 Mentoring beginning teachers: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네이버 미소장
34 Bae, S. Y. (1990). Student teachers' thought processes. Unpublished Doctor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미소장
35 The Relationship of Field Placement Characteristics And Students Potential Field Performance Abilities to Clinical Experience Performance Ratings 네이버 미소장
36 Mentor Teachers' Work with Prospective Teachers in a Newly Formed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Two Illustrations 네이버 미소장
37 Eli, O. (2007). Teachers ‘In the making’: Building accounts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 612-623. 미소장
38 Garland, C., & Shippy, V. (1995). Guiiding clinical experience: Effective supervision in teacher education. Norwood, New Jersey: ABLEX Public Corporation. 미소장
39 Phases of the Mentor Relationship 네이버 미소장
40 Martin, A., & Trueax, J. (1997). Transformative dimension of mentor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the trai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RIC Document Repoduction Service No. ED 424 405) 미소장
41 The Collaborative School 네이버 미소장
42 Murray, M. (2005). 멘토링 오래된 지혜의 현대적 적용(이용철 역). 서울: 김영사.(원본 발간일 2001). 미소장
43 Young Children Make Maps! 네이버 미소장
44 Northouse, P. G. (2000).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 Thousand Oaks, C.A.: Sage. 미소장
45 The Impact of the Student Teaching Experience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Perspectives 네이버 미소장
46 Spradley, J. P. (1979). Ethnographic Interview,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미소장
47 Spradley, J. P. (1988). 참여관찰방법 (이화봉 역). 서울: 교문사(원본 발간일 1980). 미소장
48 Wentz, P. (2001). Student Teaching Experience: Cases from the Classroom(2nd ed.). Merrill. 미소장
49 White, M. & Mason, C. (2003). Mentoring induction principles and guidelines. Reston. VA: CEC Publications. U. S. Department of Education.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