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고소설에 나타난 '부부 불화'의 통계 분석을 통해 본 '부부 갈등'과 '결혼 생활'의 상상 구도 / 최기숙 1

〈국문요약〉 1

1. 고소설에서의 '가정/가족' 장과 '부부 불화'의 담론화 의미 3

2. '부부 불화'의 원인에 대한 문학적 상상의 지형 6

1) 혼인제도 및 혼인 과정상의 문제에 따른 부부 불화 8

2) 가족 요인에 따른 부부 불화 19

3. 부부 불화의 해결에 대한 통계 분석과 문학/문화적 의미 26

1) 화해와 화합의 부부 담론 27

2) 결별과 파경의 부부 담론 33

4. 부부 불화의 상상적 구조화 방식과 젠더 위상학 36

〈참고문헌〉 38

〈Abstract〉 40

초록보기

이 논문에서는 조희웅 교수가 정리한 『고전소설 줄거리집성』 1·2에 제시된 총 858편의 고소설 중에서 부부간의 불화를 다룬 작품 총 59편을 대상으로 불화의 원인과 해결에 대한 통계 해석적 분석을 시도했다. 혼사에 개인의 자발적 의사가 배제되고 부부생활이 가정 안으로 폐쇄되었던 조선시대의 문화적 조건 속에서 고소설이 부부 관계나 결혼생활이라는 사생활의 장을 불화의 관점에서 다루었다는 것은 해당 장르가 독자대중에게 사생활이라는 은밀한 영역을 공론화하고 이에 대한 고민을 공유하는 정서적, 문화적 소통의 매개가 되었음을 뜻한다.

고소설에서 부부 불화의 가장 큰 원인은 혼인제도 및 혼인 과정상의 문제(64%)로 나타났으며, 가족 요인(36%)이 그 뒤를 이었다. 혼인 제도에 기인한 불화 요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배우자에 대한 기대 차이(59%)였다. 그 중에서 부부간의 성격이나 기질 차이가 가장 크며(24%) 아내의 외모/신체에 대한 불만(20%), 아내의 부정적 성격과 태도, 남편의 일방적인 (성)관계 요구, 배우자에 대한 열등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혼인 과정상의 불화 요인(37%)으로는 왕/황제의 명에 따른 사혼과 늑혼(21%), 남성의 애정이 처첩의 한 쪽에 편중된 경우(13%), 애초에 원치 않는 상대와의 혼인 등이다.

가족 요인에 따른 불화는 처(첩)의 모해와 방해(60%)가 가장 우세한데, 정절훼손 모의, 남편의 마음을 조정하려는 약물의 활용, 처첩의 가족에 대한 위해 모의 등이 동원되었다. 부부 불화의 중재자는 대부분 시아버지인데, 이는 가족 갈등의 조율에 가장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반영하는 동시에, 사실상 성인의 세계로 편입하는 결혼 생활에서도 자녀 세대가 부모의 명령과 의견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

불화를 겪은 부부는 대부분 화해하지만(51%), 파경에 이르는 비중도 높았다(46%). 파경의 구체적인 원인은 친자살해, 거짓말, 가족모해 등이다. 이들은 처벌되거나 축출되는데 모두 아내, 계모 등 여성 인물에 한정되었다. 처벌자는 황제, 남편, 시동생, 전실자식 등 권력의 소유자거나 가장 등 모두 남성이다.

고소설에 나타난 부부 불화의 양상은 가족과 가정이 결코 안정과 행복을 보장하는 안전지대가 아니며, 다양한 층위의 관계 갈등을 감당하며 해결해야 할 인정투쟁의 장소이자, 관계 조율의 장임을 보여준다. 아내는 부부불화의 가장 큰 원인 제공자로 설정된 동시에 불화의 가장 큰 피해자로 형상화되었다. 부부 쌍방의 성격 차이나 기질 차이에 의해 불화가 야기되더라도 가정에서 축출되는 인물은 아내로 한정되었으며, 이유 없이 남편에게 박대를 받거나 축출되었을지라도 이를 공적으로 하소연할 수 있는 통로를 갖고 있지 않았다. 기혼 여성은 가정 안에서조차 언제든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불안한 자리였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on the couple conflicts and the structure of marriage life portrayed in the Korean classical novels. As a research material, this paper chosed the books, Collection of Summerized Korean Classical Novels 1?2, edited by Professor Cho Hui-Wong, which contains 858 stories of Korean Classical Novels and analyzed 59 texts that deals with couple conflicts as main themes.

According to such analysis, this paper get reached some conclusions that the main causes of the couple conflict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contradiction of traditional marriage system(64%), and interference of family members to the marrige life(36%). The former is related with the discord that comes from the expectations for one’s spouse(59%); the discord of personality and temper(24%), dissatisfaction on the wife’s appearance(20%), wife’s negative personality, one-side (sexual) demand from a husband, and emotional complex from the spouse. The latter implied the forced marriage by the king or emperor(21%), the husband’s biased love toward wives and concubine(13%) and compulsed marriage regardless of the contracting parties in a marriage etc.

The biggest factors that affects the couple conflicts comes from the family members: the wives’/concubines’ conspiracies(60%), doing harm to wive’s chastity, using medical pills to unreasonably control her husband’s mind, and slandering the faithful wife. There were also cases that starts with the family conflicts, but as time goes by, changes into the couple conflicts : conflicts between wife’s father and husband, wife’s mother and husband, daughter-in-laws and the second wife and the first wife’s daughter etc.

The most strong way of resolving the conflicts between couples was removing the misunderstanding between the couples or wife’s forgiveness toward the regretting husband. Even if the husband had misunderstood her wife as a unchaste woman and behaved rudely toward his wife, the wife could get her opportunity to reconcile with her husband only when she had shown her royalty and filial duty to her parents-in-law continuously. The most influential arbitrator was the father-in-law, because he even had a power to intervene the couple’s very private matters such as their sexual relationship. Such a tendency reflects the expectation toward the patriarch who can control the family conflicts and also shows the young married couple are never free from their parents’ opinions and orders even after their marriage.

Most couples who experienced serious conflicts reached reconciliation(51%), but some couples were finally divorced(46%) by murdering their children, lying, and entangling the family members in a conspiracy. Finally most wives who couldn’t be forgiven were expelled from the husband’s house and punished by the king or the emperor, their husband, their husband’s brother or the son of the other wives who had the patriarchal power, and all were men.

Such statistical analysis and literary/cultural interpretation shows that the family and home never could be a safe place that guarantees happiness to the members, especially to women who had the name of wife. Moreover, it is portrayed as a place where they have to deal with various struggles and reconciliation between the members, and to learn to control the inter-relationship issues. The female characters were portrayed as the persons who suffered from the couple’s conflicts and were considered to be the biggest victims of conflicts. They were also considered as beings that should be depending on their husband’ trust and support for their whole life. Whether the conflicts were caused by the wife or the husband, only the wives were expelled from the family, even when they did not have anyone to take care of them. Such analysis shows that the social position of the married women were precarious and they could always be exposed to the unsafe situ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인문학의 지평을 열며 :그 출발점인 '공공성의 역사학' 백영서 pp.1-26

보기
사회인문학의 창안 :'사회의 인문성' 提高, '인문학의 사회성' 發揚을 향한 융합학문의 모색' 박명림 pp.27-81

보기
인문적 상상력과 사회적 상상력 :독일 낭만주의 시대의 인문주의 재고 김상환 pp.83-130

보기
한국 현대역사학의 3分科制度 형성과 역사인식·역사연구방법 신주백 pp.131-176

보기
한국문학의 제도적 자율성의 형성 :대학 제도를 중심으로 김건우 pp.177-200

보기
학회를 통해 본 공공성과 학문성의 결합 가능성 :한국 사회와철학연구회를 중심으로 나종석 pp.201-243

보기
賈誼 禮論의 특징 :등급질서와 제도론 박동인 pp.245-282

보기
北魏 平城時代 胡人들의 생활과 습속 :胡俗 유지와 그 배경을 중심으로 최진열 pp.283-326

보기
조선초기 『鄕藥濟生集成方』의 간행과 향약의 발전 이경록 pp.327-371

보기
고소설에 나타난 '부부 불화'의 통계 분석을 통해 본 '부부 갈등'과 '결혼 생활'의 상상 구도 최기숙 pp.373-414

보기
김석득 명예교수의 삶과 학문 :겨레 얼의 말본 연구를 향한 꿈과 열정 <對談> 김석득 ;손희연 대담 pp.415-473

보기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동욱 역, 『국역 기문총화, 2권』, 아세아문화사, 1999. 미소장
2 이윤석․이다원 교주, 『현씨양웅쌍린기, 1권』, 경인문화사, 2006. 미소장
3 박지원, 신호열․김명호 옮김, 『연암집, 상권』, 돌베개, 2007. 미소장
4 조희웅, 『고전소설 줄거리집성, 1』, 집문당, 2002a. 미소장
5 조희웅, 『고전소설 줄거리집성, 2』, 집문당, 2002b. 미소장
6 고소설에 수용된 '부마되기' 모티프의 양상과 의미 소장
7 송성욱, 「婚事障碍型 大河小說의 敍事文法 硏究 - 單位談의 展開樣相과 結合方式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미소장
8 서정민, 「명행정의록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미소장
9 양혜란, 「기봉류소설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미소장
10 「玉鴛再合奇緣」 硏究 소장
11 이경하, 「하옥주論: <河陳兩門錄> 남녀주인공의 氣質 연구(1)」, 『국문학연구』 6, 국문학회, 2001. 미소장
12 이상택, 『한국고전소설의 탐구』, 중앙출판, 1981. 미소장
13 조선조 혼인 관계의 유지 원리 : 『조선왕조실록』의 이혼 사례 분석 소장
14 이지하, 「<옥원재합기연> 연작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15 정병설, 「<玩月會盟宴>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미소장
16 '여성 원귀'의 환상적 서사화 방식을 통해 본 하위 주체의 타자화 과정과 문화적 위치 : 고전 소설에 나타난 '자살'과 '원귀' 서사의 통계 분석을 바탕으로 소장
17 A Border of Gender Rhetoric and the Female Readers Taste -Through an Analysis on Multi-identities of Female Protagonist Portrayed in HaJinYangMoonRok circulated in Seoul-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