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영화를 통해 본 '쓰기'의 의미 : 영화 〈시〉를 중심으로 / 김중철 1

〈국문초록〉 1

1. 들어가는 말 2

2. 영화 〈시〉에 대하여 3

3. '본다'는 것의 의미 4

4. 아름다움과 '아름답지 못한' 것들 8

5. 기억의 상실과 '기억시키기' 11

6. 나오는 말 15

참고문헌 16

〈Abstract〉 18

초록보기

이 글은 영화 <시>를 통해 ‘쓰기’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시>는 제목 그대로 시라는 문학 장르를 소재로 하면서 ‘시가 죽어가는 시대’에 ‘시’의 가치를 생각해보게 한다. 그럼에도 영화는 특정 문학 장르를 넘어 글쓰기 일반으로까지 확대 적용할 만한 의미를 갖는다. 시를 쓰려는 구체적인 실천 행위 속에서 겪게 되는 인물 양미자의 변화가 영화의 이야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자연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아 시를 쓰려는 그녀의 노력은 허사가 되고 손자의 아름답지 못한 사건을 맞닥뜨리면서 그녀는 세상과 현실의 이면을 들여다보게 된다. 주변의 것들을 ‘다시 보기’ 시작하면서 ‘아름답지 못한’ 것들을 목격하게 되고, 소녀처럼 순수하고 감상적이었던 미자는 추악한 현실 앞에서 두려움과 절망을 갖게 된다. 결국, 기억력을 잃어가는 미자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을 잊지 않기 위해, 그리고 잊어버리려는 자들을 기억시키기 위해 글을 남긴다. 그녀의 ‘쓰기’는 아름다운 것보다 아름답지 못한 것들에 대한 기록이며 기억의 방식이다. ‘쓴다’는 것은 ‘제대로/진짜로 보기’를 전제로 하며 삶과 현실의 진실(‘아름다움’)을 찾기 위한 행위다. 그것이 비록 불편하고 불쾌한 것일지라도 정직하게 대면하고 아프도록 응시하는 것이 글쓰기의 의미임을 영화는 보여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meaning of ‘writing’ in the film poetry directed by Lee, Chang-dong. This film makes us think a value or meaning of poetry as literature in this ‘the death of poetry’ days. Furthermore this film gives us a another meaning of ‘writing’. The story of this film is focused on the main character Mi-ja’s changes during make a effort to write a poetry work. She is frustrated in an attempt to write a poetry about the beauty of nature. Instead of that, she makes a poetry work during meet with the affair concerned a sex crime and drowning suicide. Her grandson is implicated in an affair. Meeting with that affair, she ‘see’ the ugliness, unsightliness, and foulness of the world or society. She ‘witness(observe)’ the non-beautiful, non-fair things instead of the beautiful, fair things. Then, she makes a writing(poetry) for the first time. Now, she has a dementia. In that sense, her writing is a method of memory about the ugliness, unsightliness, and foulness in the world or society. To write is to see precisely, and is to find ‘a beauty(truth)’. This film gives us that the meaning of writing is to opposite honestly to all things, and to see precisely that things. Although that things are unclean, unjust, non-beau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전쟁 피난민과 국제시장의 로컬리티 차철욱 pp.3-34

보기
한국전쟁과 지방화단 :부산, 제주, 호남화단을 중심으로 조은정 pp.35-64

보기
지역의 분할과 반공윤리의 생산 서동수 pp.65-88

보기
부산 지명 문현(門峴) 어원 연구 이근열 pp.91-128

보기
密陽 表忠寺 소장 <泗溟大師日本上陸行列圖八曲屛> 연구 한태문 pp.129-159

보기
주변부의 역사 기억과 망각을 위한 제의 :임철우의 소설에서 역사적 트라우마를 서사화하는 방식과 그 심층적 의미 한순미 pp.161-191

보기
『바람꽃』을 통해 본 조선족 정체성의 변이양상 :주인공 의식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한홍화 pp.193-216

보기
『삼국유사』 소재 '眞聖女大王居타知' 조 설화의 검토 전기웅 pp.217-251

보기
율곡 사상에서 삶과 죽음의 문제 이영경 pp.253-279

보기
人性論의 脈絡과 司馬光의 人性論 丁海王 pp.281-310

보기
近世東亞士人的精神桃源 :由退溪及朝鮮文人詩畵看武夷文化意象的傳布 =근세 동아시아 선비의 정신적 도원(桃園) : 퇴계(退溪)를 비롯한 조선 문인들의 시와 그림으로 본 무이문화(武夷文化)의 전파 査屛球 [저] ;장세후 ;이수현 역 pp.311-390

보기
영화를 통해 본 '쓰기'의 의미 :영화 <시>를 중심으로 김중철 pp.391-408

보기
역사학자가 밑으로부터 쓴 한국전재의 미시사 : 「마을로 간 한국전쟁: 한국전쟁기 마을에서 벌어진 작은 전쟁들」, 박찬승 저 <書評> 염미경 [평] pp.409-421

보기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본질은 무엇인가 :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젠더」, 스즈키 유코 저 ; 이성순·한예린 역 <書評> 박화리 [평] pp.423-429

보기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영화 <시>, 이창동 감독․각본, 파인하우스필름(주)․유니코리아문예투자(주) 제작, 2010 미소장
2 김재영, 「이창동 영화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3 김정은, 대중문화 읽기와 비평적 글쓰기 , 민미디어, 2003. 미소장
4 김주언, 「교양 없는 시대의 교양으로서의 글쓰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4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7. 미소장
5 노영덕, 영화로 읽는 미학 , 랜덤하우스중앙, 2006. 미소장
6 신수사학 시대의 언어와 문학 소장
7 박승희, 시교육과 문학의 현재성 , 새미, 2004. 미소장
8 박진․김행숙, 문학의 새로운 이해 , 청동거울, 2004. 미소장
9 신범순․조영복, 깨어진 거울의 눈 , 현암사, 2000. 미소장
10 이지호, 글쓰기와 글쓰기교육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미소장
11 장미영, 나르시스의 연못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미소장
12 조용훈, 시, 문화를 유혹하다 , 이마주, 2007. 미소장
13 'Creativity' in Literary Writing 소장
14 씨네21 753호, 한겨레신문사, 2010.5.12. 미소장
15 영화언어 , 도서출판 소도, 2003 여름호. 미소장
16 주간한국 2333호, 한국일보사, 2010.5.18. 미소장
17 제랄드 프랭스, 최상규 옮김, 서사학 , 문학과지성사, 1988. 미소장
18 존 버거, 편집부 옮김, 이미지 , 동문선, 2002. 미소장
19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5003008&article_id=1658 (검색일: 2010년 7월 21일) 미소장
20 http://namusai33.com/209?srchid=BR1http%3A%2F%2Fnamusai33.com%2F209 (검색일: 2010년 7월 28일) 미소장
21 http://giznote.tistory.com/94?srchid=BR1http%3A%2F%2Fgiznote.tistory.com%2F94 (검색일: 2010년 9월 14일)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