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희대, 서울대, 이화여대에 편제된 교양과목에는 문학 텍스트의 이해와 글쓰기, 외국어 소통 능력, 논리와 사고, 윤리 등의 인문적 소양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고, 이수 학점도 가장 높았다. 연희대의 경우에는 일반교양의 성격이 강했으며, 서울대와 이화여대는 전공 진입을 위한 기초 교양의 성격이 고려되었다. 대학에서의 교양 교육 편제는 학점을 이수하고 평가를 받는 제도화된 '지식'의 체계로 존재했지만, '인격'이나 '품성', '미적 감수성' 차원의 교양을 함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없었다. 학점의 그물망을 벗어난 교양의 영역은 학생들이 활동으로서의 대학 문화(동아리, 정치적 발언 및 사회 참여, 문화생활 등)를 통해 생활적으로 채워나갔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이를 지식과 정보 차원의 교양 '知'로 섭렵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으며 사회의 실천적 교섭을 학적 분석의 대상으로 '거리화'하는 태도를 견지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양론과 출판문화 :교양의 제도화와 출판문화로 본 교양붐 소영현 pp.7-48

근대기 한국 시인들의 매체 선택 :조선가요협회를 중심으로 구인모 pp.49-83

근대 서간(書簡)의 매체별 존재양상과 기능 김성수 pp.85-121

1950년대 대학생의 인문적 소양과 교양 '知'의 형성 :1953~1960년간 <연희춘추/연세춘추>를 중심으로 최기숙 pp.123-167

<<월남망국사>>의 번역, 문체, 출판 송명진 pp.171-203

연극개량의 전개와 극장적 공공성의 변동 우수진 pp.205-240

필사본 신소설 연구 :새 자료 필사본 <황금탑>·<추풍감수록>을 중심으로 강현조 pp.241-272

근대 초기 청년 지식인의 성공 신화와 자기 계발서로서의 번역 전기물 :프랭클린 자서전을 중심으로 김성연 pp.273-310

1920년대 장편소설의 여성 초점화와 근대적 주체 :<환희>, <재생>, <이심>을 중심으로 김학균 pp.311-333

1920년대 내지시찰단 기행문에 나타난 향촌 지식인의 내면의식 박애경 pp.335-369

김기림 시의 리듬 분석 :문명의 '속도'의 구현 양상을 중심으로 장철환 pp.371-412

김사량과 1941년 도쿄 :새자료 <호랑이 수염>을 중심으로 곽형덕 pp.413-455

'해방전후' 김내성 스파이-탐정 서사의 연속과 비연속 :<태풍>과 <<청춘극장>>을 중심으로 정종현 pp.457-508

1950년대 학교영화에 나타난 '미국적 가치'에 대한 양가성 :한형모 프로덕션의 영화를 중심으로 김려실 pp.509-533

'처용'이라는 화두와 '벽사(벽邪)'의 언어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새로운 해독 허혜정 pp.535-561

불/안전국가의 문화정치와 포스트콜로니얼 문화상품의 장 :1960년대 영화와 "현해탄 서사" 재고 김예림 pp.563-608

고은의 <<백두산>>에 나타난 망각과 기억의 서사 장은영 pp.609-639

확장된 장르 개념을 활용한 비평문 쓰기와 서사교육 선주원 pp.641-671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연희춘추>, <연세춘추>, <대학신문>, 사상계 . 미소장
2 권보드래 외, 아프레 걸 사상계를 읽다 , 동국대출판사, 2009. 미소장
3 김덕호ㆍ원용진(2008) 엮음, 엮음, 아메리카나이제이션 , 푸른역사, 2008. 미소장
4 김성우ㆍ최종덕, 「대학 교양교육의 위기와 인문학의 미래」, 사회와 철학 20권 1호, 사회와철학연구회, 2009. 미소장
5 Formation of Woman`s Bildung in the Early Modern Period and the Geneology of Partnership Culture Theories 소장
6 박헌호, 「<연희(延禧)>와 식민지 시기 교지(校誌)의 위상」, 현대문학의 연구 28집, 현대문학연구학회, 2006. 미소장
7 Opening the Horizon of Social-Humanities 소장
8 교양과 교양교육의 방향 소장
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근대학문의 형성과 연희전문 , 연세대출판부, 2005. 미소장
10 경성제대의 교양주의와 일본어 소장
11 A study on Traditional Culture and 'Writing' as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소장
12 이선미, 「1950년대 미국유학 담론과 ‘대학문화」, 상어학보 , 25집, 상허학회, 2009. 미소장
13 최성희, 「미국 연극의 수용과 전후 한국 여성의 정체성」, 김덕호ㆍ원용진 엮음, 아메리카나이제이션 , 푸른역사, 2008. 미소장
14 학술단체협의회 편, 우리 학문 속의 미국 , 한울아카데미, 2003. 미소장
15 馬越 澈, 한국근대대학의 성립과 전개 , 한용진 옮김, 교육과학사, 2001. 미소장
16 가와이 에이지로 엮음, 학생과 교양 , 양일모 역, 소화, 200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