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평화운동으로서의 한국 양심적 병역거부운동 연구 / 임재성 인기도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10.12.20
수록지명
민주주의와 인권. 제10권 제3호 (2010년 12월), pp.305-352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22448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평화운동으로서의 한국 양심적 병역거부운동 연구 / 임재성 1

국문초록 1

I. 서론 - 병역거부 '운동'에 대한 연구 2

II. 병역거부운동의 등장배경 7

1. 외부적 요인 : 외국 활동가로부터 제안 7

2. 내부적 요인 1 : 인권 감수성, 평화운동의 주체 11

3. 내부적 요인 2 : 정치적 병역거부자의 등장 14

III. 병역거부운동 내부의 긴장 - 양심의 자유와 반군사주의 20

1. '비범죄화'로 귀결된 병역거부운동 20

2. 양심의 자유와 반군사주의 간의 긴장 23

3. 반군사주의적 문제의식의 확장 28

IV. 대체복무를 넘어서는 평화운동으로서의 가능성 33

1. 대체복무제 개선운동의 의미 확장 33

2. 반군사주의적 활동의 전개 35

V. 결론 39

■ 참고문헌 42

● 병역거부운동 관련 1차 문헌 목록 42

● 2차 문헌 목록 44

■ ABSTRACT 47

초록보기 더보기

지난 10년 동안 한국 사회에서 병역거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진행되어왔지만, 병역거부자의 감옥행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복무제를 넘어서서 사회운동으로서의 병역거부 ‘운동’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논문은 지난 10년간의 한국 병역거부의 역사를 ‘사회운동’으로서 접근했으며, 그 속에서 이 운동이 가졌던 평화운동으로서의 지향과 성과를 분석했다. 한국 병역거부운동 내부에 존재했던 ‘양심의 자유’와 ‘반군사주의’간의 긴장관계를 주요한 분석의 틀로 삼아 내부의 긴장이 어떤 방식으로 표출되었는지를 드러냈다.

한국 병역거부운동은 외국 활동가로부터 제안을 받은 평화운동가들을 통해서 2000년에 시작될 수 있었다. 소수종파에 대한 사회적 편견은 운동 초기에 상당한 장애요인이었지만, 오태양을 비롯한 정치적 병역거부자의 등장을 통해 병역거부가 일부 종파만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극복할 수 있었다. 한국사회에서 병역거부운동은 많은 가능성을 가졌으나 강고한 군사주의로 인해 ‘대체복무제 개선’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고, 반군사주의 측면의 문제의식을 일정부분 제한하는 타협이 운동 내부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운동이 진행되면서 이 타협에 긴장이 발생했다. 제도화된 대체복무제가 평화운동과 큰 연관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문제의식을 활동가들이 갖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또한 시간이 흐를수록 다양한 신념을 가진 정치적 병역거부자가 등장했던 것 역시 이 긴장을 더욱 팽팽하게 만든 요인이었다. 정치적 병역거부자들은 피해자가 아닌 저항의 주체로서 스스로를 규정하고, 대체복무제를 넘어서는 언어와 실천을 만들어갔다.

하지만 이러한 내부의 긴장관계가 온전하게 드러나진 못했는데, 대체복무제 개선이라는 목표가 가진 현실적 시급함 때문이었다. 대신 운동은 대체복무제 개선운동의 담론을 확장하고, 매체 사업이나 퍼포먼스 등을 통해서 평화운동의 지향을 표현해갔다. 대체복무제 개선이 계속 연기되는 상황 속에서 한국 병역거부운동은 대체복무 이상의 의제를 만들어내지는 못했지만, 성역화 되어있었던 징병제와 군대에 대해 저항하는 주체들을 가시화시켰다는 점과 국가 폭력에 대해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언어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평화운동으로서 큰 의의를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movement for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has always been a hotly debated topic for the last 10 years. Yet most of the studies on the movement focused on the propriety of criminal punishment on conscientious objectors(COs), and few approached it as a social movement. This study analyzes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in South Korea as a peace movement. This study examines tensions between the two orientations of the movement, 'freedom of conscience' and 'anti-militarism' and pays a close attention to how the movement confronted militarism.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emerged as a form of social movement quite late in South Korea. Peace activists were given a proposition to take up the cause of COs from foreign activists, and they succeeded in making the sufferings of COs a public issue. In the beginning, the prejudice on Jehovah's Witnesses, a minor sect in the Christian community, was a huge obstacle to the movement.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political COs such as Oh Taeyang, activists could reinforce their argument that objection to military is a universal act of conscience, not something unique to a minor religious sect. But the rigid militarism of Korean society forced them to focus on demanding a reform of the alternative service system, compromising the ideals of anti-militarism.

This compromise created some tensions within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Activists came to realize that the alternative service system might have little things to do with peace movement. The emergence of political COs who based their objection on a variety of causes also helped increase the tensions. They identified themselves as agents of resistance, not victims, and took actions beyond demanding institutional reforms. Yet, the dominance of the immediate goal of pushing through those reforms within the movement deterred these tensions from finding a full outward expression. The activists instead tried to extend the scope of political discourse of the movement, and ran anti-militarism campaigns from time to time.

The movement has failed to draw up new agenda and action plans that are not confined to demanding a reform of the alternative service system, largely because the government has long refused to do it. Meanwhile, there are somethings to be evaluated the achievements of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as a campaign of anti-militarism. First of all, it has raised questions about state violence. It was actually the first social movement in South Korea that questioned the legitimacy of the monopoly of violence by the state. Moreover, the movement succeeded in positioning COs as 'upright objectors', creating a crack in the compulsory military system.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항쟁 공동체와 지양된 국가 :5·18 공동체론을 위한 철학적 시도 김상봉 pp.5-4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바깥으로 나가는 역사, 5·18 박구용 pp.47-8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5·18광주민주항쟁의 기억과 교육 최영태 pp.81-10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1980년 봄의 위기담론과 지역엘리트의 대응 :광주지역의 '서울의 봄' 및 '난리' 담론을 중심으로 최정기 pp.111-13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관용의 조건으로서의 인권적 정의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한 옹호론 소병철 pp.137-16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와 법의 지배 :정치의 사법화를 중심으로 오승용 pp.163-19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1인 시위와 촛불시위의 정치철학적 의미 :한나 아렌트적 해석 채진원 pp.197-23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인터넷 항의와 정치참여, 그리고 민주적 함의 :2008년 촛불시위 사례 고경민 ;송효진 pp.233-26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인터넷 미디어의 언론피해 구제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구성론적 해석과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송경재 pp.271-30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평화운동으로서의 한국 양심적 병역거부운동 연구 임재성 pp.305-35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청소년 참여권 연령에 대한 부모-교사-청소년간 인식 차이 연구 김윤나 pp.353-38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탈사회주의 이행기 베트남에서 국가-노동 관계 이한우 pp.383-42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현실사회주의 소련과의 비교로 본 베네수엘라의 21세기 사회주의 전망 정재원 ;성문주 pp.423-47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퀘벡 '상호문화주의'의 문화적 다양성 관리의 한계 :시크 '키르판' 착용 논쟁을 중심으로 김경학 pp.473-50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6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개혁을 위한 종교인네트워크•천주교 인권위원회•자유정책연구원. 2005. "한국 종교와 양심적 병역거부 토론회 자료집." 미소장
2 국가인권위원회. 2005. “양심적 병역거부 결정문.” 미소장
3 국군의날 군사퍼레이드를 반대하는 사람들. 2008. "국군의날 군사퍼레이드 반대행동 보도자료." 미소장
4 국방부. 2007. “‘병역이행 관련 소수자’의 사회복무제 편입 추진 방안.” 미소장
5 국회 국방위원회. 2005. “임종인의원 대표발의, 노회찬의원 대표발의 병역법중법률개정안에 관한 국회 국방위원회 공청회 자료집.” 미소장
6 2001. 병역거부 소견서 "평화와 인권을 위한 작은 행동." 미소장
7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병역거부 연대회의. 2002. “한국에서의 양심적 병역거부의 현황과 인권문제 - 제 58차 인권위원회 보고서.” 미소장
8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병역거부 연대회의 전쟁 저항자 인터내셔널. 2004. "한국의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 현황과 인권문제: 제60차... 미소장
9 불교인권위원회. 2002. "불교의 평화사상으로 본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 실현과 대체복무제 개선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미소장
10 2006. 병역거부 이유서. 미소장
11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 실현과 대체복무제 개선을 위한 불교연대. 2002. “호국불교와 폭력문화를 넘어서 : 양심적 병역거부의 의미를 묻는다.” 미소장
12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 실현과 대체복무제도 개선을 위한 연대회의 회의록.2003년 2월 4일 2009년 3월 5일. 미소장
13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 실현과 대체복무제도 개선을 위한 연대회의. 2002. "전 세계 병역거부운동의 동향과 전망: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 해외의... 미소장
14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 실현과 대체복무제도 개선을 위한 연대회의 2003.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과 대체복무제: 국제인권기준을 통해 본 한국의... 미소장
15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 실현과 대체복무제도 개선을 위한 연대회의 2004. "5 15 세계병역거부자의 날 행사 취재요청." 미소장
16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 실현과 대체복무제도 개선을 위한 연대회의 2007.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 사례 유엔 유권규약위원회(Human Rights... 미소장
17 2005. 병역거부 소견서. 미소장
18 2001. 병역거부 소견서. 미소장
19 우리신학연구소•천주교 인권위원회. 2005. "고동주(비오) 학생의 신념에 따른 병역 거부 선언을 어떻게 볼 것인가?" 미소장
20 2001. 병역거부 소견서 "전쟁반대와 평화실현의 양심을 위하여." 미소장
21 2003 "한국에서의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운동."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과 대체복무제: 국제인권기준을 통해 본 한국의 현황과 과제』 국제회의... 미소장
22 전쟁없는세상 소식지. 2호(2004년 2월) ~28호(2010년 7월). 미소장
23 전쟁없는세상 회의록. 2003년 6월 30일 ~2010년 4월 2일. 미소장
24 2001. “양심적 병역거부 : 양보할 수 없는 인간의 권리.” 인권운동사랑방 월례포럼 발제문. 미소장
25 평화수감자의 날 준비모임. 2007. "12•1 평화수감자의 날 행사 ‘밀리터리 인더 시티’ 취재요청 건." 미소장
26 평화인권연대 외. 2001. "양심•종교의 자유와 군대체복무를 위한 토론회." 미소장
27 한국기독교총연합회. 2001. "병역을 거부하는 '여호와의 증인'을 위한 대체복무제 입법을 반대한다(2001년 6월 1일)." 미소장
28 한국남자수도회•사도생활단 장상협의회. 2007. "양심적 병역거부와 가톨릭교회 : 양심적 병역거부와 대체복무제 도입에 대한 신학생... 미소장
29 2003. "양심적 병역거부운동의 현황과 과제." 병역거부 연대회의.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과 대체복무제: 국제인권기준을 통해 본한국의 현황과... 미소장
30 2002.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최근의 노력과 도전들." 병역거부 연대회의. 『12•17 국제회의 자료집 - 전 세계 병역거부운동의 동향과 전망.』 미소장
31 UN Document, CCPR/C/KOR/CO/3, "Consideration of Reports submitted by State Parties Under Article 40 of The Covenant –... 미소장
32 한국사회와 양심적 병역거부 : 역사와 특성 소장
33 한국사회의 병역거부 운동을 통해 본 남성성 연구 소장
34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서울: 후마니타스, 2007). 미소장
35 (2005) 『대한민국은 군대다』 청년사. 미소장
36 Peace Culture and the Movement in Civil Society to Establish the Korean Peace Regime 소장
37 2007. 『평화의 얼굴』. 교양인. 미소장
38 양심적 병역거부자, 어떻게 할 것인가? : '대체복무제도에 대한 전문가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소장
39 전후 서독의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논의 소장
40 2007. 『군사주의에 갇힌 근대』. 이현정 옮김. 또 하나의 문화. 미소장
41 2005.『한국여성평화운동사』. 서울: 한울아까데미. 미소장
42 2002. 『양심적 병역거부』. 사람생각. 미소장
43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 비무장 군복무의 기원과 발전 소장
44 양심의 자유와 국방의 의무가 충돌하는 경우 국가는 Leviathan이어야 하는가? : 양심적 병역거부에 결정과 관련하여 :헌법재판소 2004.8.26. 선고 2002헌가1 결정 :대법원 2004.7.15. 선고 2004도2965 판결 소장
45 2004.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와 시민불복종』. 그린비. 미소장
46 “시민불복종과법치주의적상상력,”「시민과세계」, 3호(2003). 미소장
47 2005. 『양심적 병역거부: 2005년 현실진단과 모색』. 사람생각. 미소장
48 2001. “독일에서 병역거부와 민간봉사.” 미소장
49 2007. "민주화 이후 인권 문제의 전개 양상." 학술단체협의회 편. 『한국 민주주의의 현실과 도전』.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50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국제사례와 양심의 자유 소장
51 전쟁없는세상 한홍구 박노자. 2008. 총을 들지 않는 사람들. 철수와영희. 미소장
52 2005.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운동의 현황과 전망.” 윤수종 외. 우리시대의 소수자 운동. 이학사. 미소장
53 2004. "한국 평화운동의 성과와 전망, 그리고 과제." 『한국사회학회심포지움 논문집』. 한국사회학회 2004년도 특별 심포지움. 미소장
54 2007. 양심과 사상의 자유를 위하여 (개정판). 책세상. 미소장
55 한국사회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국가와 종교의 대응 소장
56 종교적 사유 등에 의한 입영거부자 사회복무체계 편입방안 네이버 미소장
57 2008. “한국의 징병제와 병역거부의 역사.” 전쟁없는세상 한홍구 박노자. 미소장
58 2005. "양심적 병역거부와 관용의 증가." 이석우 편. 『양심적 병역거부』.사람생각. 미소장
59 2007. 『직접행동: 21세기 민주주의, 거인과 싸우다』.교양인. 미소장
60 1992. Peace Movement: International Protest and World Politics. London: Longman. 미소장
61 1996. Militarization and Demilitarization in Contemporary Japa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미소장
62 Social Movements and Citizenship: Conscientious Objection in France, the United States, and Israel 네이버 미소장
63 1996. Conscience at war : the Israeli soldier as a moral critic,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미소장
64 States, War and Capitalism, Oxford: Blackwell, 1988. 미소장
65 UK-14,304, R(−)-α-methyl-histamine and SMS 201-995 block plasma protein leakage within dura mater by prejunctional mechanisms 네이버 미소장
66 2002. "CO as a human right vs CO as antimilitarist action." Broken Rifle 55. 미소장
67 2000. "Conscientious objection in Germany: Antimilitarist weapon or individualist right?"(http://andreasspeck.info/?q=en/node/44) 미소장
68 1971. 『非武装国民抵抗の思想』,東京:岩波新書.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