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체형과 얼굴형에 따른 셀프 패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 구성 : 일반 포멀 정장을 중심으로 / 이언영 ; 이인성 1

[Title] 1

(요약) 2

(Abstract) 2

1. 서론 3

2. 이론적 배경 3

2-1. 패션 이미지메이킹 3

2-2. 셀프 패션 이미지메이킹의 시스템 현황 분석 4

3. 셀프 패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을 위한 채형과 얼굴형 제작 구성 5

3-1. 체형 제작 6

3-2. 얼굴형 마네킨 제작 7

4. 셀프 패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을 위한 패션 아이템 제작 구성 7

4-1. 여성 패션 아미템 제작 구성 7

4-2. 남성 패션 아이템 제작 구성 8

5. 셀프 패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 구성 8

5-1. 셀프 패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 특징 8

5-2. 셀프 패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 기능 9

6. 결론 10

참고 문헌 10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중에게 패션 이미지메이킹에 관한 이해도 증진 및 친근도를 높을 수 있는 비쥬얼적 자료를 통해 체형과 얼굴형에 따른 셀프 패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을 개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 패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을 통해 본인의 신체의 유형을 분석하고 체형에 따른 패션 아이템 선택에 있어 실제 상품과의 동일한 표현이 가능한 2D 맵핑을 통해 스스로 분석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함에 있으며, 이를 통해 일반 대중들이 본인에게 가장 알맞은 패션을 연출할 수 있는 셀프 이미지메이킹 능력향상에 그 의의가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고찰 및 전문 패션정보 제공 인터넷 사이트, 한국인 표준 체형 뷴류(sizekorea,kats.go.kr) 등의 웹사이트, 마이버츄얼 모델(virtualmodel.com), 이미지 테크(imagetech..co.kr) 등의 사이버 패션 코디네이션과 이미지메이킹 연구소의 자료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실제 남녀의 체형 마네킨과 얼굴형을 제작? 시술하고 그에 따른 의상을 제작? 촬영하여 체형과 얼굴형에 따른 셀프 패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체형과 얼굴형에 따른 패션 이미지메이킹의 효과적인 연출 방법을 모색하고, 대중에게 패션 이미지메이킹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패션 이미지메이킹의 시각적 연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has developed and constructed self-fashion imagemaking system by facial and body types to promote and to increase affinity to fashion imagemaking through proving visual data. This system enables to understand one’s body type and to analyze and select fashion items by 2D mapping that has similar expression with actual products.

This study has conducted a theoretical research by reviewing literatures, internet sites with specific fashion information, websites which provides information of Korean standard body type (sizekorea.kats.go.kr), cyber fashion coordination like virtua lmodel (virtualmodel.com), image tech (imagetech.co.kr), and etc, and research data of image making labs. Further, this study has produced and constructed male and female facial and body types, designed and filmed corresponding clothing to construct self-fashion image making system.

As a result, this study has sought effective coordination by different facial and body types and proposed visual coordination methods to improve the public understanding of fashion image mak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각장애인을 위한 센서지팡이 디자인개발 연구 임채홍 pp.1-8

보기
감성적 CI디자인 개발과정을 위한 이미지텔링의 활용 :심벌 디자인을 중심으로 정철종 pp.9-18

보기
초기 컴퓨터 예술로부터 사이버네틱스 미학으로의 전개 박상현 pp.19-28

보기
행동유발을 통한 창조적 업무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정도균 pp.29-36

보기
도시경관의 시지각 특성과 선호도와의 관계성 분석 :서울특별시 우수조망명소를 중심으로 서주환 ;박선영 pp.37-47

보기
여성 운전자를 고려한 차량용 내비게이션 UI 디자인 개발 김도윤 ;김현정 pp.49-58

보기
체형과 얼굴형에 따른 셀프 패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 구성 :일반 포멀 정장을 중심으로 이언영 ;이인성 pp.59-69

보기
기호학적 접근에 따른 캐릭터의 외형적 유형별 분석 :퍼스(C. S. Peirce)의 대상체 이론을 중심으로 신재욱 ;박화진 pp.71-80

보기
프로젝트의 의사결정 사례를 바탕으로 한 인터넷 포털 기업 내 사용자 경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지현 pp.81-90

보기
영화 '하녀'의 근대성 인식 연구 :1960년 김기영 감독작 하녀와 2010년 임상수 감독작 하녀 비교를 중심으로 김선진 pp.91-100

보기
장면 연출에 따른 3D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의 입체감 변화에 관한 연구 :카메라 앵글과 피사체 거리를 중심으로 김재현 ;성재우 ;이석호 pp.101-110

보기
그린제품 구매 인지 매트릭스에 따른 그린소비자 유형별 접근법 장국진 ;최현미 pp.111-120

보기
시각기호로서 숫자의 활용이 이미지연상에 미치는 효과 김준교 ;김덕순 pp.121-129

보기
중국 TV광고에 나타난 공익가치의 기호학 접근 :1996년~2010년간의 중국 TV공익광고를 중심으로 육방 ;권상우 pp.131-140

보기
발산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의 디자인 프로세스 조현재 ;이현주 pp.141-152

보기
재매개 이론을 이용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과 콜라주(Collage)의 시각구조 비교 조용재 pp.153-162

보기
노출빈도에 따른 스폰서로고에 대한 연구 :여자골프 중계방송을 중심으로 장훈종 ;최보아 pp.163-171

보기
실내 공간에서 나타나는 유기적 표현특성의 작가별 비교 연구 :자하하디드, 카림라시드, 파비오노벰브레, 녹스의 작품 중심으로 이연실 pp.173-186

보기
3D 입체영상의 제작단계별 작업공정에 관한 연구 소요환 pp.187-194

보기
디지털 컨텐츠를 위한 자동 얼굴 표정 합성 시스템 개발과 얼굴 표정 인식에서의 얼굴 유형 효과 노승관 pp.195-204

보기
국내 포털사이트 지도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 :네이버지도와 다음지도 비교를 중심으로 강보람 ;김승인 ;이윤식 pp.205-216

보기
유사디자인 제도의 보호범위의 모형화와 디자인 권리 확대 방안 이상영 pp.217-230

보기
서울시 공공 자전거 사업의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키오스크 광고를 통한 수익 확보를 중심으로 이정윤 ;김승인 ;이용재 pp.231-241

보기
게슈탈트 이론이 적용된 모션그래픽의 표현연구 이윤정 ;김해태 pp.243-253

보기
사이버네틱스 이론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모바일 위젯 개발에 관한 연구 박재완 ;김주연 pp.255-264

보기
영상인식 기반 인터랙티브 디지털 콘텐츠 구현 및 사용 편의성 분석 김태완 ;김승훈 ;조흥목 ;박태근 pp.265-274

보기
부산 광복로 공공디자인 시범사업 유지관리 사례분석 연구 박광철 pp.275-287

보기
중국 상하이엑스포에서의 인터랙티브 디자인 표현 유형 분석 :개별과 집단 인터랙티브 전시디자인 중심으로 오선애 pp.289-299

보기
국내 자동차 웹사이트의 접근성 평가 정혜경 ;고장혁 pp.301-310

보기
최근 레스토랑에 적용된 그래픽 특성 분석 :2005년 이후 완성 작품을 중심으로 이진영 pp.311-324

보기
모바일 폰 입력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한 사용자 경험 비교평가를 통한 디자인 적용방향 연구 한상복 ;윤세균 ;김태균 pp.325-334

보기
캐릭터 제작을 위한 사상체질의 효용성 :스튜디오 픽사 캐릭터 중심으로 임원영 ;김석래 pp.335-344

보기
영상 동화 프로그램이 노인 언어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보람 ;최종훈 pp.345-354

보기
3R기반 친환경 디자인 평가 체계연구 :플라스틱 제품 중심으로 정석길 pp.355-366

보기
생태학 관점에서의 환경디자인 패러다임 연구 박문형 pp.367-376

보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적용한 QR 코드 활용 방안 김윤미 ;김승인 pp.377-387

보기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Pictorial typography)의 수사학적 표현 연구 윤수진 ;임헌혁 pp.389-398

보기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모바일 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이재영 ;김승인 pp.399-410

보기
문화인터페이스로서의 스마트폰에 대한 재매개론적 고찰 김형우 pp.411-420

보기
전시공간 구성에 대한 시각정보시스템디자인(VISD) 연구 :국립충주대학교 박물관의 중원문화 특별전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송연호 pp.421-429

보기
2010 아르스 일렉트로니카를 통해 바라본 사회 참여적 미디어아트 발전 방향 오명하 ;조이수 ;김형기 pp.431-439

보기
미국 애니메이션 <쿵푸 팬더>에서 표현된 중국 이미지에 관한 연구 :색채 상징을 중심으로 신정안 ;김승인 pp.441-450

보기
기업 혁신의 전략적 수단으로서 서비스화와 디자인의 연계성 고찰 윤슬아 pp.451-460

보기
가상 로봇 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감성 반응 연구 서정미 pp.461-471

보기
소비자-브랜드 관계형성을 위한 단계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방안 연구 김정규 pp.473-482

보기
의자디자인 스타일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중식 pp.483-493

보기
지역공동체 개선을 위한 지역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 조정형 pp.495-503

보기
바코드 혁명-국내외 디자인 QR코드에 대한 방향과 연구 :국내외 디자인 QR코드의 사례를 바탕으로 박선하 pp.505-514

보기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브랜드 로고에 관한 연구 :롤랑 바르트의 의미작용 이론과 SD법을 활용한 국내 주유 브랜드 로고의 이미지 분석 박영원 ;오현경 pp.515-524

보기
애니메이션 <해피피트>에 나타난 안티히어로 캐릭터 분석 :라캉의 '상징계'를 중심으로 김은주 ;김재웅 pp.525-533

보기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국내 공공 서비스 디자인 비즈니스 모델 개발 이용재 ;김승인 pp.549-559

보기
프로젝션 매핑을 이용한 오브젝트 및 공간 표현 연구 김명우 ;김동조 ;김형기 pp.561-570

보기
하천 정비 사업을 위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오승호 pp.571-579

보기
장소와 지역주민의 상관관계에 따른 지역 명소화를 위한 연구 :안양천 명소화와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하여 박신자 pp.581-590

보기
미디어 아트에서의 감각별 표현유형 분석 황경섭 ;조이수 ;김형기 pp.591-601

보기
미야자키하야오 애니메이션의 메카닉 디자인 조형성 연구 김준수 pp.603-611

보기
최근 자전거 디자인 현황과 프레임 데칼 디자인에 대한 연구 이해구 pp.613-623

보기
인터랙티브 옥외광고의 표현 기법 특성에 대한 연구 이동민 ;박오름 pp.625-635

보기
허영만의 만화 연출에서 나타나는 비정적묘사(非情的描寫, Hard-Boiled Style) :만화 '비트(Beat)'를 중심으로 김치훈 pp.637-646

보기
Eye tracking experiment for the difference of attention about visual image by sound availability Kwon, Mahnwoo pp.647-656

보기
플랫폼 특성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육성 게임 디자인 연구 :스마트 폰과 웹 애플리케이션의 대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나현수 ;김승인 pp.657-667

보기
인터넷 배너광고에서 이성과 감성제품에 따른 유머의 표현유형이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영일 ;박영원 pp.669-682

보기
동래읍성의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색채연구 이용미 ;이해구 pp.683-692

보기
웹 사이트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디자인 연구 :INDAF2010 공식 사이트 중심으로 전지윤 pp.693-699

보기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의 환경 캠페인 연구 박서은 ;김승인 pp.701-711

보기
모바일 기기를 통한 문화경험의 확장 임도하 pp.713-722

보기
UX(User Experience)기반의 On-line Marketplace 활성화 전략 :Interaction Web 3D Simulation 기술을 중심으로 노주현 ;정보민 pp.723-732

보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국가주도의 재 디자인센터 구축 방안 이상훈 pp.733-744

보기
콜라주(Collage) 기법을 이용한 웹디자인 연구 김해연 ;김규정 pp.745-754

보기
TV홈쇼핑용 방송 화면디자인 요소가 구매자에게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중식 pp.755-764

보기
멀티미디어 내비게이션의 유저빌리티와 VOA 분석 연구 장호현 ;김성훈 ;김민아 pp.765-778

보기
평생교육으로서의 디자인교육 사례연구 정기수 ;현은령 pp.779-788

보기
신도시 도로 교통정보 UX측정을 위한 프로세스 디자인 개발 :인천 송도 신도시 보행 사용자 UX 측정을 중심으로 최영현 ;김승인 ;김원섭 ;김효일 pp.789-802

보기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시간혼합의 디자인 특성 :2000년~2008년 여성 컬렉션을 중심으로 박문희 ;김차현 pp.803-812

보기
차량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도로표지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조정형 pp.813-822

보기
R.P시스템을 활용한 공예문화디자인 산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박성현 pp.823-832

보기
제품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을 위한 인포먼스 디자인 모델링 방법 연구 배동훈 ;김원택 pp.833-842

보기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한 환경조각의 3D 시뮬레이션 제작과정 연구 김영희 ;조연제 pp.843-851

보기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ransactions : Favorable Colors on the Facial Color Types of Korean Adult Females 소장
2 Transactions :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Shape on Formative Attributes of a Face 소장
3 김재숙, 이미숙, 문선희, (2006). 여성의 하의 형태와 색 상에 따른 이미지메이킹효과. 충남생활과한연구지, 19(1), PP. 29-41. 미소장
4 김정식, 최수미, (2004). 다중 감각 기반 3차원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터.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8(1), PP. 35-46. 미소장
5 모영일, (2006). 웹에서의 효율적인 패션 코디네이션 서비스 구현이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52~78. 미소장
6 A Study of Body Size and Body Cognition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소장
7 A Study on the Face Image to Shape Differences and Make up 소장
8 신민영, 최우혁, 최창석, 김효숙, (2001). 3D 패션 코디 네이션을 위한 한국인 3D모델 DB와 인체변형, 한국정보 처리학회지, 8(1), pp. 1217-1220. 미소장
9 양정순(2010). 6가지 얼굴형에 어울리는 화장기법과 헤 어 스타일의 이미지 지각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pp. 71-75. 미소장
10 이경화(2006). 한국 성인 여성의 연령별 얼굴 형태 특성 에 관한 연구. 태평양 학술문화 연구 논문집, 15. pp. 45 -114 미소장
11 최미성(2000) 20대 여성의 체형 특성에 관한 고찰, 의류 산업학회지, 2(1). pp. 81-85. 미소장
12 Transactions : A Study on the Fashion Styling for Personal Image Making 소장
13 Transactions : Construction of the Personal 3D Characters for Virtual Clothing Coordination 소장
14 Buger, H., (1981). 體育․ 敎授學․, 東京, 不味堂出版, 調和56. 미소장
15 M. Arsyle, (1,975). Bodily Communication,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PP. 78-82. 미소장
16 Walter Lippman, (1992). Public Opinion New York, Macmillan. pp. 24~28. 미소장
17 http:// www. cft.or.kr (2010.8.17) 미소장
18 http:// www. firstviewkorea.co.kr (2010.9.11) 미소장
19 http:// www. imageteck.co.kr (2010.9.11) 미소장
20 http:// www. samsungdesign.net (2010.8.17) 미소장
21 http:// www. sizekorea.kats.go.kr (2010.6.5) 미소장
22 http:// www. virtualmadel.com (2010.9.27) 미소장
23 http:// www.ifashion.co.kr (2010.9.27) 미소장
24 http:// www. fcodi.com (2010.9.27) 미소장
25 http:// www. stylezone.com (2010.9.2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