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미술적 창의성에 대한 탐구 / 김황기 1
〈요약〉 1
I. 서론 1
II. 창의성의 미술적 정의 3
1. 미술품의 정의 3
2. 창의성의 미술적 정의 4
III. 미술적 창의성의 요소 5
IV. 미술적 창의성의 특성 7
1. 의식적 발견 대 우연적 발견 7
2. 기존지식 중시 대 지식발견 중시 9
3. 불굴의 의지 대 샘솟는 환희 10
4. 분석적 발견 대 종합적 발견 10
5. 차가운 이성 대 뜨거운 감성 11
V.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12
1.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시사한다. 12
2. 미술적 방식이 창의적인 방식과 관련됨을 시사한다. 13
3. 대부분의 사람들이 창의적임을 시사한다. 14
4. 창의성은 영역 통합적인 측면이 강함을 시사한다. 15
VI. 결론 15
【참고문헌】 17
【Abstract】 20
관조자, 제 3자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미술적 창조가 발생하고 창조적 작업에 관여한 실제 느낌과 미술가들의 진술에 근거해서 미술적 창의성, 미술적 창의성의 요소, 미술적 창의성의 특징 등을 탐구하였다. 우선, 미술가와 대상과의 만남이 이루어져 합일된 상태가 미술적 창의성이 발현된 상태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만남이 이루어졌다는 증거로 몰입을 들었다. 몰입의 상태, 즉 강렬성과 정열은 미술가와 대상의 독창적이고 새로운 만남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기 때문이다. 미술적 창의성의 요소로 두 가지를 거론하였는데, 하나는 헌신이고 다른 하나는 전(全)사고다. 미술적 창의성의 특성은 ‘우연적 발견’, ‘지식발견’, ‘샘솟는 환희’, ‘종합적 발견’, ‘뜨거운 감성’에 보다 의지한다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창의성의 일반 정의들이 결과물의 질이나 능력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예술가 그룹의 미술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는 창의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 내적 성향, 즉 의식의 고양상태를 강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finition of artistic creativity through experiential feelings, anecdotal statements and studies on creativity of artists.
First, artistic creativity is the powerful and alive encounter between the artist and his or her world. The encounter make the two become one. The sign of encounter is the flow. Therefore without flow the creativity can't manifest itself.
Second, I raised dedication and multi-dimensional thinking as the elements of artistic creativity. Creative people use personal and intuitive tools for thinking to achieve their insights, resorting only in an explicitly secondary step to translating their personal knowledge into a formal language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Root-Bernstein, 2001, 2002, 2003; Root-Bernstein & Root-Bernstein, 1999).
Finally, I insisted that artistic creativity more rely on the serendipity, the discovery of knowledge, the ecstasy, the holistic discovery, and the emotion than the intentional discovery, the existing knowledge, the perseverance, the partial discovery, and the reason. The former is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creativity.
While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focus on the capability of person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artistic creativity stress on person's inner disposition, that is enhanced consciousness. This study is about the definition of artistic creativity focused on person's inner disposition.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Scientific Creativity | 소장 |
2 | 예술적 창조성에 대하여 '시각적 사고' 개념이 지니는 함축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소장 |
3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for Enhancing Creativity through the Subject - matters | 소장 |
4 | 전경원(2000).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 서울: 학문사. | 미소장 |
5 | 茂木 健一郞: 모기 겐이치로(2006/2007). 창조성의 비밀 . 이경덕 역, 創造性の 秘密 서울: 브레인월드. | 미소장 |
6 | Cameron, J. (1992). 아티스트 웨이 . 임지호 역(2003), Artist's way. 서울: 경당. | 미소장 |
7 | Csikszentmihalyi, M. (1975/2003). 몰입의 기술 . 이삼출 역, 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loring flow in work and play. 서울: 더불어책. | 미소장 |
8 | Dewey, J. (1934/2003). 경험으로서의 예술 . 이재언 역, Art as experience. 서울: 책세상. | 미소장 |
9 | Ghiselin, B. (1961/1995). 예술창조의 과정 . 이상섭 역. The creative process.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0 | Maisel, E. (2000/2009). 일상 예술화 전략 . 조동섭 역, The creative book. 서울: 마음산책. | 미소장 |
11 | Langer, E. (2005/2008). 예술가가 되려면 . 이모영 역, On becoming an artist.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2 | Lowenfeld, V. (1975/2002).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 서울교대미술교육연구회 역, Creative and mental growth. 서울: 미진사. | 미소장 |
13 | May, R. (1975/1999). 창조와 용기 . 안병무 역, The courage to create. 범우사. | 미소장 |
14 | Read, H. (1932/1992). 예술이란 무엇인가 . The meaning of art. 윤일주 역 서울: 을유문화사. | 미소장 |
15 |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1999/2007). 생각의 탄생 . 박종성 역, The spark of genius. 서울: 에코의서재. | 미소장 |
16 | Rolf Gunter, R. (1999/2005). 에드워드 호퍼 . 정재곤 역, Edward Hopper, 1882-1967. 서울: 마로니에 북스. | 미소장 |
17 | Whitehead, A. N. (1932/1996). 관념의 모험 . 오영환 역, Adventures of ideas. 파주: 한길사. | 미소장 |
18 | Alexander, N., & Langer, J. (1990). (Eds.). Higher stage of human development: Perspective on adult growt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9 | The Ghost of Creativity in Art Education ![]() |
미소장 |
20 | Amabile, T.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Springer- Verlag. | 미소장 |
21 | Arnheim, R. (1971). Entropy and art: An essay on disorder and order.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22 | Barron, F. (1988). Putting creativity to work.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3 | Csikszentmihalyi, M. (1988).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4 | Commons, M., Richards, F., & Armon, C. (1984). Beyond formal operations. New York: Praeger. | 미소장 |
25 | Feldman, D. H. (1988). Creativity: Dreams, insights, and transformations. In Gardner, H. (1988). Creative lives and creative works: A synthetic scientific approach.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6 | Gardner, H. (1988). Creative lives and creative works: A synthetic scientific approach.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 | Gruber H. E. & Davis, S. N. (1988). Inching our way up mount Olympus: The evolving-system approach to creative thinking.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8 | Johnson-Laird, P. (1988). Freedom and constraint in creativity. In Sternberg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9 | Langley, P. & Jones, R. (1988). A computational model of scientific insight.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0 | Miller, E., & Cook-Greuter, R. (1994). (Eds.). Transcendence and nature thought in adulthood. Lanham, MD: Ro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 미소장 |
31 | Miller, L. (2001). Einstein, Picasso. New York: Basic Books. | 미소장 |
32 | Plato, (1948). The works of Plato. New York: George Bell and Sons. | 미소장 |
33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
미소장 |
34 | Shlain, L. (1991). Art and physics. New York: Harper Collins. | 미소장 |
35 | Wallack, M., & Kogan, N. (1965). Modes of thinking in young children. New York: Holt, Rinehar & Winston. | 미소장 |
36 | Weisberg, R. W. (1993). Creativity: Beyond the myth of Genius. WH: Freeman and Company. | 미소장 |
37 | Wilber, K. (1998). The marriage of sense and soul, New York: Random Hous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