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캐나다 토론토대 '토마스 피셔 희귀본 장서실'에 소장된 『게일문서』 소재 고소설 자료의 현황을 조사한 보고서이다. 우리는 『게일문서』에 게일의 미간행 고소설 영역본 및 관련자료가 있음을 방문조사를 통해 확인했다. 그것은 직접 자필로 작성한 17종 고소설 영역본, 이에 대한 교정원고로 추정되는 3중의 영역본, 번역저본으로 추정되는 6종의 한글 필사본이다. 이 중 타이프로 친 <심청전>과 <토끼전>의 교정원고 2종은 출판된 적이 없던 고소설 영역본인데, 그 저본은 경판<심청젼>20장본(송등본)과 경판<토($$)전>임을 알 수 있었다.

"$$ : 원문참조"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전소설의 다시쓰기 출판물 연구 시론 권혁래 pp.5-39

이해조의 <소양정>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 서혜은 pp.41-74

중국 근대 章回小說 <英雄淚>에 대한 고찰 牛林杰 ,劉惠瑩 pp.75-89

<귀토지설>과 <화왕계>의 대비적 고찰 윤주필 pp.91-123

<金現感虎>를 통해 본 전기소설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 류준경 pp.125-152

<최치원>의 창작 배경과 서사적 특징 엄태식 pp.153-184

타자의 서사, 타자화의 서사, <홍길동전> 김경미 pp.185-212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윤세순 pp.213-258

<벽허담관제언록> 이본 연구 :완질본을 중심으로 Kobyakova Uliana pp.259-283

<벽허담관제언록>에 구현된 상층여성의 애욕담론 조광국 pp.285-314

<김태백전>의 영웅소설적 성격과 의미 김재웅 pp.315-344

<양소저전> 연구 :작품 교섭 양상과 주인공의 여성영웅적 성격을 중심으로 조재현 pp.345-374

<춘향전> 소설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게일(James Scarth Gale) <춘향전> 영역본(1917) 출현과 그 의미 李祥賢 pp.375-417

『게일 문서(Gale, James Scarth Papers)』 소재 <심청전>, <토생전> 영역본의 발굴과 의의 권순긍 ,한재표 ,이상현 pp.419-494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게일 문서 (Gale, James Scarth Papers[manuscript])(토론토대 토마스 피셔 희귀본 장서실 소장). 미소장
2 김진영 外 編, 심청전 3, 박이정, 1998. 미소장
3 김진영 外 編, 토끼전 전집 2, 박이정, 1998. 미소장
4 凡外生, 「獻身과 活動으로 一貫한 奇一 博士의 生活과 業績」, 조광 18호, 1937.4, 95쪽. 미소장
5 James Scarth Gale, “Choonyang”, The Korea Magazine, 1917.9~1918.8.(The Korea Magazine Ⅰ~Ⅲ, Seoul : Yonsei univ. Audiovisual Center,[19--](소장처 : 국회도서관 자료형태 : 1 microfilm ; 35 mm). 미소장
6 James Scarth Gale, “Fiction”, The Korea Bookman, 1923 March, pp.4~6. 미소장
7 김봉희, 「게일(James Scarth Gale, 기일(奇一))의 한국학 저술활동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 서지학회, 1988, 137~163쪽. 미소장
8 백주희, 「J. S. Gale의 Korean Folk Tales 연구: 임방의 천예록 번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2008, 1~86쪽. 미소장
9 오윤선, 한국 고소설 영역본으로의 초대 , 지문당, 2008, 1~230쪽. 미소장
10 'Hybrid Origin' of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 「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 소장
11 동양 異文化의 표상 一夫多妻(polygamy)를 둘러싼 근대 『구운몽』 읽기의 세 국면 : 스콧(Elspet Robertson Keith Scott), 게일(James Scarth Gale), 김태준의 『구운몽』 읽기 소장
12 이상현, 「제국들의 조선학, 정전의 통국가적 구성과 유통」, 한국근대문학연구 18, 2008, 67~100쪽. 미소장
13 《천예록》, 《조선설화 : 마귀, 귀신 그리고 요정들》(Korean Folk Tales : imps, ghost and fairies) 소재<옥소선·일타홍 이야기>의 재현양상과 그 의미 소장
14 인권환, 토끼傳․水宮歌 硏究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137~162쪽. 미소장
15 장효현, 「구운몽 영역본의 비교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6, 고려대학교BK21 한국학연구단, 2004. 미소장
16 장효현, 「한국고전소설영역의 제문제」, 한국고전소설사연구 ,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308~321쪽. 미소장
17 정규복, 「구운몽 영역본 고-Gale 박사의 The Cloud Dream of the Nine」, 국어국문학 21, 국어국문학회, 1959, 134~157쪽. 미소장
18 정용수, 「천예록 이본자료들의 성격과 화수문제」, 한문학보 7, 우리한문학회, 1998, 129~165쪽. 미소장
19 정용수, 청파이륙문학의 이해 , 세종출판사, 2005, 65~83쪽. 미소장
20 최운식, 심청전 연구 , 집문당, 1982, 28~29쪽. 미소장
21 James Scarth Gale의 韓國學 소장
22 Richard Rutt, James Scarth Gale and his History of Korean People, Seoul : the Royal Asiatic Society, 1972, p.38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