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한국음식문화에 나타나는 융복합성 一考 / 이화형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東아시아古代學會, 2010.12.20
수록지명
東아시아古代學. 제23집 (2010년 12월), pp.475-502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40686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한국음식문화에 나타나는 융복합성 일고 / 이화형 1

【국문초록】 1

I. 머리말 2

II. 인간과 인간 5

1. 정의 공유 5

2. 예절중시 9

III. 인간과 사물 12

1. 자연친화 12

2. 약식동원 16

IV. 사물과 사물 18

1. 국물중시 18

2. 숟가락중시 21

V. 맺음말 23

【참고문헌】 25

〈Abstract〉 27

초록보기 더보기

우리는 음식을 통해 남과 情을 나누고자 하는 의식이 강하며, 간소한 식사와 함께 예절을 중시하는 측면에서 한국의 食文化는 인본주의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음식이라는 객체보다 인간이라는 주체와 주체 상호간의 인간관계가 더욱 중요시 된다. 중국이나 일본도 음식을 나눠 먹고자 하는 점에서는 우리와 다르지 않다고 볼 수도 있으나 한국과 같이 음식을 情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식사를 합리적으로 하는 편이다. 또 한국에는 윗사람이 먼저 수저를 든 다음에 식사를 할 수 있다든가, 어른 앞에서 술을 마실 때 좀 돌아서는 등 엄격한 예절이 많이 전하고 있는 편인데 비해 중국·일본은 이미 상당히 사라졌다고 본다.

한편 인간(주체)과 음식(객체)의 관계에 있어 우리는 비교적 중국·일본의 음식문화보다 더 자연친화적이므로 담백하고 기름기가 적어 신체건강에 더 유리한 편이다. 또한 우리는 일본과 달리 약식동원의 사상에 따라 음식을 보약처럼 여기며 건강에 치중해온 데 비해, 중국인들은 맛·향에 더 신경을 많이 썼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우리 음식문화의 특징은 객체와 객체 상호간의 관계에서 볼 때 일본·중국과 달리 건더기와 함께 국물이 중시되는 점을 들 수 있으며, 더구나 온식의 국물 중시로 인해 숟가락이 발달하고 나아가 수저문화가 형성되었다고 하겠다. 또한 한국식문화는 주식과 부식의 융합, 일상음식과 특별음식의 융복합 등에서도 특징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한중일 3국, 특히 고대동아시아의 食文化가 크게는 서로 비슷하다고 볼 수 있으나, 한국의 식문화를 통해 인간 상호간의 융합과 배려를 중심으로, 인간과 사물(재료)의 융합과 일치, 재료 또는 도구들의 융합과 복합적인 맛의 조화 등이 강함을 살펴볼 수 있다.

Korean and Chinese think that food is very important in life. Korean control the desire of food but Chinese express the desire of food on the other hand.

And the Korean food culture is humane but the food culture of Chinese is practical. It is same that everybody have food together around a big table in China, too. But Koreans have the table manners as the adults eat first. But such as table manners get lost in China. And Koreans have a characteristics of simple food and eating style.

Koreans take high nutritive food as important tonic. Especially Koreans point on healthy and Chinese point on the balance of nutrition and flavor of food. In China, there are much more side dishes than Korea. They are not fermented food. Chinese think natural food culture is important. But Korean food is plain and non-oily, therefore it is more better and healthier than Chinese food. Two nations have the hot food style. In the Korean food culture, every meal needs soup and the cooking method of boiling and steaming is important.

In the end, the food culture of two countries is similar in many parts. But the Chinese food culture is practical and philosophical. One side the Korean food culture is humane and natural and many of stock. The food cul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is similar.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convergence between human and human or things, between materials and balance of flavor in the Korean food culture.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참성단 天祭儀禮의 복원에 대한 시론 :祀靈星儀를 중심으로 김성환 pp.3-5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성단에서 행해진 의례의 유형과 성격 이용범 pp.53-7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김도현 pp.79-12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시론 강화도 塹城壇 유적을 통해 본 단군관련 제사유적 복기대 pp.127-16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개천절과 강화도 참성단 서영대 pp.169-19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한민족 歷史空間의 이해와 江海都市論 모델 尹明喆 pp.197-24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百濟 熊津都城 硏究에 관한 檢討 李道學 pp.247-27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여우의 超越的 性格과 變貌 樣相 朴大福 ,兪亨東 pp.279-31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무학을 나무란 농부>계 설화의 다층적 전승 양상과 그 의미 :'무학이 같이 미련한 소' 모티프의 전승력 점검을 겸하여 이지영 pp.317-36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閑中錄>에 나타난 實記文學的 성격 .7 ,정조의 생애를 중심으로 정은임 pp.363-39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襄陽妓와 宣城妓 史鳳姬에 대한 재고찰 :『朝鮮解語花史』수록 작품의 오류 검토 李麗秋 pp.395-42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변산반도 당신도(堂神圖) 연구 송화섭 pp.425-47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한국음식문화에 나타나는 융복합성 一考 이화형 pp.475-50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笑話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함복희 pp.503-54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神武天皇과 舒明天皇의 國見硏究 李相俊 pp.541-56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불교민속으로서 일본의 우란분회에 관한 연구 魯成煥 pp.563-59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万葉集』에 나타난 시어 '오모카게(面影)考 :'오모(面)'·'가게(影)'를 통해서 사이토 아사코 pp.599-62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源氏物語』와 谷崎潤一郞소설 비교 :등장인물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金龍紀 ,金尙垣 pp.629-65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한국과 일본에서의 <삼국지연의> 전래와 수용 이은봉 pp.659-68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러시아 민담 <아름다운 아내>와 한국 민담 <우렁각시> 비교 연구 안상훈 pp.687-72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다문화사회의 이해를 위한 한국-베트남 설화에 나타난 민족성 비교 연구 전혜경 ,김근태 pp.725-77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韓國食生活史", 三英社, 1978 미소장
2 (2005),『새롭게 쓴 세계의 음식문화』,2005, 교문사, 26쪽. 미소장
3 《중국의 생활민속》, 집문당, 1996. 미소장
4 「한국주거사」,『한국문화사대계』IV,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1964, 51쪽. 미소장
5 젓가락 사이로 본 일본문화 ,교보문고,1997. 미소장
6 에른스트 오페르트(韓우劤), "朝鮮紀行", 一潮閣, 1974 미소장
7 의·식·주를 통해 본 중국의 역사 소장
8 「전통문화의 계승과 한국문화의 세계화」, く우리길벗> 21,2006. 8. 미소장
9 「한시 속의 고려반,약반 이야기」,『만해축전』中, 백담사 만해마을,2010. 8. 5. 182쪽. 미소장
10 「닮은 듯 닮지 않은 한국과 중국의 음식문화」,『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소나무, 2010, 83쪽. 미소장
11 음식천국, 중국을 맛보다 : 이야기 속 중국 음식문화 소장
12 정대성(김문길), "일본으로 건너간 한국 음식", 솔출판사, 2000 미소장
13 「조선시대의 식생활과 음식문화」,『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청년사, 1996,243~244쪽. 미소장
14 「젓가락의 닮음과 숟가락의 다름」,『실크로드와 한국 문화』,소나무,1999, 277~301쪽. 미소장
15 「밥, 무한한 진화의 과정을 밟다」,〈경기문화나루〉2010. 5~6월호. 8쪽. 미소장
16 「중국의 음식문화소고」,『외대사학』7, 한국외국어대학 사학과,1997, 43쪽. 미소장
17 "韓國口碑傳說의 硏究 : 그 變異와 分布를 中心으로", 一潮閣, 1981 미소장
18 「食事と酒, タバコ」,『日本人の生活』, 研究社 1976, 58쪽. 미소장
19 필립 라스킨 외(안기순, 이서연), "세계가 사랑한 한국 :외국인 전문가 10인이 한국을 말하다", 파이카, 2010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