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笑話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 함복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東아시아古代學會, 2010.12.20
수록지명
東아시아古代學. 제23집 (2010년 12월), pp.503-54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40690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소화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 함복희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스토리뱅크 및 웹사이트 구축 5

III. 미디어 콘텐츠 소재로서의 활용 방안 11

IV. 치유 소재로서의 활용 방안 20

V. 결론 33

【참고문헌】 35

〈Abstract〉 37

초록보기 더보기

본고는 설화 중 笑話를 현대적으로 전승 및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笑話를 스토리뱅크 및 웹사이트로 구축하고, 이를 각종 미디어 콘텐츠와 치유의 소재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화에는 설화를 창작하고 향유하는 기층집단의 정서가 잘 드러나 있으며 특히 소화에는 삶의 문제적 국면에 대한 인식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우리 민족이 지닌 해학과 기지, 지혜, 풍자 등이 용해되어 있다. 따라서 笑話를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이나 조울증 등의 정서적 병리현상의 치유 방안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笑話를 미디어 콘텐츠에 활용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고유 정신이 함께 어우러지는 웃음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할 것이다. 笑話를 현대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인간과 인간의 삶을 보다 인문학적으로 이해하고 성찰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

그동안 설화 조사 및 연구는 꾸준하고 다양하게 집적되어 왔다. 이러한 조사 및 연구 결과물은 각 지역 기층민의 삶을 이해하는데 초석이 되기도 하였고, 설화 전승 지역의 문화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되어 왔다. 하지만 설화는 더 이상 생성되지 않을뿐더러 전승이 어려운 환경 속에 놓여 있다. 따라서 집적된 설화 자료를 문화콘텐츠 원형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지만 좀 더 실질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화의 웃음 화소를 각종 미디어 콘텐츠 및 치유에 활용하여 우리 민족의 정서적 원형이 현대적으로 전승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suggests a plan to pass down and utilize a fable, Sohwa (humorous tale), into cultural contents in a modern wa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truct elements of humor appearing in the fable into a storybank or website, and suggest plans to develop it into healing materials and various media contents. The sentiments of the lower-class, which is the class enjoying and creating fables, are well expressed and the optimism to overcome dire conditions of life and warm support of the community are inherent in the elements of humor.

Moreover, the humor, wits, wisdom, and parody of our nation are melted in. Over time,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fables has been constantly and diversely accumulated. These research and investigation results wer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lower-class of each region and were an opportunity to enlarge our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culture where the fable was inherited. However, fables are no longer being created and are placed in an environment difficult to pass down.

Now research and efforts on passing down and utilizing the organized fable materials are necessary. The movements to utilize fables as cultural contents in their original form are increasing. However, most fables are provided as animation source materials for children, utilized as materials for region festivals, or being published as children books. Consequently, this article seeks to provide a new possibility to stimulate public sympathy through the original sentiment of our nation merged with digital contents by utilizing elements of humor into various media contents.

This article has suggested a plan to utilize various media contents requiring Sohwa (humorous tale) by constructing a website and creating a story bank after organizing and analyzing Sohwa among the fables collected over time. Furthermore, this article has suggested a scheme to utilize Sohwa as a healing method for mental pathologies such as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arising from stress. Utilizing Sohwa in media contents will enable the element humo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tents by merging with the unique national spirit, instead of merely being a one-time entertainment. Thus, humor appearing in media contents will retain its true meaning when equipped with the form of humanities while understanding and self-examining human and human life, instead of merely inducing light humor from the audience or achieving high audience rating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참성단 天祭儀禮의 복원에 대한 시론 :祀靈星儀를 중심으로 김성환 pp.3-5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성단에서 행해진 의례의 유형과 성격 이용범 pp.53-7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김도현 pp.79-12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시론 강화도 塹城壇 유적을 통해 본 단군관련 제사유적 복기대 pp.127-16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개천절과 강화도 참성단 서영대 pp.169-19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한민족 歷史空間의 이해와 江海都市論 모델 尹明喆 pp.197-24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百濟 熊津都城 硏究에 관한 檢討 李道學 pp.247-27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여우의 超越的 性格과 變貌 樣相 朴大福 ,兪亨東 pp.279-31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무학을 나무란 농부>계 설화의 다층적 전승 양상과 그 의미 :'무학이 같이 미련한 소' 모티프의 전승력 점검을 겸하여 이지영 pp.317-36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閑中錄>에 나타난 實記文學的 성격 .7 ,정조의 생애를 중심으로 정은임 pp.363-39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襄陽妓와 宣城妓 史鳳姬에 대한 재고찰 :『朝鮮解語花史』수록 작품의 오류 검토 李麗秋 pp.395-42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변산반도 당신도(堂神圖) 연구 송화섭 pp.425-47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한국음식문화에 나타나는 융복합성 一考 이화형 pp.475-50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笑話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함복희 pp.503-54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神武天皇과 舒明天皇의 國見硏究 李相俊 pp.541-56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불교민속으로서 일본의 우란분회에 관한 연구 魯成煥 pp.563-59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万葉集』에 나타난 시어 '오모카게(面影)考 :'오모(面)'·'가게(影)'를 통해서 사이토 아사코 pp.599-62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源氏物語』와 谷崎潤一郞소설 비교 :등장인물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金龍紀 ,金尙垣 pp.629-65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한국과 일본에서의 <삼국지연의> 전래와 수용 이은봉 pp.659-68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러시아 민담 <아름다운 아내>와 한국 민담 <우렁각시> 비교 연구 안상훈 pp.687-72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다문화사회의 이해를 위한 한국-베트남 설화에 나타난 민족성 비교 연구 전혜경 ,김근태 pp.725-77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9. 미소장
2 "강원설화총람.1,춘천시·철원군·화천군", 북스힐, 2006 미소장
3 "강원설화총람.1,춘천시·철원군·화천군", 북스힐, 2006 미소장
4 웃음으로 눈물 닦기,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5. 미소장
5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 치료와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웃음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소장
6 The Influence of One-Time Laughter Therapy on Stress Response in the Elderly 소장
7 웃음의 미학, 유로서적, 2005. 미소장
8 『코미디,웃음과 행복의 텍스트』,커뮤니케이션북스,2006. 미소장
9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며느리 고르기>와<사위 고르기>설화의 비교」,『口碑文學硏究』30, 한국구비문학회, 2010, 10~11쪽. 미소장
10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Humorous stories 네이버 미소장
11 Literary therapeutics of Depression and epic map 소장
12 다매체 환경에서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방식에 대한 FGI 연구 소장
13 웃음, 정연복 역, 세계사, 1992. 미소장
14 청소년 미니홈피,블로그의 사회관계 및 일상문화 소장
15 「바보 이야기의 유형 분류와 그 의미」, 김진영 외,『민속문학과 전통문화』,박이정,1997. 미소장
16 바보설화의 전통과 현대적 변모 소장
17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and the Therapeutic Utility on Folktale 소장
18 TV 코미디 프로그램의 유머 분석 소장
19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Mood, Pain, and Stress of Mastectomy Patients 소장
20 The study on the method of making historical story's cultural contents 소장
21 『디지털 시대의 문화 읽기』, 소명, 2001.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