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차별화된 선거 마케팅 PR캠페인 전략 개발을 위해 한나라당과 민주당 지지자들의 정당 및 후보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이들에게 가장 효율적인 매체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조사는 6.2 동시 지방 선거에서 부산 시장 선거에 참여한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후보자 선택에 있어서 각 요인별로 한나라당 지지자들이 민주당 지지자들에 비해 많이 영향 받은 변인들은 첫째, 후보자 요인에서는 후보자의 지도력·추진력, 후보자 업적과 후보자의 출신지역을 중요시하였고, 둘째, 정당요인에서는 후보자의 정당 내에서 영향력과 공약의 지역 발전 가능성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후보자 인지요인에서는 대중 매체인 TV 연설, 그리고 언론 보도 자료에 많이 영향 받았고, 인쇄매체는 선거 공보, 선거 공약서에 많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민주당과 차별화된 인지 요인으로는 길거리 유세 차량과 TV광고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그리고 한나라당의 지지층은 연령층이 높은 보수층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지지자들이 한나라당 지지자에 비해 차별화된 요인들은 후보자 요인에 있어서는 자당 후보자의 도덕성·정직성과 후보자의 이념 성향을 중요시하였고, 정당요인에서는 후보자의 정당 내의 공정한 공천 과정을 중요시하였고, 공약 요인에 있어서는 공약 실현 가능성을 중요시 하였다. 그리고 후보자 인지 요인에서 민주당지지자들이 많이 영향을 받은 매체는 대중 매체에서는 TV 토론회와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인쇄 매체에서는 민주당 역시 선거 공보와 선거 공약서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한나라당과 차별화된 홍보 수단으로는 인터넷 전자메일과 후보자의 명함이었다. 민주당 후보자들의 지지층은 젊은 진보층으로 나타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7대 대통령 선거 보도에 나타난 후보자 속성의제와 매체 간 의제설정 강희정 ,민영 pp.5-46

지역공동체의 사회자본으로서 시민미디어에 대한 고찰 : 로컬 거버넌스, 사회자본, 참여적 커뮤니케이션 개념을 중심으로 김은규 pp.47-72

2007년 대통령선거 기간 중 TV토론이 유권자의 정치인 이미지와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종길 ,박상호 ,한동준 pp.73-103
정치관련 인터넷 뉴스서비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온라인 저널리즘의 방향성 안종묵 pp.105-139

정치와 언론의 관계에 근거한 정치발전과 미디어의 역할 연구 이준호 pp.141-174

17대 대선 캠페인에 대한 두 언론의 여론조사 보도 :한겨레신문과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이효성 pp.175-202

보기
20대층의 투표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사회적 요인 분석 :6.2지방 선거를 중심으로 정백 pp.203-231

보기
6.2 지방선거에 나타난 TV토론 포맷에 관한 연구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후보 TV토론회를 중심으로 정성호 pp.233-284

선거 마케팅 PR 캠페인 전략 개발을 위한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 영향 요인 연구 :6.2 부산 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정인태 pp.285-337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원택 (1998). 유권자의 이념적 성향과 투표행태. 이남영 편, 한국의 선거 Ⅱ: 제 15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 푸른길. 미소장
2 김성탁・박유미・김민상 (2010.5.23). 민노당 가입 전교조 교사 134명 파면・해임. 중앙일보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189976 미소장
3 Presidential Election and Regional Cleavage in Korea: Focused on the 15~17th Presidential Election in the Capital Area 소장
4 김영하 (2000). 6.4 지방선거에 나타난 대구・경북지역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기준: 선거문화 분석 모델의 검증을 중심으로. 2000 하계학술세미나 및 제9회 한일 지방자치학회 국제세미나 자료집 . 한국지방자치학회. 미소장
5 김정하・백일현 (2010.3.10) ‘세종시 태풍’ 휩싸인 충청 민심 … 누구 손 들어줄까. 중앙일보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052986 미소장
6 김창남 (2007). 선거 캠페인의 원리와 실행전략 . 나남출판. 미소장
7 박기묵 (2004). 선거전 사회적 이슈의 등장과 정당지지도에 관한 연구: 17대총선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004년 추계공동학술대회 2004,10, 147~165. 미소장
8 Research on News Paper Attention about Political Issues and Party Preference:In the Case of 17th General Election 소장
9 박이석 (2005). 유권자의 정당 및 후보자 선택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제 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0 법원 결정까지 무시한 한나라당 의원의 ‘패악’(2010.4.20). 한겨레 신문 , 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416998.html 미소장
11 후보자와 유권자의 정보교환을 위한 인지경로분석 소장
12 A Study on Candidates' Cognition and determinants of the Voters in the June 13 Local election 소장
13 A Study on Vote Behavior of the Voters -Focused on the June 13 Local Election(2002) and April 15 General Election(2004)- 소장
14 송건섭・백란섭・류종우 (2005). 유권자의 투표행태와 결정요인: 4.15 총선의 경우. 한국지방자치연구 . 7권 1호, 165~182. 미소장
15 Impact Analysis on Candidate&'s Choice of Voters 소장
16 Policy Issues Affecting Vote Choice in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소장
17 부동층의 투표행태분석 네이버 미소장
18 윤종빈 (2008), 17대 대선과 후보자 요인. 현대정치연구 . 창간호, 59~83. 미소장
19 이남영 (1999). 1998년 지방선거와 지역주의: 제 15대 대통령선거와 비교의 관점에서. 조중빈 편, 한국의 선거: 1998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V.3 . 서울: 푸른길. 미소장
20 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의 변화와 이념투표 소장
21 A Study of Influence of Ideological Voting : Scope, Measurement and Meaning of Ideology 네이버 미소장
22 쟁점투표(Issue Voting)에 관한 비교연구 네이버 미소장
23 韓國人의 投票行態 네이버 미소장
24 The 2004 National Assembly Election: A Critical Election? 소장
25 정연정・조성대 (2007), 네티즌의 정치정향과 투표선택, 어수영 편, 한국의 선거 5: 제 16대 대통령선거와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오름. 미소장
26 정인태 (2009). 마케팅 PR 캠페인 관점에서의 선거 캠페인 전략 고찰.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연구 . 2권 2호, 93~136. 미소장
27 Korean Voter`s Party-Oriented Voting 소장
28 조기숙 (1996). 합리적 선택: 한국의 선거와 유권자 . 서울: 한울 아카데미. 미소장
29 조철희 (2010.5.22). 여야, 北風vs盧風 거센 맞바람. 『중앙일보』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189226 미소장
30 조현걸・박창규 (2000). 6.4 지방선거에서 선거공약이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미친 영향 분석: 대구・경북 지역 유권자들의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지 . 8권 2호, 209~245. 미소장
31 최상원・오윤주 (2010.5.14), ‘4대강 반대’ 열기 지방선거로 번진다.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20850.html 미소장
32 황건 (2004). 투표 행위. 이동신 편,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 북스, 190~221. 미소장
33 Partisanship and Voting Behavior, 1952-1996 네이버 미소장
34 Branton, R. P. (2003). Examining individual-level voting behavior on state ballo propositions. Political Research Quarterl. 56(3), 367-377, 367. 미소장
35 Broder, D. S. (1971). The party's over: The failure of politics in America. New York: Harper & Row. 미소장
36 Campbell, A., Converse, P. E., Miller, W. E. & Stokes, D. E. (1960). The American voter. New York: John Wiley & Sons. 미소장
37 DeVries, W. & Tarrance V. L. (1972). The ticket-splitter: A new force in American politics. Grand Rapids, Mich.: William B. Eerdmans. 미소장
38 Downs, A.(1957).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New York: Harper and Row Publishers. 미소장
39 Harris, T. L. (1998). Value-added public relations: The secret weapon of integrated marketing. Lincolnwood. Il: NTC Business Book. 미소장
40 Issue Voting An Empirical Examination of Individually Necessary and Jointly Sufficient Condition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