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과거와 현대적 관점에서 본 사치소비 : 사치소비의 주·객체, 욕망, 사치소비유형을 중심으로 / 홍은실 1
Abstract 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방법 2
II. 사치소비의 과거와 현대적 관점 3
1. 과거관점에서 본 사치소비 3
2. 현대적 관점에서 본 사치소비 6
III. 사치소비의 역사적 변천과 미래방향 9
1. 사치소비의 역사적 변천 9
2. 미래 사치소비를 위한 제언 11
참고문헌 12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 of luxurious consumption, the subjects and the objects of
luxurious consumption, the desires that propel luxurious consumption, and the luxurious consumption pattern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materials and information used for this research were acquired by reviewing literatures from
a library. The time frame used to separate the past and the present was the Second World War. The analyzed materials
and contents for the research were the subjects and the objects of luxurious consumption, the desires that propel luxurious
consumption, and the patterns of luxurious consumption. Comparing the trends of luxurious consumption of the past
and present historically, the biggest differentiation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was the spread of subjects and objects
of luxurious consumption. In the past, luxury consumption belonged to the wealthy only, but the accessibility of
luxury consumption has increased to the point where anybody can buy what they want at will. Anoth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esires that prompt luxury consumption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 past and present.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about luxury consumption were presented in this paper.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귀숙. (2003). 조선시대 사치금지와 오늘날의 과소비. 한국사회학회 2003년 사회학대회 발표논문집. | 미소장 |
2 | 김난도. (2007). (사치의 나라)럭셔리 코리아 : 심층 인터뷰를 통해 알아본 대한민국 ‘명품 소비 증후군’. 서울: 미래의창. | 미소장 |
3 | 김준형. (2009). 조선후기 사치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 국문학연구, 20, 7-31. | 미소장 |
4 | 김지연. (2009). 한국 사회의 명품 소비자 유형과 소비 특성: 가치 소비로서의 명품 소비 심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명품시장 5조원 시대. (2010, 7. 5) 한국경제, p. 5 | 미소장 |
6 | 민향숙. (2009). 18세기 중국의 사회변화와 여성, 그리고 가족: 진굉모의 가족·여성관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박남희. (2007). 의사소통으로서의 상품(명품)에 대한 철학적(해석학적) 고찰. 한국해석학회지, 19, 267-293. | 미소장 |
8 | Transactions : A Study on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eatures of Luxury Brand Consumption -Focused on the Theory of Baudrillard`s Consumer Society- | 소장 |
9 | 박정현. (2002). 1%를 위한 전쟁 - 귀족마케팅. LG주간경제, 703, 31-35. | 미소장 |
10 | 고려사람들의 사치·허영과 검약 인식 | 소장 |
11 | 송정민. (2005). 대중명품(매스티지) 의류소비자의 가치추구성향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A Study on the Shopping Orientation and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of Luxury Brand Consumer according to Patronage Store | 소장 |
13 | (韓國人의 亡國的 사치) 社會心理學적으로 본 '한국인의 사치' ![]() |
미소장 |
14 | 영화의상에 나타난 사치성에 관한 연구 : 할리우드 황금기 영화의상을 중심으로 | 소장 |
15 | 특집 : 한국인의 망국적 사치 - 사치와 과소비는 ' 전염성 정신병 ' 이다 ![]() |
미소장 |
16 | 프랑스의 사치산업과 문화- 콜베르 위원회를 중심으로 | 소장 |
17 | 여성 소비자의 소비경험을 통해 본 "사치"의 의미분석 | 소장 |
18 | 이나미 리츠코. (1997). 주지육림(酒池肉林). 이은숙 옮김. 사치 향락의 중국사. 서울: 서림출판사. | 미소장 |
19 | 최항섭.(2001). 사치를 통한 구별.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발표집, 1-20. | 미소장 |
20 | Baudrillard, J. (1970). La Societe de consommation. 이상률 옮김 (1992). 소비의 사회. 서울: 문예출판사. | 미소장 |
21 | Baudrillard, J. (1968) Le Systeme des objets. 배영달 옮김 (1999). 사물의 체계. 서울: 백의출판사. | 미소장 |
22 | Bosshart, D. (1997). Die Zukunft des Konsums. 박종대 옮김 (2001). 소비의 미래: 21세기 시장 트랜드. 서울: 생각의 나무. | 미소장 |
23 | Lipovetsky, G. & Roux, E. (2003). Le Luxe Eternel. 유재명 옮김 (2004). 사치의 문화. 서울: 문예출판사. | 미소장 |
24 | KBS TV조선왕조실록 제작팀. (1999). 사치하는 자는 장 100대에 처하라. 가람기획. | 미소장 |
25 | Sombart, W. (1997). Liebe, Luxus und Kapitalismus. 이필우 옮김 (1997). 사랑과 사치와 자본주의. 서울: 까치. | 미소장 |
26 | Thomas, D. (2008). How Luxury Lost Its Luster. 이순주 옮김 (2008). 럭셔리 그 유혹과 사치의 비밀. 서울: 문학수첩. | 미소장 |
27 | Veblen. (1899).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김성균 옮김 (2005). 유한계급론. 서울: 우물이 있는 집. | 미소장 |
28 | Vigneron, F. & Johnson, L. W. (1999.09). A Review and a Conceptual Framework of Prestige-Seeking Consumer Behavior.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Review. 2009, 12. 5, from http://www.amsreview.org/articles/vigneron01-1999.pdf.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