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호주제폐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Mucciaroni의 모형을 중심으로 / 이상덕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1.03.31
수록지명
국가정책연구 = Public policy review. 제25권 제1호 (2011년 3월), pp.75-95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63909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호주제폐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Mucciaroni의 모형을 중심으로 / 이상덕 1

논문요약 1

I. 서론 2

II. 이론적 고찰 3

1. 호주제폐지의 정책적 성격 3

2. 호주제폐지 정책의 분석 틀 5

III. 호후제 폐지 정책사례 분석 9

1. 이슈맥락 9

2. 제도적 맥락 14

IV. 논의 18

V. 결론 20

참고문헌 21

Abstract 22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주제폐지의 정책과정을 Gary Mucciaroni(1995)의 이익집단위상 변동모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슈맥락의 측면에서 정책패러다임이 가족제도의 변화,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향상 등으로 가족법이 변화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었고, 여성단체와 시민단체들은 양성평등운동의 맥락에서 호주제를 사회적 이슈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제도적 맥락에서 대통령의 공약사항이 국정과제로 선정되었고, 범정부적 노력이 여성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국회에서는 여성의원들의 역할이 컸다. 이러한 과정에서 여성단체들은 사회적 이슈화의 선봉으로 그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즉 정책패러다임의 변화와 사회적 이슈의 확대 속에서 정권교체를 통한 지배집단의 변화는 제도적 맥락으로 결합하면서 여성집단의 위상을 강화시켰

고, 호주제 폐지라는 정책변동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process of abolition of the family registration system based on Gary Mucciaroni(1995) model. As the result, while policy paradigm was suggesting the necessary that the Family Law needs to change in terms of the issue context due to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nd the improvement of the socio-economic status of women, both women’s

organization and civic groups succeeded in making the family head-ship system as a social issues in terms of the gender equality movement.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context, the commitments of the president was selected as national issues, the para-governmental effor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Women in Congress played a large role in the National Assembly.

In such process, women’s organization was expanded the influence by leading to make a social issue; In changes of policy paradigm and expansion of social issues, changes in the dominant group through regime change strengthened the status of women’s organization by combining with the institutional context, and then leading to change the policy such as abolition of hojuje.

참고문헌 (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의정연구. Vol. 11. pp. 223 미소장
2 한국정책학회보. Vol. 15. pp. 203 미소장
3 사회복지정책. Vol. 36. pp. 101 미소장
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 34. pp. 132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