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분석 / 민현주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韓國人口學會, 2011.04.30
수록지명
한국인구학. 제34권 제1호 (2011년 4월), pp.53-72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65639
원문
외부기관 원문
KISTI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분석 / 민현주 1

[요약] 1

I. 서론 1

II. 선행연구 논의 3

III. 자료 및 방법론 6

1. 자료의 특성 및 변수 6

2. 방법론 10

IV. 분석결과 11

V. 요약 및 결론 16

〈참고문헌〉 17

[요약] 20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기간을 생애주기사건과 노동시장조건의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09년 여성부의 의뢰를 받아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실태조사」자료와 다항로짓 방법론을 이용하여, 경력단절여성들의 단절기간을 단기, 중기, 중장기, 그리고 장기로 분류하여 인구학적 변인, 인적자원수준, 생애주기사건, 그리고 노동시장조건이 경력단절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재취업의 조건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적성과 육아병행에 적합한 일자리 확보를 지적하였다. 또한 여성의 연령이 낮을수록, 인적자원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노동시장에서의 임금수준이 높을수록 여성들은 장기간 경력단절(60개월 이상)보다는 단기(12개월 미만)의 경력단절을 경험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녀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자녀양육으로 인해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이 차별로 인해 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에 비해 재취업시기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기나 초등학교 연령의 자녀를 둔 여성들은 장기적인 경력단절을 경험할 확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여성근로자들의 지속적인 노동시장 참여를 위해서 일가족양립의 제도와 문화조성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동시에, 자녀양육 이외의 차별적 경험이 장기간의 경력단절을 이끄는 요인으로 나타난 바, 이에 대한 개선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life course events and labor market conditions on the duration of career interruption among Korean women. The data were drawn from 'A Survey on the Women's Employment Interruption in Korea'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in 2009(currently the Korea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is study categorizes the duration of career interruption into three categories: (1) short term interruption(less than 12months), (2) short-medium term interruptio(12-35 months), (3) intermediate term interruption(36-59 months), (4) long term interruption(longer than 36 months), and then analyzes how demographic factors, labor market condition, and life events shape the timing of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among women.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jobs that are conducive to combining market work and mother's role expedite women's return to the labor market. Further, the younger, higher the level of human capital, and higher monthly wages that women earned before leaving the labor market, women are likely to experience short-term interruption(less than 12 months) rather than long-term interruption(longer than 60 months). Women who left from the labor market to care for kids are also likely to return to the labor market. However, women who have preschoolers are likely to experience long-term career interrup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role of family supportive culture at the workplace in order for women to continue their employment while intensive family formation period. Furthermore, the finding that the discriminatory practices against women, in particular mother workers at the workplace lead women to exit from the market work calls for attention to establish family friendly workplace.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Untitled 미소장
2 Untitled 미소장
3 Untitled 미소장
4 Untitled 미소장
5 Untitled 미소장
6 Untitled 미소장
7 Career Choice and Labor Market Transition of the Married Women by Level of Education 소장
8 Untitled 미소장
9 Untitled 미소장
10 Untitled 미소장
11 Sex Segregation Within Occupations 네이버 미소장
12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in Industrialized Nations 네이버 미소장
13 Untitled 미소장
14 Women's Employment During Pregnancy and After the First Birth: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Commitment 네이버 미소장
15 Causes and Consequences of Women's Employment Discontinuity, 1967-1973 네이버 미소장
16 Tokenism Reconsidered: Male Nurses and Female Physicians in a Hospital Setting 네이버 미소장
17 JOB QUITS AND JOB CHANGES: 네이버 미소장
18 Gender, Parenthood, and Job-Family Compatibility 네이버 미소장
19 Family Responsive Policies and Employee Retention Following Childbirth 네이버 미소장
20 Job continuity among new mothers 네이버 미소장
21 Untitled 미소장
22 Married Women's Employment in Rapidly Industrializing Societies: Examples from East Asia 네이버 미소장
23 Untitled 미소장
24 Women's Employment and the Gain to Marriage: The Specialization and Trading Model 네이버 미소장
25 Occupational Self-Selection: A Human Capital Approach to Sex Differences in Occupational Structure 네이버 미소장
26 Occupation Segregation: A Defense of Human Capital Predictions 네이버 미소장
27 Untitled 미소장
28 Women's Work Histories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