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북한 핵정책 동향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1998.1-2007.8 / 이중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소, 2011.05.31
수록지명
통일연구. 제15권 제1호 (2011년 5월) pp.57-98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77660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북한 핵정책 동향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1998.1-2007.8 / 이중구 1

〈국문 요약〉 1

I. 서론 2

II. 북한 핵정책의 이론적 접근 4

III. '미국 핵문제'의 범주와 시계열적 전개 8

1. 미국의 핵전력 배치 9

2. 미국의 핵교리 11

3. 미국의 핵조약 위반 13

4. 미국의 핵무기 개발 15

5. 정리 17

IV. 북한 핵정책결정과 내외적 요인 20

1. 미국의 안보정책과 북한 핵정책 사이의 관계 20

2. 북한의 군비동원구조의 변화 24

3. 내부요인 변화에 따른 북한의 반응양상 변화 27

V. 결론 30

〈참고문헌〉 34

1차 문헌 34

관련저서 및 논문 34

인터넷 웹문서 36

[부록] 38

Abstract 41

초록보기 더보기

이 글은 북핵문제 전개의 이해를 위해 미국의 안보정책이라는 변수와 북한 내부체제의 변수를 함께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외재적 설명과 내재적 시각을 정리하고, 두 설명의 통합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Buzan의 안보화(Securitization) 개념에 주목하고 있다. 위기담론이 수용된 안보화 상태 이후 미국의 대북정책 등 외부적 자극에 대한 북한의 반응이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검토하는 것이다.

또한 북한의 핵정책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 시각의 ‘미국 핵문제’ 언급을 추적, 정리한다. 이것이 우회적으로 자신의 핵무기 개발주장 및 단계적 정당화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핵문제’ 논의가 어떠한 내용으로 어느 시기에 표출되는지에 중요성을 부여한다. 연구기간 중 로동신문 “월간국제정세개관”의 ‘미국핵문제’ 언급들은 미국의 핵무기 배치, 핵교리, 핵조약(규범) 위반, 핵개발 조치에 대한 4가지 범주로 약술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미국핵문제’ 논의가 북한의 핵개발의 필요성 및 핵정책을 정당화하는 ‘거울이미지’로 이해할 수 있다는 시각을 제시한다. 이어서 북한의 핵정책 동향과 내외적 요인의 복합적 관계를 검토한다. 먼저 미국의 안보정책에 대한 반응으로서 북한의 핵정책적 동향을 고찰한다. 부시독트린의 단계적 변화와 북한의 핵정책을 시사하는 언급들이 조응함을 확인하게 된다. 북한 내부변수로서는 동원구조의 변화에 주목한다. NPT 탈퇴 이후 북한의 중앙예산은 급감하고 군사비는 증대된 결과, 중앙예산을 군사비가 규모면에서 상회하게 되었다. 군부문이 자신 혹은 비국가부문에 의존하는 정도가 증대되었음을 이해하게 해준다. 이러한 동원체제 변화 이전에는 미국의 관여와 보상에 대해 북한은 협력적 시그널을 보였으나, 이후에는 6자회담 등에서의 협상진전기에도 ‘미국핵문제’를 지적하는 등 핵정책 유지론 및 추진론을 보였다.

다른 국가부문과의 통합성이 낮은 동원체제의 등장에 따라 미국과 북한 간의 자극-반응관계는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본 논문은 보여준다.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서는 북한 내부사회의 총합적 이해와 군사동원체제가 최소한 과거수준으로 통합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도출한다.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atterns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by analyzing U.S. nuclear policies as one variable with the interior system of North Korea as another.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concept of "securitization," which can articulate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extraordinary right to handle a existential threat.To study North Korea's continued penchant for a nuclear program, this paper examines the usage and context of North Korea's comments on the 'US nuclear problem.' North Korean arguments against US nuclear policies reported in the "Monthly Review of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Rodong Sinmun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main parts: the deployment of the nuclear weapon, a nuclear doctrine, the violation of the international nuclear regime, and nuclear development measures. By doing this, this paper evaluates the high probability that the North's discourse on "US nuclear issues" can act as a 'mirror image' that signifies North Korea's nuclear policy stances and related

actions.Thus, it reviews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North Korean nuclear policy tendencies and its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First, it confirms that phased changes in the Bush doctrine correspond with the comments that imply North Korean nuclear policies. As an internal variable, the paper focuses on the change of mobilization structures after the withdrawal from the NPT. North Korea increased its defense expenditure outside the central budget which should be decided by bureaucratic regulations. Before the changes in the military mobilization structure, North Korea showed cooperative signals to US compensation.

Later, however, it expressed pro-bomb spins, even at times of progress in the Six-Party talks.For a peaceful resolution of North Korean nuclear issues, the paper implies the need for the re-integration of the military mobilization structure with North Korea's various interests.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대한민국 국방부. 2006. 국방백서 2006 . 서울: 대한민국 국방부. 미소장
2 로동신문 사. 1998-2007. 로동신문 . 미소장
3 북한의 「외교정책결정체계」에 대한 연구 소장
4 서재정. 2004. “미군의 군사변환과 한미동맹.” 창작과 비평 (가을호), 330-351. 미소장
5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and U.S. ‘Coercive Diplomac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arrot-and-Stick Approach 소장
6 이대근. 2000. “조선인민군의 정치적 역할과 한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 Theoretical basis of "engagement policy"and South Korea's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policy toward the North 소장
8 조화성. 2005. “북한 최고통치자의 리더쉽과 외교전략: 대미협상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9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3. 미국의 신군사안보 패러다임과 한국안보의 미래(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정책토론 제89차 보고서) . 서울: 한국전략문제연구소. 미소장
10 Breslauer, George W. and Tetlock, Philip E. (eds.). 1991. Learning in U.S. and Soviet Foreign Policy. Oxford: Westview Press. 미소장
11 Buzan, Barry, Waever, Ole, and Wilde, Jaap de (eds.). 1998. Security: A New Framework for Analysis. Boulder: Lynne Rienner Publications. 미소장
12 North Kore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Badges, Shields, or Swords? 네이버 미소장
13 Kang, David. 2003. Nuclear North Korea: A Debate on Engagement Strategi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14 Evangelista, Matthew. 1988. Innovation and The Arms Race: How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Develop New Military Technology.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미소장
15 Ford, Lindsey, Hosford, Zachary and Zubrow, Michael. 2009. U.S.-DPRK Nuclear Negotiations: A Survey of the Policy Literature(Working Paper). Washington D.C.: Center for a New American Security. 미소장
16 Harrison, Selig. 2002. Korean Ending Game: A Strategy for Reunification and U.S. Disengagement.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17 Hymans, Jacques E. C. 2006. The Psychologu of Nuclear Proliferation: Identity, Emotions, and Foreign Poli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8 Kolkowicz, Roman. 1967. The Soviet Military and the Communist Par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19 Rethinking North Korea 네이버 미소장
20 Lee, Chae-Jin. 2006. A Troubled Peace: U.S. Policy and the Two Korea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미소장
21 Mansourov, Alexandre Y. 1994. “Comparison of Decision Making on the Nuclear Issue Under Kim Il Sung and in the Post-Kim Il Sung Era.” Nautilus Institute Report. 미소장
22 Going Just a Little Nuclear: Nonproliferation Lessons from North Korea 네이버 미소장
23 Pritchard, Charles L. 2007. Failed Diplomacy: The Tragic Stories of How North Korea Got the Bomb.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미소장
24 Sagan, Scott D. and Waltz, Kenneth. 1995,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 Dabate. New York: W. W. Norton 미소장
25 Sigal, Leon. 1997. Disarming Strangers: nuclear diplomacy with North Korea.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26 Smith, Derek D. 2006. Deterring America: rogue States and the 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7 Solingen, Etel. 1998. Regional Order at Century’s Dawn: Global and Domestic Influences on Grand Strateg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미소장
28 North Korea: The Next Nuclear Nightmare? 네이버 미소장
29 Gilman, Benjamin A. 1999. “North Korean Advisory Group Report to Speaker.” http://www.shaps.hawaii.edu/security/nkag/report-letter.html(검색일: 2009. 6. 17). 미소장
30 Cox, Christopher. 2000. “Special Report.”http://www.nautilus.org/archives/pub/ftp/napsnet/special_reports/Cox_Report_on_DPRK_Aid.txt(검색일: 2009. 6. 17). 미소장
31 CSIS, “The Asia Conventional Military Balance: Overview of Major Asian Powers.” http://www.csis.org/files/media/csis/pubs/060626_asia_balance_powers.pdf(검색일: 2011. 5. 25). 미소장
32 EastWest Institute, “Iran’s Nuclear and Missile Potential: A Joint Threat Assessment by U.S. and Russian Technical Experts.”http://pds15.egloos.com/pds/200906/09/40/JTA_TA_Program.pdf(검색일 : 2011. 5. 25). 미소장
33 Bush, George W. 2005. “Second Inaugural Address.”http://www.vlib.us/amdocs/texts/bush012005.html(검색일: 2011. 5. 25). 미소장
34 Hymans, Jacques E. C. 2007. “Estimating the DPRK’s Nuclear Intentions and Capacities: A Comparative Foreign Policy Approach(EAI Fellow Program Worrking Paper Series No.8).”http://www.eai.or.kr/type_k/panelView.asp?bytag=p&catcode=&code=kor_report&idx=8161&page=5(검색일: 2011. 5. 25). 미소장
35 Perry, Willam J. 1999. “Review of United States Policy and Recommendations.”http://www.state.gov/www/regions/eap/991012_northkorea_rpt.html (검색일: 2011. 5. 25). 미소장
36 “Rice names ‘outpost of tyranny,” BBC News, January 19, 2005 http://news.bbc.co.uk/2/hi/americas/4186241.stm(검색일: 2009. 6. 17). 미소장
37 “S.516: Advance Democracy Act of 2005”, http://www.govtrack.us/congress/bill.xpd?bill=s109-516(검색일: 2011. 5. 25).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