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노년기 고독과 성격변인들과의 관계 / 장휘숙 ; 김나연 1
[요약] 1
[머리글] 1
방법 4
연구대상 4
절차 5
측정도구 5
결과 6
1. 고독한 노인의 비율 6
2. 성별과 연령집단에 따른 세 가지 고독에서의 차이 7
3. 세 가지 고독과 외향성, 정서적 불안정성 및 자기존중감의 관계 8
논의 13
참고문헌 16
[요약] 19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노년기 고독과 성격변인들과의 관계 | 장휘숙 ,김나연 | pp.1-19 |
|
보기 |
여중생의 우정관계 질투와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 :의도귀인과 또래동조성의 매개효과 | 심은신 ,이동훈 | pp.21-42 |
|
보기 |
대학생과 노인의 지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박소연 ,정영숙 | pp.43-63 |
|
보기 |
한국판 유아행동평가 척도 교사용(C-TRF)의 표준화 연구 | 김영아 ,이진 ,김유진 ,김민영 ,오경자 | pp.65-86 |
|
보기 |
가르치기 이해, 틀린 믿음 이해, 어휘와 학업 준비도와의 관계 | 이현진 | pp.87-102 |
|
보기 |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관계 :애착 안정성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유고은 ,방희정 | pp.103-122 |
|
보기 |
만 14개월 한국 영아들의 합리적 모방 능력 | 김은영 ,송현주 | pp.123-136 |
|
보기 |
영아, 어머니,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24개월 영아의 표현어휘 습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 장유경 ,성지현 | pp.137-154 |
|
보기 |
토기 학교적응과 어머니 양육 간 관계에 대한 아동 기질의 조절 효과 :부정적 반응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곽금주 | pp.155-171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e Relationship of Loneliness, Health Behavior and Self-Esteem in Elderly People | 소장 |
2 | 통계청 (2010). 2010 고령자 통계. http://kostat.go.kr/에서 인용. | 미소장 |
3 | Loneliness within a nomological net: An evolutionary perspective ![]() |
미소장 |
4 | Coopersmith, S. (1981). Self-esteem Inventories.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cal Press. | 미소장 |
5 | Costa, P. T., Jr., & McCrae, R. R. (1994). Stability and change in personality from adolescence through adulthood. In C. F. Halverson, Jr., G. A. Kohnstamm, & R. P. Martin (Eds.), The developing structure of temperament and personlaity from infancy to adulthood. Hillsdale, NJ: Erlbaum. | 미소장 |
6 | Cramer, K. M., & Barry, J. E. (1999). Conceptualizations and measures of loneliness: A comparison of subscal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7, 491-502. | 미소장 |
7 | Measurement and Validity Characteristics of the Short Version of the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Scale for Adults ![]() |
미소장 |
8 |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Scale for Adults (SELSA) ![]() |
미소장 |
9 |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A re-examination of weiss' typology of loneliness ![]() |
미소장 |
10 | Drennan, J., Treacy, M., Butler, M., Byrne, A., Fealy, G., Frazer, K., & Irving, K. (2008). The experience of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among older people in Ireland. Ageing & Society, 28, 1113-1132. | 미소장 |
11 |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to loneliness among very old rural adults. ![]() |
미소장 |
12 | Gender and marital-history differences in emotional and social loneliness among Dutch older adults. ![]() |
미소장 |
13 | Lonely hearts: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loneliness ![]() |
미소장 |
14 | Fahey, T., & Murray, P. (1994). Health and autonomy among the over-65s in Ireland. Report 39, National Council for the Elderly, Dublin. | 미소장 |
15 | Loneliness ![]() |
미소장 |
16 | A review of loneliness: concept and definitions,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 |
미소장 |
17 | Relationship of loneliness and its affective elements to self-esteem. ![]() |
미소장 |
18 | Research considerations: str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the rural elderly. ![]() |
미소장 |
19 | The association of hearing impairment and chronic diseases with psychosocial health status in older age. ![]() |
미소장 |
20 | A community survey of loneliness ![]() |
미소장 |
21 | Long, M. V., & Martin, P. (2000). Personality, relationship closeness, and loneliness of oldest old adults and their children.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55B(5), 311-319. | 미소장 |
22 | Loneliness and the health of older people ![]() |
미소장 |
23 | O’Leary, E., O’Connéide, D., & Staunton, C. (2004). The SIZE Research Project: A summary of the work conducted in 2003. Counselling and Health Studies Unit and Traffic Research Unit, University College Cork, Cork, Ireland. | 미소장 |
24 | Predicting loneliness in old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 |
미소장 |
25 | Psychological distress, loneliness and disability in old age ![]() |
미소장 |
26 | Influences on Loneliness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 |
미소장 |
27 |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 미소장 |
28 | Loneliness among older people ![]() |
미소장 |
29 | 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 |
미소장 |
30 |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 |
미소장 |
31 | Steverink, N., Westerhof, G. J., Bode, C., & Dittmann-Kohli, F. (2001). The personal experience of aging, individual resources,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65B, 364-373. | 미소장 |
32 | Being alone in later life: loneliness, social isolation and living alone ![]() |
미소장 |
33 | Victor, C., Scambler, S., Bowling, A. & Bond, J. (2005). Th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loneliness in later life: A survey of older people in Great Britain. Ageing & Society, 25(3), 357-375. | 미소장 |
34 | Wang, J., Snyder, M., & Kaas, M. (2001). Stress,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Twaiwaness rural community-dwelling el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8(3), 339-347. | 미소장 |
35 | Weiss, R. S. (1973). Loneliness: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Cambridge, MA: MIT Press. | 미소장 |
36 | Weiss, R. S. (1973).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Cambridge: MIT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