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일상생활 속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 구효진, 김혜영, 나경화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1.06.30
수록지명
유아특수교육연구 = (The)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제11권 제2호 (2011년 6월), pp.115-134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93263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일상생활 속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 구효진 ; 김혜영 ; 나경화 1

[요약] 1

I. 서론 2

II. 연구 방법 4

1. 연구 대상 4

2. 연구 도구 5

3. 연구 절차 9

4. 자료분석 10

III. 연구 결과 10

1.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전체 수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10

2.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하위영역 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11

IV. 논의 및 결론 14

참고문헌 17

Abstract 19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일상생활 속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대전과 천안시에 위치한 통합유치원 특수학급에 등원중인 만 3~6세 발달지체 유아 40명이었으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나누어 20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도구인 구체물 조작활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측정도구는 선행 연구들을 기초로 유아특수교육 전문가 집단의 자문 및 논의를 통해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 속한 유아들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총 16회기에 걸쳐 구체물 조작활동이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 모두에게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물 조작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전체 수개념 발달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구체물 조작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하위 영역 중 분류, 측정 및 서열, 기수, 일대일 대응, 서수, 공간, 시간 능력 형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일상생활 속 구체물을 직접 탐색하고 조작해보는 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발달지체 유아의 기초적 수개념 발달 뿐 아니라 수 연산, 조합, 숫자쓰기 등과 같은 보다 높은 단계에서의 수학적 개념 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에 적합한 구체적 조작활동에 대한 후속연구가 실시되어야 함이 제언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in daily life on number concept form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ged 3 to 6 selected from special schools in Daejeon and Chunan.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concrete material operative program as an experiment tool and a measuring instrument were design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 with a group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experts.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for 4 weeks with 16 sessions. Pre and post test were carried out to both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n independent and paired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had influence on overall number concept form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econd,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had an effect on improvement of number concept sub-domains(classification, measurement, rank, cardinal numbers, one-to-one correspondence, ordinal numbers, space sense and time sens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conclusion, to explore and operate concrete materials in daily life helps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o improve their number concept.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suitable for higher mathematical function(calculation, number writing, combination) rather than number concept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and effect of special mathematical education.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Effect of Activities Based Number Conceptual Practice by the Concrete Teaching Materials on Development of Numerical Concept of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소장
2 신체활동을 통한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습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장
3 수감각 발달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초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소장
4 A Study on the Basic Concepts of Number and Operation of Young Children 소장
5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fractional quantities 소장
6 활동중심 수개념 교수방법이 발달장애 아동의 비교 및 분류개념에 미치는 효과 소장
7 일상 생활 자료를 활용한 수학적 탐구 활동이 유아의 수학 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장
8 (2003). 인지발달. 서울: 학지사. 미소장
9 구체물 조작활동이 장애유아의 수 이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소장
10 (2004).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 서울: 교문사. 미소장
11 구체물의 조작적 놀이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 개념에 미치는 효과 소장
12 Effects of a KONGKI-NORI Game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소장
13 The Effects of a Kinder Math Program Utilizing Commercially-ProduceMaterialson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소장
14 (2004). 유아특수교육. 서울: 학지사. 미소장
15 The Effects of Concrete Math Materials and Activities Designed to Provide Korean 5-Year-Olds with Manipulation of Large Numbers on Their Development of Base-Ten System and Place Value Notation 소장
16 평면도형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능력과 유아의 기하 및 공간감각에 미치는 영향 소장
17 수감각 발달을 위한 조기 수학 교수가 수학 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개념과 연산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소장
18 Study of Content and Method Used in Number Instruction for Young Children from a Cultural Psychology Perspective 소장
19 幼兒의 數學的 槪念 獲得에 관한 연구 소장
20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 활동자료 소장
21 놀이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수 개념 능력에 미치는 영향 소장
22 (1996). 유아특수교육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23 유아 수학교육의 효과적 지도 : 구체물 조작에 의한 활동중심과 학습지에 의한 교사중심 교수방법의 비교 연구 소장
24 ,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1987. 미소장
25 (1998). The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 using two curricular approaches. Education Studeis in Mathematics, 19, 121-132. 미소장
26 HELPING STUDENTS UNDERSTAND PLACE VALUE 네이버 미소장
27 (2003). Exceptional learners: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9th ed.). Boston: Allyn and Bacon. 미소장
28 Mathematical Connections: A Long-Overdue Standard 네이버 미소장
29 (1982). Number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Washington, D.C. : NAEYQ 미소장
30 Biological and molecular comparison between localized and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induced in tobacco by a Phytophthora megasperma glycoprotein elicitin 네이버 미소장
31 (1965), The child's conception of number. NY: Norton. 미소장
32 Mental retardation 1984: will the paradox end? 네이버 미소장
33 (1997). Early childhood mathematics.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미소장
34 (1990).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attitudes. In J. N. Payne (Ed.), Mathematics for the young child (pp.39-61)....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