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현대 공리주의 동향에 대한 연구 / 강준호 1
【요약문】 1
1. 고전과 현대 공리주의의 구분 1
2. '공리' 개념의 새로운 정의 4
3. 규칙 공리주의들의 전개 10
4. 정의의 문제에 대한 공리주의적 대응 14
5. 나가는 말 20
참고문헌 22
〈Abstract〉 24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고운 최치원의 학문정신 :현묘지도설에 담긴 혼종과 관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 김성환 | pp.5-30 |
|
보기 |
분노는 정당화될 수 있는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노(όργή)론을 중심으로 | 손병석 | pp.31-60 |
|
보기 |
회의주의 문제와 지식의 정당화 조건 :루이스의 이론와 새로운 이론 | 선우환 | pp.61-95 |
|
보기 |
아시모프의 로봇 3법칙 다시 보기 :윤리적인 로봇 만들기 | 고인석 | pp.97-120 |
|
보기 |
반이론주장의 조직불가능성명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직불가능성명제의 이론적 의미와 실천적 의의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 노영란 | pp.121-148 |
|
보기 |
아마티아 센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민주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 목광수 | pp.149-174 |
|
보기 |
현대 공리주의 동향에 대한 연구 | 강준호 | pp.175-199 |
|
보기 |
죽음과 의미상실에 대한 철학적 치유의 가능성 :철학적 사고실험을 통한 상담방법과 실천적용 | 김선희 | pp.201-230 |
|
보기 |
물질과 생성 :질베르 시몽동의 개체화론을 중심으로 | 김재희 | pp.231-260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시즈위크의 상식도덕 개념에 대한 고찰 | 소장 |
2 | A Theory of the Good and the Right, Oxford: Clarendon Press,1979. | 미소장 |
3 | “Utilitarianism and Contractariansim.” Miller, H. B. & illiams, W. H. eds. The Limits of Utilitarianism.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미소장 |
4 | Utilitarianism, Deontology, and the Priority of Right ![]() |
미소장 |
5 | "Act-Utilitarianism, Consequentialism, and Moral Rights", R.G. Frey, ed., Utility and Righ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1984. | 미소장 |
6 | 1984. “Towards a Substantive Theory of Rights.” Frey, R. G. ed. Utility and Righ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미소장 |
7 | Measurement education without specific curriculum ![]() |
미소장 |
8 | 1975. “Rawls’ Theory of Justice.” Daniels, Norman ed. Reading Rawls: Critical Studies on Rawls’ A Theory of Justice. Basil Blackwell. | 미소장 |
9 | 1982. “Ethical Theory and Utilitarianism.” Sen, A. K. & Williams, B. eds. Utilitarianism and Beyo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0 | 1982. “Morality and the theory of rational behavior.” Sen, A. K. & Williams, B. eds. Utilitarianism and Beyo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1 | Community-Wid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a Typhoid Outbreak in a Rural Township in Taiwan, Republic of China ![]() |
미소장 |
12 | Utilitarian Alternatives to Act Utilitarianism ![]() |
미소장 |
13 | Restrictive consequentialism ![]() |
미소장 |
14 | Kantian Constructivism in Moral Theory ![]() |
미소장 |
15 | (1999). A Theory of Justice (revise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6 | 1992. “Sidgwick and the Cambridge Moralists.” Schultz Bart ed. Essay on Henry Sidgwick.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미소장 |
17 | 1980-1. “Plural Utility.”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81: 193-215. | 미소장 |
18 | Well-Being, Agency and Freedom: The Dewey Lectures 1984 ![]() |
미소장 |
19 | The Methods of Ethics,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diana 198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