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09), a science fiction film written and directed by James Cameron, broke several box office records right after its release and became the highest-grossing film worldwide. The film was admired its highly advanced technology so called '3D' viewing and even '4D' viewing. However, some people have criticized the film due to its covert supporting imperialism which has been one of the deep-seated problems of western civilization. For example, Jake Sully(starred by Sam Worthington), who is a white earthling, becomes the savior of Pandora as if Christopher Columbus played a messianic role for 'primitive' people from an imperialistic perspective.

Despite such a political reading of gives us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it seems to this author that the best point of this film is its critical disclosing about the predominant values of our comtemporary civilization. Navi, the inhabitant humanoids of Pandora, who live in harmony with the nature and worship a mother goddess called Eywa, teach us how to live for just and sustainable future.

This article, thus, attempts to read through the ecological eyes. In doing so, we come to understand that it is the fine text to resist mammonism. And also, the way of doing science conducted by Dr. Grace Augustine(Sigourney Weaver), a female botanist, can be the alternative model of 'humble and compassionate science' instead of arrogant and acquisitive science. This article suggests to embody the Navi's way of life that is symbolized 'shahaylu' to heal our chronic disease to exploit and rule over other human beings as well as the na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정치와 사회 조종 :루만의 "조종 비관주의"를 중심으로 서영조 pp.15-41

비정규직 노동자 실태와 비정규직 투쟁 조돈문 pp.43-74

전쟁의 기억과 재현 :오키나와 현립 평화기념 자료관을 중심으로 조성윤 pp.75-96

촛불과 미디어 :컨버전스 미디어 양식과 개인화된 대중의 출현 임종수 pp.97-124

<아바타>에 나타난 생태적 가치 구미정 pp.125-143

현대 사회의 '괴물', 사이코패스 이해하기 :개념의 문제점과 이론적 위험성, 그리고 사회학적 함의 신동준 pp.145-171

청소년 자살 생각 :사회적 유대, 일탈 행동의 가해자와 피해자의 영향 김정규 pp.173-200

보기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미정,「 생태여성주의와 기독교윤리」(서울: 한들출판사, 2005). 미소장
2 구미정,「 핑크 리더십: 성경을 통해 본 여성주의 리더십」(서울: 생각의 나무, 2010). 미소장
3 구미정,「 호모 심비우스: 더불어 삶의 지혜를 위한 기독교윤리」(서울: 북코리아, 2009). 미소장
4 다이아몬드, 제레드,「 총, 균, 쇠」(김 진준 옮김)(서울: 문학사상, 2005). 미소장
5 박영신,“ 즐거운 유배자, 지성인의 삶: 사이드와의 대화”,「 현상과 인식」17권 2/3호(1993). 미소장
6 박이문,「 문명의 위기와 문화의 전환: 생태학적 세계관을 위하여」(서울: 민음사, 1996). 미소장
7 버치, 찰스/캅, 존,「 생명의 해방: 세포에서 공동체까지」(양 재섭/구 미정 옮김)(서울: 나남출판 2010). 미소장
8 사이드, 에드워드,「 오리엔탈리즘」(박 홍규 옮김)(서울: 교보문고, 1991). 미소장
9 워커, 엘리스,「 더 컬러 퍼플」(안 정효 옮김)(서울: 한빛문화사, 2004). 미소장
10 쿤, 토머스 새뮤얼,「 과학혁명의 구조」(김 명자 옮김)(서울: 까치글방, 2002). 미소장
11 < 한국경제>, 2010. 1. 29. 미소장
12 Batstone, David,“ Rape, Revelation and Repentance”, Third Way, 15권 4호 (1992). 미소장
13 Carson, Rachel, The Silent Spring (Boston: Haughton Mifflin Co., 1962). 이 책의 우리말 번역은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김 은령 옮김)(서울: 에코리브르, 2002). 미소장
14 Incorporating the Other: Val Plumwood's Integration of Ethical Frameworks 네이버 미소장
15 Frye, Marilyn, The Politics of Reality: Essays in Feminist Theory (New York: The Crossing Press, 1983). 미소장
16 Haraway, Donna, Modest_Witness@Second_Millennium.FemaleManⓒ_Meets_ OncoMouseTM: feminism and technoscience (New York, London: Routledge, 1997). 미소장
17 Keller, Catherine, “Feminism and the Ethic of Inseparability”, Barbara Hilkert Andolsen/Christine E. Gudorf/Mary D. Pellauer(엮음), Women’s Consciousness, Women’s Conscience (Minneapolis, Chicago, New York: Winston Press, 1985). 미소장
18 The Loving Eye vs the Arrogant Eye: Christian Critique of the Western Gaze on Nature and the Third World 네이버 미소장
19 Ortner, Sherry B.,“ In Female to Male as Nature Is to Culture?”, M. Z. Rosaldo/ L. Lamphere(엮음), Woman, Culture and Societ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4). 우리말 번역은「여성ㆍ문 화ㆍ사회」(권 숙인/김 현미 옮김)(서울: 한길사, 2008). 미소장
20 Pagels, Elaine H., “What Became of God the Mother? Conflicting Images of God in Early Christianity”, Carol P. Christ/Judith Plaskow(엮음), Womanspirit Rising: A Feminist Reader in Religion (New York: Harper & Row, 1979). 미소장
21 Plumwood, Val, 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 (London: Routledge, 1993). 미소장
22 Stone, Merlin,“ When God was a Woman”, Carol P. Christ/Judith Plaskow(엮음), Womanspirit Rising: A Feminist Reader in Religion (New York: Harper & Row, 1979). 미소장
23 Van der Leeuw, Gerardus, Sacred and Profane Beauty: The Holy in Art, trans. David E. Green (Nashville: Abindon, 196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