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근대 예술 개념의 성립에 관한 연구 / 강손근 1

[한글 요약] 1

1. 머리말 3

2. 서양 근대 이전의 예술 개념 5

1) 고대 그리스·로마의 예술 개념 7

2) 중세에 있어서 예술 개념 9

3. 제 학예 비교논쟁(파라고네) 12

1) 르네상스와 미술가 열전 12

2)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있어서 제 학예 비교논쟁의 발생 14

3) 초기 르네상스 16

4) 레오나르도 다 빈치 17

4. 회화, 조각, 건축의 화해와 조정 20

5. 회화, 조각, 건축을 통합하는 이념의 성립 21

6. 결언 25

참고 문헌 26

[Abstract] 27

초록보기

예술이란 개념은 르네상스로부터 근대에 이르는 사이에 기술로부터 개념적인 변화를 하는 데서 성립하게 되었다. 그런데 예술이 손재주로서의 기술로부터 창조적 표현행위에로, 예술가가 직인으로부터 예술가에로 새롭게 변모하기 위해서는 15세기의 이론적인 학문 즉 과학의 발달의 영향이 있다. 그 결과 예술은 과학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예술과 학문의 구별이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예술을 다른 기술로부터 구별하고 또 학문으로부터도 구별하기 위한 노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미의 개념이다. 이렇게 하여 미와 예술의 두 개념이 융합하여 근대 예술 개념을 성립시키게 된다. 그런데 오늘날 반미적 예술이 나타나고, 예술의 미적 차원의 극복이 문제되고 있다. 예술은 과연 미와 관련이 없는 것일까? 예술이 미적 체험을 떠나서 과연 존재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물음들에 답하기 위하여 근대에 와서 예술이라는 개념이 성립하고 또 그것이 개념으로서 확립되어가는 과정 및 근대적 예술관의 성립 과정을 다시 검토하여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근대 예술 개념의 성립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도 많지만, 그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근대 예술 개념의 탄생을 원점에서 다시 확인하고 검증해보는 것도 의의가 없지는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이 그들의 사회적 지위 상승을 위한 노력에 의해 회화, 조각, 건축을 종합하려는 이념이 탄생하게 되는 과정을 확인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친 조형예술에 해당하는 영역에서의 개념적 변화를 일으키는 근원적인 계기들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변화는 갑자기 우연하게 일어난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을 통해 서서히 조금씩 진행되었으며, 그러한 진행이 역사적인 관점에 의한 記述로 축적됨으로써 결국은 근대 예술 개념이 탄생을 가능하게 하는 밑바탕이 되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의 테크네(techne) 개념을 계승하는 아루스(ars)는 본질적으로 「하비투수(habitus)」와 연관을 가진다. 고대의 예술 개념을 계승하여 이론적, 실천적으로 사용했던 중세는 예술을 실천 이성의 ‘능력’(habitus)으로 간주했다. 이것은 「하비투스」(habitus)로서의 기술(ars)이라고 하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전통적인 생각이다. 중세의 예술은 이 전통적인 생각을 개념을 계승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사고방식에 입각하면, 「기계적 기술」(mechanical arts)은 「자유로운 기술(자유학예)」(liberal arts)에 대립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기술」에 대한 생각이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가들에게더 그대로 계승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근대 예술개념의 성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하비투스」(habitus)로서의 「기술」(ars)이라는 전통적인 「기술」관에 대한 깊은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했다.

The concept of art was established through conceptual changes of technic which occurr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from Renaissance into modern civilization. To this conceptual transition from technic of handicraft into creating act, from craftsman into artist, has contributed the development of science in the 15th century. The concept of beau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stinguishing art from technics and academic studies. The concept of modern art i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concepts of art and beauty. However, anti-aesthetic art and overcoming of aesthetic dimension are often pointed out these days. Does art not necessarily relate to beauty? Can art exist without placing itself in aesthetic experiences? To answer these questions, it would be meaningful to review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art in modern era and the establishment of modern art view.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establishment of a concept to consolidate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by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in an effort to promote their social position in the Renaissance period. It focuses on fundamental factors which contribute to conceptual changes in the field of plastic art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se changes were not accidental occasion. They progressed steadily and such progresses were accumulated as description by the historical perspective, providing foundation to give birth to the concept of modern art. The concept ‘ars' which originates from the concept of 'techne' in ancient Greek is intrinsically related to 'habitus'. In medieval times, people considered art as 'habitus' of practical reason as they developed and used the concept of art in more practicing ways. 'Ars as habitus' is a traditional and accumulative view that passed on from Aristotl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view, 'mechanical arts' contradicts to 'liberal arts'. This traditional view had been succeeded by painters in Renaissance period. In conclusion, the traditional view of 'ars as habitus' needs to be reviewed and studied as an essential factor to underst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modern ar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근대 예술 개념의 성립에 관한 연구 강손근 pp.3-30

보기
도덕적 우연(Moral Luck)과 책임에 관한 소고 구인회 pp.31-51

보기
막스 셸러의 총체인격(Gesamtperson) 소고 금교영 pp.53-74

보기
생태학과 환경론에서 인간의 위치 김기윤 pp.75-95

보기
키치 개념에 대한 존재론적 고찰 :키치와 숭고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김동훈 pp.97-124

보기
현대시조의 형식·총체성과 다원주의 김두삼 pp.125-143

보기
21세기 조직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화이트헤드와 들뢰즈의 과정 철학과 카오스모스 김영진 pp.145-167

보기
우리가 사는 세상이 가상현실이 아닌 거의 확실한 이유 김한승 pp.169-187

보기
철학 공부 방법 :읽기, 쓰기, 평가하기 류의근 pp.189-208

보기
이상론과 비이상론의 관계에 대한 고찰 :존 롤즈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목광수 pp.209-228

보기
정의에 대한 동서 철학적 성찰 宋寅昌 pp.229-247

보기
한나 아렌트에게 묻는다 :당신은 누구나/지금도 '행위'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가? 이성환 pp.249-271

보기
어느 개죽음에 대한 성찰 이왕주 pp.273-294

보기
기능적 환원주의는 새로운 물리주의인가? 이종왕 pp.295-312

보기
동성애자들의 자율성과 도덕적 책임 이종원 pp.313-331

보기
튀빙겐 학파의 플라톤 초기 대화편 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주광순 pp.333-353

보기
養生사상의 정당화 가능성 문제 :莊子, 嵇康, 葛洪의 관점을 중심으로 李溱鎔 pp.355-373

보기
熊十力의 乾元本體論 鄭炳碩 ,金大壽 pp.375-395

보기
소외와 복지관광에 관한 연구 曺洙東 pp.397-416

보기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바타쥰조우 저, 강손근 역, 미와 예술의 논리-미학입문 , 집문당, 서울, 1995. 미소장
2 곰브리치, E. H., 서양미술사 , 백승길․이종승 옮김, 서울, 예경, 1994. 미소장
3 회화 속 미적 진리에 대한 융합·통일·차이의 분석 : 메를로-뽕띠의 현상학적, 살존재론적 회화론을 토대로 소장
4 타타르키비츠,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이론과 실천 , 김용대 옮김, 이론과 실천, 서울, 1990. 미소장
5 단테, 신곡 Ⅰ, 한형곤 역, 삼성출판사, 1978. 미소장
6 래리 쉬너, 예술의 탄생 , 김정란 옮김, 도서출판 들녘, 파주, 2007. 미소장
7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 이창우․김재홍․강상진 옮김, 이제이북스, 서울, 2008. 미소장
8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세계사상교양전집․후기 1), 최명관 역, 을류문화사, 서울, 1981. 미소장
9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행복 : 『국가』Ⅰ권의 윤리적 논의를 중심으로 소장
10 '재현/현시 해체'와 '2차적 실재'의 귀환 : 영화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소장
11 퍼거슨, W. K. 르네상스 , 김성근․이민호 공역, 탐구당, 서울, 1990. 미소장
12 佐々木 健一, 「4. 藝術」, 今 道友信 編輯 講座美學 2-美學の 主題 ,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85. 미소장
13 佐々木健一, 美學事典 , 東京大學出版会, 東京, 1995. 미소장
14 心田進, 大森正一, 村田誠一, 淸瀨みさを, 藝術表現 5つの焦點 , 法律文化社, 京都, 1999. 미소장
15 渡辺護, 芸術學 , 東京大學出版會, 東京, 1977. 미소장
16 Wladyslaw Tatarkiewicz, A History of Six Idears -An Essey in Aesthetics,PWN-Polish Scientific Publishers, Warszawa 198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