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노조활동 참여태도의 인과메커니즘 연구 : 교원노조 사례를 중심으로 / 이병훈 ; 남정민 ; 이명규 1

[요약] 1

I. 머리말 2

II.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3

III. 연구 방법 9

1. 분석 자료의 표집 구성 9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10

3. 신뢰도 타당도, 상관관계 분석 11

IV. 실증분석 결과 13

1. 전체 표본의 분석 결과 13

2. 평조합원과 조합간부의 비교-분석 결과 15

V. 맺음말: 분석 결과의 해석과 시사점 17

참고문헌 19

〈부록 1〉 분석변인의 설문문항 예시 25

abstract 26

초록보기

이 연구에서는 교원노조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조합원의 노조참여에 대해 전략미션·리더십·의견그룹·조직구조의 분석변인들과 노조몰입의 매개변인이 영향 미치는 인과경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전체 표본과 조합간부-평조합원 집단으로 구분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계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노동조합의 조직운영과 관련된 4개 분석변인들이 조합원의 참여태도에 대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 경로를 통해 유의하게 영향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분석변인별로 조합원의 참여태도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인과경로를 살펴보면, 조합원들이 노조의 목표와 전략을 공유하는 것이 (비록 노조몰입을 경유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지만) 그들의 노조몰입과 참여태도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조직구조의 효율성은 조합원들의 참여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평조합원 집단을 중심으로) 노조몰입에 대해 그리고 노조몰입을 경유한 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견그룹 또는 활동가 계파조직의 부작용에 대한 조합원들의 인식이 그들의 노조몰입과 참여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예상대로 밝혀졌으나, 조합간부와 평조합원을 구분해서 살펴볼 경우, 의견그룹의 부정적인 폐해에 대한 인식이 조합간부의 노조 태도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상 밖의 분석 결과로는 노조 리더십이 조합원과 조합간부의 참여태도나 노조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꼽을 수 있는데, 이는 노조 지도부의 훌륭한 조직 운영이나 활동 수행이 조합원들의 참여태도 를 소극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해석과 더불어 교원 지위 특성 및 역인과성의 추론 가능성을 검토해 볼 수 있으나 이후 추가적인 논증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ausal mechanism of union participation, by drawing upon the survey data of a teachers union and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ur analysis reveals that four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strategic mission, leadership, activist fraction,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have a significant effect over members' union participation in a direct or indirect manner. Members' sharing of the union's goals and strategy affects their commitment and participatory attitude toward the union. The efficiency of organizational structure has a indirect impact on union participation, particularly the rank-and-file's, via union commitment. The union officials' awareness concerning the harmful consequence of activist fraction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commitment and participatory behavior. The unexpected finding is that union leadership has a negative effect over participatory attitude of both union officials and the rank-and-file as well as their union commitment. This may be explained by the interpretation that union leaders' excellent organizational management makes members' participatory attitude passive, in addition to considerations of teachers' social status and possible reverse causali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적 타협을 통한 국가고용전략의 수립은 유효한가? 최영기 pp.1-32

보기
복수노조시대의 노사협의회 운영 개선방안 황용연 pp.33-57

보기
노조활동 참여태도의 인과메커니즘 연구 :교원노조 사례를 중심으로 이병훈 ,남정민 ,이명규 pp.59-84

보기
노동조합 유형화를 위한 실증분석 연구 김주희 pp.85-121

보기
2000년대 중반의 노동조합과 생산직 근로자의 임금체계 :2005년과 2007년을 중심으로 노용진 pp.123-151

보기
특수고용형태업무종사자 산재보험 적용방안 :퀵서비스, 택배, 간병을 중심으로 정재훈 ,김수현 ,오주연 pp.153-177

보기

참고문헌 (6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노동조합지도자 리더십 효과성 : 전투성향과 온건성향에 관한 상황 이론의 탐색 소장
2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nion Commitment of Korean Teachers 소장
3 김영두 · 김승호(2006), ꡔ노동조합 효과성과 조합원 참여 영향요인 연구ꡕ,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미소장
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us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소장
5 김종번(2010), “노동조합 위원장의 리더십이 노조몰입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공무원의 노조몰입 결정요인과 조직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소장
7 The Effects of Union Members’ Perceptions of Union Characteristics on Union Participation : A Focus on Relative Deprivation, Social Identity, and Collective Efficacy 소장
8 박은철 · 이도화(2010), “심리적 계약위반이 근로자의 몰입과 노조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30. 미소장
9 배병렬(2009), ꡔ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ꡕ, 도서출판 청람. 미소장
10 A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Union Commitment of National University Employees 소장
11 Union Leader`s Leadership and Member`s Attitude to Union 소장
12 화이트칼라 勞動組合員의 二重沒入에 관한 硏究 소장
1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Union Participation 소장
14 Militancy of Korean Labor Unions and its Determinants 소장
15 An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Conceptual Construct and Causal Path of Dual Commitment 소장
16 장종원(2003), “노동조합 지도자의 리더십이 노조가치, 노조원의 노조몰입 및 노조탈퇴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7 Articles : Internal Politics of Labor Unions and Deliberative Democracy 소장
18 진숙경(2008), ꡔ노동조합 내부 민주주의와 현장조직 - 현대차 기아차 대우차 현장조직사례를 중심으로ꡕ, 한국노동연구원. 미소장
19 Aryee, S. and Y. Debrah(1997),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Union: an Investigation of Some Determinants in Singapore,” Human Relations Vol.30, No.2, pp.129-147. 미소장
20 Bacharach, S., Bamberger, P. and W. J. Sonnenstuhl(2001) Mutual Aid and Union Renewal: Cycles of Logics of Action, Ithaca: Cornell ILR Press. 미소장
21 Bagozzi, R. P. and Y. Yi(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Marketing Science, Vol.16, pp.74-94. 미소장
22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Union Commitment: A Meta-Analysis 네이버 미소장
23 Bass, B. M.(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Free Press. 미소장
24 Union commitment and participation among Hong Kong firefighters: a development of an integrative model 네이버 미소장
25 Dolan, S.(1979), “Determinants of Officers’ Militancy: The Case of the National Union of Teachers in Israel”, Relations Industrielle, Vol.34, No.2, pp.287-311. 미소장
26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네이버 미소장
27 Membership Participation in Workplace Unionism: The Possibility of Union Renewal 네이버 미소장
28 Predictors and outcomes of different patterns of organizational and union loyalty* 네이버 미소장
29 A longitudinal test of a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union loyalty. 네이버 미소장
30 Fullagar, C.(1987), “Toward a Model of Union Commitment,” Advances in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Vol.4, pp.43-78. 미소장
31 The Socialization of Union Loyalty 네이버 미소장
32 Fullagar, C., Parks, McLean J., Clark, P. F., and D. G. Gallagher(1995),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Union Participation: Measuring Discretionary Behaviors,” In Changing Employment Relations: Behavioral and Social Perspectives, ed. by L. E. Tetrick and J. Barl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소장
33 Union commitment and participation: a 10-year longitudinal study. 네이버 미소장
34 The Effect of Labor Relations Climate on the Union Participation Process 네이버 미소장
35 Gallagher, D.G., and P.F. Clark(1989), “Research on Union Commitment: Implications for Labor,” Labor Studies Journal, Spring, pp.52-71. 미소장
36 Union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37 Commitment to the union: Development of a measure and an examination of its correlates. 네이버 미소장
38 Union leadership and member attitudes: a multi-level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39 Normative Commitment and Instrumental Attachment as Intervening Variables in the Prediction of Union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40 Hochner, A., and I. Goll(1981), Decisional and Busy Work Participation by the Rank-and-file in Unions: the Effect on Satisfaction, Dept. of Industrial Relations and Organizational Behavior,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Temple University. 미소장
41 Antecedents of Union Loyalty: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spositions and Organizational Context 네이버 미소장
42 Kelloway, E. K., Catano, V. M., and A. E. Carroll(1995), “The Nature of Union Participation,” In Behavioral and Social Perspectives on Changing Employment Relations, ed. by L. E. Tetrick and J. Barling, Washington, DC: APA Books. 미소장
43 Members' Participation in Local Union Activities: Measurement, Prediction, and Replication 네이버 미소장
44 Who Gets Involved in Collective Action?: Social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Individual Participation in Trade Unions 네이버 미소장
45 Psychology and trade union participation: Joining, acting, quitting 네이버 미소장
46 Who Will Help? Willingness to Work for the Union 네이버 미소장
47 The Development of Members' Attitudes toward Their Unions: Sweden and Canada 네이버 미소장
48 Dual and Unilateral Commitment among Stewards and Rank-and-File Union Members 네이버 미소장
49 McShane, Steven(1985), “Sources of Attitudinal Union Militancy,” Relations Industrielle, Vol.40, No.2, pp.284-301. 미소장
50 The multidimensionality of union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51 A Path Analysis of Participation in Union Administration 네이버 미소장
52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hip decline and union commitment: A field study of local unions in crisis. 네이버 미소장
53 Measuring Trade Union Democracy: The Case of the UK Civil and Public Services Association 네이버 미소장
54 Operationalizing the Outcomes of Union Commitment: The Dimensionality of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55 Selznick, P.(1984), Leadership in Administration: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Berkel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미소장
56 Shore, L.M., and L.A., Newton(1995), “Union-member Relations: Loyalty, Instrumentality, and Alienation,” In Changing Employment Relations: Behavioral and Social Perspectives, ed. by L. E. Tetrick and J. Barl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소장
57 Increasing Citizenship Behavior Within a Labor Union: A Test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y 네이버 미소장
58 Snape, E., and T. Redman(2004), “Exchange or Covenant? The Nature of the Member-Union Relationship,” Industrial Relations Vol.43, No.4, pp.855-873. 미소장
59 Commitment to Company and Union: Evidence from Hong Kong 네이버 미소장
60 Commitment to the union: a survey of research and the implications for industrial relations and trade unions 네이버 미소장
61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Local Unions 네이버 미소장
62 A New Conceptualization of Union Commitment: Development and Test of an Integrated Theory 네이버 미소장
63 Dual Commitment to Company and Union in Sweden: An Examination of Predictors and Taxonomic Split Methods 네이버 미소장
64 Tannenbaum, A., and R. Kahn(1958), Participation in Union Locals, London: Row Peterson. 미소장
65 Developing and Maintaining Union Commitment: A Theoretical Framework 네이버 미소장
66 Union commitment: An examination of antecedent and outcome factors 네이버 미소장
67 UNION INVOLVEMENT IN QUALITY-OF-WORKLIFE EFFORT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네이버 미소장
68 Het sociologisch raadsel van de haviken en de duive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