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影片<红高梁>的女主角‘九兒’,可谓是封建社会买卖婚的被害者。可是她不屈于陋劣的环境,抵抗封建社会,活着自主、成功的人生。从下面三个方面分析了九儿有自主的一生。1)免于被支配走向自主的一生, 2)大地上的母性, 3)向帝国主义日本的抵抗(向日本侵略者的抵抗)。<红高梁>可评价于脱殖民化女权主义浓厚、抵抗传统、对抗帝国主义的不轨和抵抗的电影。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中國 當代兒童小說 속에 나타난 小皇帝 징후 :≪피피루 총동원≫, ≪큰머리 아들과 작은 머리 아빠≫, ≪개구쟁이 마샤오≫를 중심으로 송연옥 pp.5-28

중한 실의사동동사문 연구 박은석 pp.29-58

≪三國志≫ 所字구조 연구 이소동 pp.59-85

≪列女傳≫과 ≪世說新語≫의 惡女 형상 小考 :≪列女傳≫의 <孼嬖>와 ≪世說新語≫의 <惑溺>을 중심으로 이영숙 pp.87-120

韓少功의 ≪馬橋詞典≫ 읽기 김순진 pp.121-148

<붉은 수수밭>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盧惠淑 pp.149-168

시와 고사를 통해 살펴본 중국의 떡 문화 김원희, 이종무 pp.169-196

周作人의 '雜學'과 지식의 통섭 홍준형 pp.197-224

중국의 다민족 인식 및 정책 :관방의 정책과 학계의 관점 서정경 ,차창훈 ,원동욱 pp.225-248

개화기에서 1910년대까지의 중국어 교육상황 고찰 蘇恩希 ,李周娟 pp.249-268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陳墨, 《張藝謀電影論》, 中國電影出版社, 1995. 미소장
2 王一川, ≪張藝謀神話的終結≫, 河南人民出版社, 1998. 미소장
3 戴錦華, ≪霚中風景≫, 北京大學出版社, 2000. 미소장
4 莫言, 《红高梁》, 中国文学出版社, 1993. 미소장
5 吳天明, 〈衆設張藝謀〉, 《當代電影》, No1, 2000. 미소장
6 陳墨, 《靑春的囈語》,《當代電影》, No1, 2000. 미소장
7 蕭兵, 〈再論張藝謀電影與人類元語言〉.《藝術硏究》, No3 , 1998. 미소장
8 張藝謨, 〈我拍紅高梁〉, 《電影藝術》, No3, 1988. 미소장
9 薛中軍․肖國梀, 〈張藝謀影片女性意識〉,《東北師大學報》, 2001. 미소장
10 陳墨, 〈唱一首生命的讚歌〉, 《當代電影》, 1988. 미소장
11 赵惠娟, 〈解析张艺谋早期电影的女性意义〉,《电影文学》, 2010.21. 미소장
12 李金梅, 〈彰显与衰微-张艺谋电影创作中女性意义的蜕变〉《美与时代(下)》, 2010.11. 미소장
13 何慧,〈妹妹你大胆地往前走-张艺谋电影中的女性形象分析〉《河北第二师范学院学报》, 2009.07. 미소장
14 周梦焱, 〈张艺谋经典作品的女性主义解读〉《电影文学》, 2009.20. 미소장
15 송명희 외,《페미니즘과 우리시대의 성담론》, 새미, 1998. 미소장
16 김진기․조미숙․황수진, 《페미니즘 문학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미소장
17 태혜숙,《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이연, 2001. 미소장
18 슈테판 크라치, 황진자 역,《중국영화사》, 이산, 2000. 미소장
19 尹鴻․이종희 역,《중국영상문화의 이해》, 학고방. 2002. 미소장
20 심혜영, 〈붉은수수밭〉, 《문학과 지성사》, 1997. 미소장
21 유제분 엮음, 《탈식민 페미니즘과 탈식민 페미니스트들》, 현대문학사, 2001. 미소장
22 이현재, 《여성의 정체성》, 책세상, 2007. 미소장
23 조형 엮음, 《여성주의 가치와 모성 리더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미소장
24 南智賢, 〈張藝謨 女性 三部作에 나타난 女性 形象 硏究〉,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碩士論文. 미소장
25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소장
26 왕예우찐, 손흥기 역, 〈기억과 욕망을 뒤섞으면 붉은 수수밭〉, 《문학정신 42》, 1990. 미소장
27 呈现在《红高梁》的脱殖民化女权主义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