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논리모형(Logic Model)의 성과관리 적용 가능성 : 사회적 기업 정책을 중심으로 / 최영출 1

[요약] 1

I. 서론 1

II. 논리모형의 이론적 특성과 성과관리와의 관계 3

1. 논리모형의 개념 3

2. 유사용어와의 구분 4

3. 선행연구 6

4. 논리모형의 구성 요소 8

5. 성과관리와 논리모형과의 관계 11

III. 성과관리를 위한 논리모형의 적용가능성 탐색: 사회적 기업 정책 사례 12

1. 사례선정의 기준 12

2. 사회적기업의 사업 개요 13

3. 사회적기업 정책의 논리모형 15

4. 성과관리를 위한 논리 모형의 적용 가능성 21

IV. 결론 22

【참고문헌】 23

[저자소개] 26

Abstract 27

초록보기

본 연구는 논리모형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논리모형의 현실적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앞으로도, 성과관리 및 결과지향적 관리는 지속적으로 중요성을 가질 것이며, 이 과정에서는 성과평가정보들이 연계되어 활용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성과관리 과정에서 정책분석평가방법론으로서의 논리모형이 서로 연계될 때, 성과관리의 수준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루어져 있지 못하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 아직 활용은 미비하나 결과와 성과 중심의 평가를 위해서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 논리 모형은 성과관리에 있어서 그 중요성이 더 해 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결과지향적 관리와 평가에 유용성을 제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관심을 갖지 못했던 논리모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사회적 기업정책과정에 적용해 보며, 이를 통해서 논리모형에 대한 이해와 논리모형이 성과관리에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logic model developed to guide evaluation of public policy, especially in terms of its concept and components, and to prove whether it is applicable to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which is well-established as a means of generating higher levels of job performance in public sector. Assuming that performance management and result-oriented management system will have a greater importance in public sector both now an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performance and evaluation-related information to be integrated and linked together. In this respect, the logic model will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utilizing information need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from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In order to prove its applicability to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 case of social enterprise policy is adopted.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logic model would contribute a multidimensional, more sophisticated and nuanced approach to understanding public policy proces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논의의 초점 : 정책분석평가와 성과관리 오철호 pp.1-11, 327

보기
논리모형(Logic Model)의 성과관리 적용 가능성 : 사회적 기업 정책을 중심으로 최영출 pp.13-38, 327

보기
성과관리와 정책평가 연구의 특성에 관한 네트워크분석 홍형득 pp.39-59, 328

보기
사회보험과 주관적 계층의식의 변동 금현섭, 백승주 pp.61-86, 328

보기
다기준의사결정을 위한 평가요소간 가중치 산정방법 개발 여규동 pp.87-114, 329

보기
예산이론 연구프로그램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 문헌내용분석과 문헌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이정희 pp.115-148, 329

보기
투명성이 원자력발전소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수, 심준섭 pp.149-178, 330

보기
정책이해관계집단의 참여특성과 정책결정 소요시간 이시원, 정준금, 민병익 pp.179-206, 330

보기
평가역량구축을 위한 실행전략 설계와 현실 적용가능성 탐색 이석민 pp.207-237, 331

보기
서번트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김정식, 류은영, 박성민 pp.239-271, 331

보기
경제위기와 자살률 간 탐색적 연구 : 15개 시도 성별·연령별 자살률을 중심으로 김민영, 정광호, 금현섭 pp.273-302, 332

보기
지역R&D 예산배분체계에 관한 평가연구 오영균 pp.303-326, 332

보기

참고문헌 (4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政策分析틀로서의 政策論辨模型 소장
2 정책논변모형을 통한 근로장려세제(EITC) 도입 담론분석 소장
3 김동립・이삼열.(2010). “프로그램논리모형의 개념과 유형화에 관한 소고”. 2010 한국정책학회・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 발표문. 미소장
4 프로그램 논리모형 설계 및 평가: 농촌활력화사업을 대상으로 네이버 미소장
5 노화준.(2008). <정책평가론>. 서울: 법문사. 미소장
6 The Policy Application from the Logic Model Analysis of the Mountain Kumgang Government Program 소장
7 Commonality Analysis between Program Logic Model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Government Programs 소장
8 문제제기: 평가설계와 가치의 재인식 소장
9 프로그램 논리모형(Logic Models)의 적용과 사용에 관한 연구 : "간접흡연제로! 서울 평가지표 개발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10 Constructing Indicator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Social Enterprise 소장
11 Bickman, L. (1987). The Functions of Program Theory. New Directions for Evaluation. 33: 5~18. 미소장
12 Barriers to the use of program theory 네이버 미소장
13 Logic Model: A Tool for Planning and Evaluating Health and Recreation Prevention Projects 네이버 미소장
14 Chen H. (1990). Theory-Driven Evaluation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15 Chen H. (2005). Practical Program Evaluation: Assessing and improving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Thousands Oaks. CA: Sage. 미소장
16 Chen, H. & Rossi, P. (1993). Evaluation with Sense: The Theory-driven Approach. Evaluation Review. 7: 283~302. 미소장
17 Cooksy, L. J., Gillb, P., & Kelly, P. A. (2001). The Program Logic Model as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a Multimetho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4: 119~128. 미소장
18 Dyehouse, M., Bennett, D., Harbor, J., Childress, A., & Dark, M. (2009). A Comparison of Linear and Systems Thinking Approaches for Program Evaluation Illustrated Using the Indiana Interdisciplinary GK-12.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32:187~196. 미소장
19 Frechtling, J. (2007). Logic Modeling Methods in Program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미소장
20 Glouberman, S. & Zimmerman, B. (2002). Complicated and Complex Systems: What Would Succssful Reform of Medicare Look Like? Commission on the Future of Health Card in Canada, Discussion Paper 8. 미소장
21 Greene, J. C. (1993). The Role of Theory in Qualitative Program Evaluation. In D.J. Finders & G. E. Mills, Theory and Concepts in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미소장
22 The use of logic models by community-based initiatives 네이버 미소장
23 Kauffman, S. A. (1995). At Home In the Universe : The Search for the Law of Self-Organization and Complexity.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4 Knowlton, L. & Philips, C. (2009). The Logic Model Guidebook.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25 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s performance story 네이버 미소장
26 Millar, A., Simeone, R., & Carnevale, J. (2001). Logic Models: A Systems Tool for Performance Management.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4: 73~81. 미소장
27 Mohr, L. (1995). Impact Analysis for Program Evaluation, 2nd Edi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28 Noga, J. & Hargreaves, M. (2009). Logic Models and Systems Models: Two Sides to the same Coin?. presented at Budget. (2005). Budget Procedures Memorandum No. 861. retrieved from http: //www.whitehouse.gov /omb/budget/fy2005/pdf/bpm861.pdf. 미소장
29 A context and boundaries for a theory-driven approach to validity 네이버 미소장
30 Patton, M. (1997). Utilization-focused Evaluation, 3rd Edi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31 Patton, M. (1994). Developmental Evaluation. Americam Journal of Evation. 15: 311~319. 미소장
32 Patton, M. (2010). Developmental Evaluation : Appling Complexity Concepts to Enhance Innovation and Use.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33 Renger, R. & Hurley, C. (2006). From Theory to Practice: Lessons Learned in the Application of the ATM Approach to Developing Logic Model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9: 106~119. 미소장
34 Renger, R. & Titcomb, A. (2002). A Three-step Approach to Teaching Logic Modes. American Jourmal of Evaluation. 23(4): 493~503. 미소장
35 Rennekamp, R. A. & Arnold, M. E. (2009). What Progress, Program Evaluation? reflections on a Quarter-Century of Extension Evaluation Practice. Journal of Extension. 47(3). 미소장
36 Rpgers, P.(2000). Causal Models in program Theory in Evaluation, 87: 47~55. San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미소장
37 Evaluation 네이버 미소장
38 Rossi, P. H., Lipsey, M. W., & Freeeman, H. E. (2004). Evaluation: A Systematic Approach(7th ed.). Thousand Oaks. CA: Sage. 미소장
39 Suarez-Balcazar, Taylor-Ritzler, Garcia Iriarte, et al. (2010). Evaluation Capacity Building: A Cultural and Contextual Framework. In Balcazar, F., Suarez-Balcazar, Y., Science and Practice. Sudbury, MA: Jones and Bartlett 미소장
40 Taylor-Powell, E., Jones, L., & Henert, E. (2003). Enhancing Program Performance with Logic Models. retrieved from http://www1.uwex.edu/ces/lmcourse/. 미소장
41 United Way of America. (1996). Measuring Program Outcomes: A Practical Approach. Arlington, VA: United Way of America. 미소장
42 W. 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Bettle Creek, MI: W. K. Kellogg Foundation. 미소장
43 Westmoreland, H. & Rosenberg, H. (2009). How to Develop a Logic Model for Districtwide Family Engagement Strategies. Harvard family Research Project・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미소장
44 Wholey, J. (1979). Evaluation: Promise and Performance. Washinton, D. C.: Urban Institute Press. 미소장
45 Evaluability assessment: Developing program theory 네이버 미소장
46 Wholey, J. (1994). Assessing the Feasibility and likely Usefulness of Evaluation. In J. S. Wholey., H. P. Hatry., & K. E. Newcomer,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미소장
47 Wholey, J. (2003). Using Policy Evaluation to Support Decision Maing and Improve Program Performance. Japanese Jounal of evaluation Studies. 3(2): 6~11. 미소장
48 World Bank. (1999). Curbing the Epidemic Governments and the economics of Tobacco Control. retrieved from http://www. usaid.gov/policy/ads/200/tobacco.pdf.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