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淸代貴州省東南部の林業經營における銀流通 / 相原佳之 1

はじめに 1

1. 淸水江流域の木材交易環境 2

a. 三寒の主家と當江制度 2

b. 例木調達 4

c. 村落における契約文書 4

d. 木材交易と銀について 5

2. 『採運皇木案牘』にみる, 三寒における銀流通 7

3. 契約文書の貨幣表示からみる, 村落における銀使用 10

4. 村落における銀使用の諸相と, 道光年間における村落の變化 14

おわりに 18

[史料] 21

〈한글요약〉 31

초록보기

청대를 통해서 중국남부의 산지는 전국적인 목재수요의 증대를 배경으로 생육이 쉽고 生長이 빠른 넓은잎삼나무(학명은 Cunninghamia lanceolata)의 식목에 의한 인공재배가 확대하였다. 그 중에서도 貴州省 東南部의 淸水江流域은, 주로 18세기 이후, 그곳의 소수민족인 묘족이 전국시장을 목적으로 하는 식목과 임업경영을 진행시켰던 지역으로서 알려져 있다. 청수강 상류지역의 산지에서 생산자가 기른 삼목은 벌채 후, 山販(山客ㆍ苗販으로도 불린다)이라고 칭해진 그 지방의 묘족상인에 의해, 청수강 연안의 三寨(茅坪ㆍ王寨ㆍ卦治의 3개의 寨)까지 流下되었다. 이 지역에서의 목재구입을 계획하는 하류의 漢族商人[水商](客商이라고도 불린다)도 역시 삼채를 방문하였다. 삼채에서는 主家(行戶라고도 불린다)가 있어 산판과 수객의 거래를 중개했다. 매년 북경에서의 궁전건축과 보수용으로 사용되는 목재를 일정의 종류·치수·수량만을 북경에 조달하는 담당하는 採木委員이나 그 부하들도 삼채에서는 주가의 중개로 큰 목재를 조달해야만 했었다. 1770~80년대 湖南省이 북경에 쓰일 목재조달을 청부하였던 영안이라는 인물에 의한 조달활동동기록인 󰡔採運皇木案牘󰡕에 나타난 은의 유통에 관련된 사례들을 살펴보면, 삼채에서 일상적으로 운용되고 있던 은은 紋銀이었다는 것, 삼채에서 원활한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문은을 이용해야 했다는 것, 순도 낮은 은[撇銀]만을 사용해서 거래하는 것은 불가능했다는 것, 徽州商人은 산판에게 받아들여지기 충분한 순도의 은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합하여 말하면, 18세기 후반의 삼채에서는 극히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문은이 사용되었다는 것, 그리고 거기에서는 중개상인 주가의 힘이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당시 계약문서를 검토하면, 계약전반의 수는 1850년대에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 錢의 표시비율 1840년 후반부터 증가하고 은의 표시비율이 감소하는 것, 紋銀표시가 1830년대에 현저하게 증가하고 그 우 1880년대까지 은 표시의 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것, 1830년 전반만 他銀 표시가 보이는 것, 1830년대 이후, 谷[가격이 곡물로 표시되어 있는 것] 표시 비율이 증가하는 것, 田土의 매매계약에서는 錢 및 谷 표시가 극히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문은표시 증가와 1830년대 전반에서 타은 표시의 출현이다. 문은표시가 증가하는 시기와 타은 표시가 보이는 시기가 일치한다. 이는 계약문서 상에서 구별하기 위해, 그때까지는 단순히 은 표시였던 것을, 다시 나누어 썼던 것으로 한 결과일 것이다. 그 까닭은 순도 높은 은만이 유통되었던 촌락 내에 순도 낮은 은인 타은이 유입하기 시작하여 은의 순도에 의해 화폐표시를 나누어 쓸 필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주로 하류지역에서 온 외래자가 다양한 형태로 촌락 내에 진출했던 것, 또 그러한 외래자에 호응하는 촌락 내의 세력이 있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위의 사태에 대한 촌락의 반응은 2가지의 방면에서 주목된다. 우선 하나는 촌락의 사회구조변화의 측면이다. 즉, 질이 낮은 은의 유입에 대해 그 지역의 몇 개의 촌락이 합동하여 대응했던 것이 주목된다. 19세기 후반 이후, 이 지방에서는 임업경영에서 이익을 올린 촌락을 중심으로 단련이 조직된다는 과정을 따라가면, 그 배경의 하나로 19세기후반에서 은 사용환경의 변화가 있던 것이 틀림없다. 또 하나는 생태환경적 측면이다. 질이 낮은 은의 유입에 대해, 계약문서의 은 표시를 바꾸는 형태로 대응이 행해졌던 배경에는 목재의 상품성 특성이나 하류의 경제동향과 촌락 내 임업경영의 관계에 대해 숙지하였던 묘족산림경영자의 모습이 있다. 즉, 문은을 계약문서 상의 거래 기준으로 하는 것에 의해, 질이 낮은 은에 의해 삼목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이 책정되어 하류이 경제력에 의해 재생산이 불가능하게 될 정도로 대량의 삼목이 하류로 판매되는 사태를 미연에 막고, 목재가 높은 가격으로 책정되어 대가로서 충분한 량의 은이 촌락에 유입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리고, 촌락 내에 반입된 은의 일부는 비율은 불명하지만 임업의 재생산에 충당하게 된 것을 고려하면, 촌락의 이러한 대응은 상업적인 임업과 지속적인 삼림재생산을 계속하게 하려는 하나의 방편이자, 이것에 의해 그 지방의 삼림환경이 괴멸적인 파괴를 면하고 지속적으로 삼림재생산이 계속되고 있었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消费与性別 : 明淸士商的休闲购物与男性特质 巫仁恕 pp.1-36

보기
淸代貴州省東南部の林業経営における銀流通 相原佳之 pp.37-69

보기
18世紀 中國 江南地域의 貨幣使用慣行 洪成和 pp.71-98

보기
조선시대 銀 유통과 소비문화 李憲昶 pp.99-139

보기
만력초기 개혁의 배경과 평가 : 張居正을 중심으로 李和承 pp.141-177

보기
명말 청초 經史학파의 專制的 帝國체제 비판 : 黃宗羲와 顧炎武를 중심으로 曺秉漢 pp.179-214

보기
18세기 초 청·준가르몽고 관계 연구 : 『청내각몽고당당』중 체왕랍탄[tsewang labtan]관련 기사 중심으로 조병학 pp.215-250

보기
葛藤·協力·隷屬 : 淸代 廣東對外貿易中의 行商과 東印度會社의 關係를 중심으로 朴基水 pp.251-282

보기
淸末 梁啓超의 經濟改革案과 國民國家 鄭址鎬 pp.283-314

보기
동아시아 신해혁명의 기억 : 『申報』,『每日申報』,『讀賣新聞』 기사분석을 중심으로 鄭惠仲 pp.315-345

보기
조선시대 서해 북단 해역의 경계와 島嶼 문제 : 海浪島와 薪島를 중심으로 서인범 pp.347-386

보기
第十四屆明史國際學術硏討會 參加記 이준갑 pp.399-409

明代史 國際學術硏討會에 다녀와서 김경록 pp.387-398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およびクリスチャン・ダニエルス 「中国少数民族が残した林業経営の契約文書」 史資料ハブ 第3号、2005年、 미소장
2 クリスチャン・ダニエルス 「清水流域の苗族が植林を開始するまで――林業経営へと駆り立てた諸要因」 唐立, 楊有賡, 武内房司, 貴州苗族林業契約文書匯編(1736-1952年)第3巻,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2003年。 미소장
3 契約文書匯編 平鰲寨文書を事例として――」 唐立・楊有賡・武内房司主編前掲書所収、135-6頁。 미소장
4 貴州省編輯組, 侗族社会歴史調査, 貴州民族出版社、1988年、51頁 미소장
5 The Timber Trade and the Merchants of Minorities in Southwest China under the Qing ― In the Case of Jinping Region in Guizhou ― 소장
6 単洪根, 木材時代――清水江林業史話, 北京:中国林業出版社、2008年 미소장
7 唐立 雲南西部少数民族古文書集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2011年、iv頁)。 미소장
8 藍勇 「明清時期的皇木採辦」 歴史研究 1994年6期 미소장
9 藍勇, 古代交通生態研究与実地考察, 四川人民出版社、1999年 미소장
10 梁聡, 清代清水江下游村寨社会的契約規範与秩序――以文斗苗寨契約文書為中心的研究, 北京:人民出版社、2008年 미소장
11 李良品, 杜双燕 「近三十年清水江流域林業問題研究総述」 貴州民族研究 2008年3期 미소장
12 武内房司 「清代清水江流域の木材交易と在地少数民族商人」 学習院史学 35号、1997年。 미소장
13 武内房司, 竹村卓二, 「清代貴州東南部ミャオ族に見る「漢化」の一側面――林業経営を中心に」 儀礼・民族・境界――華南諸民族 「漢化」の諸相, 風響社、1994年 미소장
14 相原佳之 「清代中国、貴州省清水江流域における林業経営の一側面 ―― 貴州苗族林業 미소장
15 相原佳之 「清代中期、貴州東南部清水江流域における木材の流通構造―― 採運皇木案牘 の記述を中心に」 社会経済史学 第72巻5号、2007年を参照。 미소장
16 相原佳之 「清朝による木材調達の一側面――清朝前期の例木制度」 中国研究論叢 第3号、2003年。 미소장
17 岸本美緒 清代中国の物価と経済変動 研文出版、1997年、353頁。 미소장
18 楊有賡 「清代黔東南清水江流域木行初探」 貴州社会科学 1988年8期 미소장
19 楊有賡 「清代錦屏木材運銷的発展与影響」 貴州文史叢刊 1988年3期 미소장
20 王宗勛, 呉育端 「一代木商姚百万」http://www.qdnds.cn/Article/ShowArticle.asp?ArticleID=357 (2011年7月2日閲覧) 미소장
21 張応強 「従卦治《奕世永遵》石刻看清代中後期的清水江貿易」 中国社会経済史研究 2002年3期 미소장
22 張応強, 木材之流動――清代清水江下游地区的市場、権力与社会, 北京:生活・読書・新知三聯書店、2006年 미소장
23 張応強前掲書、179-181頁 미소장
24 中島楽章 「清代徽州の山林経営・紛争・宗族――祁門凌氏文書の研究――」 社会経済史学 第72巻第1号、2006年、12頁。 미소장
25 陳金全, 杜万華, 貴州文斗寨苗族契約法律文書匯編――姜元澤家蔵契約文書, 北京:人民出版社、2008年、312-313頁 미소장
26 採運皇木案牘 미소장
27 清水江文書 1-2-3-052 미소장
28 清水江文書 1-2-5-01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