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취업 여성의 '남편'과 일-가족 문제 / 강이수 인기도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1.06.30
수록지명
젠더와 문화 = Gender and culture. 제4권 1호 (2011년 6월), pp.43-87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134397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는 맞벌이 가구의 남편의 존재형태, 역할 책임의 유형, 가사 참여 정도 등을 심층면접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연구 시기는 산업화 이후 여성의 취업 확대와 성별 분업 규범의 변화 양상에 따라 90년대 이전과 이후 두 시기로 구분하여 변화를 살펴보았다.

전통적 성별분업 규범이 아직 견고하던 90년대 이전, 맞벌이 가구 남편은 생계부양 역할 여부와 상관없이 가정 내에서 권위적인 위치에 있었고, 가사분담의 책임에서도 벗어나 있었다. 또한 하층 맞벌이 가구의 경우 남편의 생계부양 역할은 잦은 이직, 부채 등으로 지속적인 취업을 하고 있는 부인에 비해 불안정한 생계부양자인 경우가 많았다.

90년대 이후 신전통적 성별분업 시기의 남편들은 부인의 취업을 당연시하고 인정하게 되나, 가사분담의 양상은 여전히 불균등하다. 취업 여성들은 남편에 대해 공평한 가사분담을 요구하기 보다는 부모의 지원을 통해 가사노동을 대체하거나 최소화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전 시기 취약한 생계부양 역할을 해도 가정 내 남편의 권위가 유지되었다면, 90년대 이후에는 훨씬 불안정해지고 인정받지 못하는 존재가 된다. 즉, 가정 내 성별분업의 불평등한 관계의 지속과 남성 부양자 권위의 흔들림과 균열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husbands’ attitudes of employed women to the breadwinning role, domestic work, and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dual-earner families from the 1960’s Korean industrialization to present. This period is subdivided into two phases as follows. The first phase, 1960-1990, was characterized by the rigid sexual division of labor, negative attitudes towards women’s employment, and strong authority in financial decision-making belonging to husbands. Many husbands earned less than their wife in low strata families. But they did not perform any domestic work and they kept their authority concerning financial and family decision-making. The second phase, 1990-present, is characterized by positive attitudes towards women’s employment and the weakening of authority of husbands concerning financial decision-making. But there still remained an unequal sharing of domestic work. So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s the only area where attitudes remained unchanged.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이수 엮음(2009),『일·가족·젠더: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파주: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2 김혜경(2009), 일―가족 접합의 역사와 친족관계의 변화 ,『일·가족·젠더: 한국의 산업화와일―가족 딜레마』, 강이수 엮음, 파주: 한울아카데미, 129-171쪽. 미소장
3 마경희(2009), 맞벌이가구 젠더체제 유형과 여성의 일―삶 경험 , 『일·가족·젠더: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파주: 한울아카데미, 330-364쪽. 미소장
4 박기남(2009), 전문직 여성의 갈등과 좌절, 그리고 적응전략: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일·가족·젠더: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강이수 엮음, 파주: 한울아카데미, 172-29쪽. 미소장
5 기혼여성노동자의 일·가족 경험과 직업의식 소장
6 손문금(2005), 맞벌이부부 여성의 이중부담과 시간의 특성:『생활시간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사회학전공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7 안상수·김이선·김금미(2009),『성평등 실천 국민실태조사 및 장애요인 연구(I): 사적 생활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연구보고서-21. 미소장
8 Family income and Poverty status in Male-breadwinner families and dual-earner families 소장
9 장지연·이정우·최은영·김지경(2005),『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정책연구 2005-01. 미소장
10 조성은(1998),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에 관한 연구: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1 조주은(2009), 중간계급 유배우 취업여성의 압축적 시간경험에 관한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 각 년도. 미소장
13 Crompton, R., S. Lewis, and C. Lyonette(eds.)(2007), Introduction: the Unravelling of the Male Breadwinner Model - and Some of its Consequences , in Women, Men, Work and Family in Europe, ed. R. Crompton, S. Lewis, and C. Lyonette, New York: Palgrave Macmillan, pp. 1-16. 미소장
14 Dual-Career and Dual-Income Families: Do They Have Different Needs? 네이버 미소장
15 Gerson, K.(2010), The Unfinished Revolution: How a New Generation is Reshaping Family, Work, and Gender in America,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6 Glucksmann, M. A.(1995), Why Work ? Gender and the Total Social Organization of Labour ,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2(2), pp. 63-75. 미소장
17 Hareven, T. K.(1982), Family Time and Industrial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Work in a New England Industrial Commun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8 Hochschild, A. R.(1997), Time Bind: When Work Becomes Home and Home Becomes Work, New York: Metropolitan Books. 미소장
19 Houston, D.(2005), Work-life Balance in the 21st Century, New York: Palgrave Macmillan. 미소장
20 Jenkins, S.(2004), Gender, Place and the Labour Market, Aldershot: Ashgate Publishing. 미소장
21 The Female Breadwinner: Phenomenological Experience and Gendered Identity in Work/Family Spaces 네이버 미소장
22 Sainsbury, D.(ed.)(1999), Gender and Welfare State Regim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3 Patriarchy stabilized: The construction of the male breadwinner wage norm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네이버 미소장
24 Williams, J.(2000), Unbending Gender: Why Family and Work Conflict and What to Do About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