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강제이주담에 대하여 / 이복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민족문화학회, 2011.10.31
수록지명
한민족문화연구. 제38집 (2011년 10월), pp.451-481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136675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강제이주담에 대하여 / 이복규 1

국문초록 1

I. 머리말 2

II. 고려인 강제이주담의 화제들 4

1. 강제이주 사실의 인지 시기 4

2. 강제이주의 이유 5

3. 강제이주시의 휴대품 6

4. 이주열차의 구조 8

5. 이주열차에서의 생활 10

6. 첫 도착지에서의 겨울나기 12

7. 첫 도착지 현지인의 반응 16

III. 강제이주에 대한 인식 17

1. 죄 없는 고난 17

2. 배신감과 분노 17

3. 모멸스러운 일 19

IV. 맺음말 20

〈자료일람〉 22

참고문헌 28

〈Abstract〉 30

초록보기 더보기

이 논문은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강제이주담을 고찰한 것이다. 강제이주담은 고려인 생애담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면서 관련 문헌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라 우선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어, 이것만 따로 다루었다. 먼저, 강제이주담의 화제들을, 강제이주를 중심으로 일곱 가지로 정리해 사실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강제이주 사실의 인지 시기, 강제이주의 이유, 강제이주시의 휴대품 분량, 고려인이 탔던 이주열차의 구조, 이주열차에서의 생활, 첫 도착지에서의 겨울나기, 첫 도착지 현지인의 반응 등의 양상을 살폈다. 같은 화제라도 지역과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그간의 쟁점이었던 문제들에 대해 진전된 이해에 이르기도 하였다. 그 다음으로, 강제이주에 대한 고려인의 인식 양상을 살폈다. 죄 없는 고난, 배신감과 분노, 모멸스러운 일 등으로 반응․인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일찍이 경험하지 못했던 ‘강제이주’라는 극단의 시련을 당하면서 그냥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그 부당성에 대해 또렷하게 인식하여 배신감, 분노, 모멸감 등을 느끼며 일정하게 반응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의 의의는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강제이주담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했다는 데 있다. 강제이주의 주요 화제들의 실상을 드러낸 것은 고려인 이주사를 이해하고 서술하는 데 일정하게 기여하리라 보며, 이를 소재로 활용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글을 디딤돌 삼아 더 심도 있는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stories of forced migration of Central Asia Koreans. It is a significant first attempt as there have been no researches on this topic despite a steady accumulation of research findings on the Koreans in this region. Among the few possible topics on their life stories, forced migration was picked up for the main topic since it comprises the core features of the life stories of these Koreans, yet leaving only a few available materials for research. The materials of this paper include the oral transcripts from 11 Koreans in Kazakhstan who were born prior to 1931 that I met between 2005 and 2009, 75 memoirs and reportage featured in Lenin Gichi and Koreilbo, and 7 reminiscences published in other types of literature. Based on these data, the following facts were established, which were also the key factors of Central Asia Koreans' life stories: (1) the time when they knew they were leaving; (2) the reason for their migration; (3) the amount of stuff they could carry; (4) the structure of the train where they were aboard; (5) life aboard the train; (6) overwintering at the first arrival; (8) the responses of the natives; (7) life after the forced migration. The stories varied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individuals; however, it was possible to reach an advanced understanding toward some controversial issues. The confirmation that their having lived in a hole called Jamble was not just a legend but a fact is one example. Next, the epistemological aspects of forced migration were examined, such as (1) innocent suffering; (2) sense of betrayal and resentment; (3) humiliation. These Korean emigrants did not merely conform to 'forced migration,' an extreme ordeal that had never been experienced in the national history, but they were well aware of its injustice as well, responding to the external forces with high levels of emotion. This paper is only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went over the life stories of Central Asia Koreans for the first time; hopefully, a number of more strenuous studies will be ensued seeing research topics from various angles. Recommended are an independent study of a problematic individual's life story,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topics before and after forced migration, and life stories of those who returned to the Far East. Furthermore, it should be discussed how the life stories of these Koreans differ from those of other Koreans including those who have kept living in the Korean Peninsula.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모죽지랑가>의 가요적 성격과 동성애 코드 구사회 pp.7-2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東崦草堂 石刻의 朝鮮 流入과 李尙迪에 대한 王鴻의 友情 鄭後洙 pp.29-5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새로 발굴된 - 추사 김정희의 암행보고서 김규선 pp.57-77 원문보기 보기
한국 실존주의 시에 대한 박영근의 수용과 변용 박정근 pp.79-11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염상섭 초기 소설의 변화 과정 고찰 : 매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이희정, 김상모 pp.113-13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시대고를 견디는 몽환의 비의성과 자기존재의 정립 : 윤후명의 실크로드 여행서사를 중심으로 고명철 pp.139-16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한국전쟁 관련 외국문학 작품의 의미와 그 이면 : 폴란드, 터키, 콜롬비아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신주철 pp.165-18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권익륭의 <풍아별곡> 연구 이상원 pp.193-21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연작소설 『황원행』의 집필 배경과 서사 특징 연구 이효인 pp.217-25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최인훈 문학 초기 중단편의 원형적 성격과 그 확산의 양상 김성열 pp.253-28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이청준 동화의 특징과 아동문학적 가치 : 전래동화 채록의 의미 해석을 중심으로 이주미 pp.287-31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기교와 포즈로서의 예술 : 김수용 영화론 박유희 pp.313-35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혼례물목류 고문헌 자료를 활용한 민간 전통혼례 문화 연구 김정녀 pp.361-38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연해주·사할린 한인의 삶과 정체성 : 연구동향과 과제를 중심으로 鄭眞阿 pp.391-42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이주문학에 나타난 타자 재현의 문제 : <소금>과 <붉은 산>의 '재만 조선인' 재현을 중심으로 차성연 pp.423-44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강제이주담에 대하여 이복규 pp.451-48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국여성학. Vol. 7. pp. 7 미소장
2 A Study o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Signifying Mechanism of Women`s Personal Narratives 네이버 미소장
3 이중언어학회지. Vol. 8. pp. 1 미소장
4 통일문제연구. Vol. 19. pp. 207 미소장
5 구비문학연구. Vol. 4. pp. 71 미소장
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2. pp. 227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