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중서부지역 출토 마형대구의 검토 / 현남주 ; 권윤경 1

┃국문초록┃ 1

I. 머리말 2

II. 중서부지역의 마형대구 출토 유적 현황 3

1. 안성천 유역권 5

2. 미호천 유역권 10

3. 남한강 유역권 14

III. 마형대구에 관한 연구현황 15

IV. 중서부지역 출토 마형대구의 편년 21

1. 1단계 22

2. 2단계 23

3. 3단계 23

4. 4단계 24

V. 맺음말 24

┃참고문헌┃ 26

ABSTRACT 27

초록보기

최근 들어 그동안 영남지역에서만 출토되었던 음각의 문양표현방식을 사용한 마형대구들이 평택 마두리와 아산 용두리 진터유적에서 확인되고 있어 매우 주목되는데, 이글에서는 중서부지역에서 출토된 마형대구를 검토하여 모두 4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문양의 음각표현, 다양한 철기의 부장으로 대표되며 평택 마두리와 아산 용두리 진터 유적을 들 수 있으며 대체적인 편년은 2세기 중엽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2단계는 천안 청당동 5호묘 출토품이 대표적으로 전체적인 시기는 3세기 중반을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3단계는 중서부지역에서 마형대구가 확산되는 단계로 마구의 표현이 사라지고 문양의 표현범위가 더욱 축소되는 유형으로 이전에 비해 출토되는 지역이 미호천 유역의 청주·청원지역으로 확대된다. 4단계는 중서부지역에서 마형대구가 소멸되는 단계로 4세기 후반경에 상주 성동리와 신흥리 유적에서 마형대구가 등장하는 시기에 해당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기지역 동검 문화의 전개 양상 서길덕 pp.5-45

보기
중서부지역 출토 마형대구의 검토 현남주, 권윤경 pp.47-73

보기
서울·경기지역 신라 주거지와 건물지 고찰 황보경 pp.75-109

보기
準王南來說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조선유민의 마한 유입과 관련하여 박대재 pp.111-137

보기
남인도 거석문화의 현황과 성격 : 비누콘다(Vinukonda)와 큠붐(Cumbum)지역을 중심으로 이헌재 pp.139-161

보기
中西部地域 墳丘墓의 檢討 李南奭 pp.163-187

보기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관방체계와 남부전선의 변화 신광철 pp.189-224

보기
신라 불탑 탑신(塔身) 부조상의 추이 : 금강역사상에서 사천왕상으로 임영애 pp.225-248

보기
羅末麗初期 강원지방 평기와 연구 朴東祜 pp.249-277

보기
忠州 製鐵遺蹟의 現況과 性格 어창선 pp.279-308

보기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徐五善, 1992, 天安 淸堂洞 및 安城出土 一括遺物, 考古學誌2, 韓國考古美術硏究所. 미소장
2 金邱軍, 2000, 虎形帶鉤의 形式分類와 編年,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周年 紀念論叢, 慶北大學校 人文大學 考古人類學科. 미소장
3 車勇杰, 2003, 淸州 鳳鳴洞 土壙墓群, 湖西考古學報8, 湖西考古學會. 미소장
4 韓半島 出土 動物形 帶鉤의 系統에 대한 시론적 검토 소장
5 A Chronology of the Proto-Three Kingdom Period in Northern Chungcheong: Cheongju, Cheongwon and Cheonan Areas 소장
6 김성욱, 2010, 한반도 마형대구의 편년과 지역상 ,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이창엽, 2011, 천안 청당동 분묘군 편년 재검토 , 제1회 한국상고사학회 워크숍 자료집 , 한국상고사학회. 미소장
8 朴章鎬, 2011, 原三國期 動物形帶鉤의 전개와 의미 , 嶺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미소장
9 國立中央博物館, 1990, 천안 청당동유적 발굴조사보고 , 休岩里. 미소장
10 國立中央博物館, 1991, 天安 淸堂洞 第2次 發掘調査報告書, 松菊里. 미소장
11 國立中央博物館, 1992, 天安 淸堂洞 第3次 發掘調査報告書, 固城貝塚. 미소장
12 國立中央博物館, 1993, 天安 淸堂洞 第4次 發掘調査報告書, 淸堂洞. 미소장
13 國立中央博物館, 1995, 天安 淸堂洞 단계 조사보고 , 淸堂洞. 미소장
14 公州大學校博物館, 2008, 燕岐 應岩里 遺蹟. 미소장
15 국방문화재연구원, 2010.10, 행정중심복합도시 의료복지지역 5-3생활권(시굴3-3-B지점) 문화재발굴조사 약보고서 . 미소장
16 中原文化財硏究院, 2009, 淸州 山南洞 42-6番地 遺蹟. 미소장
17 중원문화재연구원, 2010.6, 고속국도 제40호선 음성-충주간 건설공사(4공구)(3구간) 문화유적 발굴 조사 약보고서(4차) . 미소장
18 중원문화재연구원, 2010.12, 고속국도 제40호선 음성~충주간 건설공사 문화유적 발굴조사(제4구간 5·6공구) 약보고서 . 미소장
19 忠北大學校博物館, 2005, 淸州 鳳鳴洞遺蹟( ) . 미소장
20 忠北大學校博物館, 2010, 燕岐 應岩里 가마골 遺蹟(B地區) . 미소장
21 忠淸南道歷史文化院, 2007, 牙山 葛梅里( 區域) 遺蹟. 미소장
22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12, 아산 탕정 LCD단지 조성부지(2구역)내 3지점 문화유적 발굴조사 개략보고서 . 미소장
23 忠淸文化財硏究院, 2008.12, 牙山 龍頭里 진터 遺蹟-아산 탕정 제 2일반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 내-2지점(가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지도위원회의 자료 . 미소장
24 韓國考古環境硏究所, 2010, 燕岐 應岩里 가마골 遺蹟(A地區) . 미소장
25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1, 平澤 馬頭里 遺蹟. 미소장
26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999, 淸原 俉倉遺蹟( ) .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