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時調를 통한 松伊와 黃眞伊의 同異性 비교 고찰 / 이화형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韓國時調學會, 2011.07.31
수록지명
時調學論叢. 제35집 (2011. 7), pp.167-193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2030803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기생들의 문학은 사대부들의 문학과 더불어 우리 문화사에 소중한 발자취로 남아 있다. 기생들이 읊은 시조 역시 사대부들의 것과 함께 우리 시가사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심도 있는 연구의 결과 기생들의 문화사적 역할과 성과에 따른 상당한 평가가 내려지고 있다.

특히 기생 松伊는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기고 일찍이 名妓로 평가받은 바 있으며, 역시 명기로 예술적 재능을 인정받은 黃眞伊도 6수나 되는 시조를 남기면서 현재 고교 문학교과서 수록 1위에 오를 만큼 모두가 보물처럼 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기생으로서 전문적 문인의 위상을 보이며 어느 누구보다 자존심이 강했던 조선중기의 이 두 여성이 공통점과 더불어 사뭇 성향을 달리함에도 불구하고 비교 논의되지 않았던 점은 아쉬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詩妓들은 물론 여성이자 기생으로서의 삶과 의식에 있어 한계도 드러낼 수밖에 없었지만 재능과 교양을 갖춘 인간으로서 근원적 자존심을 숨길 수 없었다. 다만 그들은 신분적 갈등을 느끼면서도 사회적 규범을 벗어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자연히 그들의 시적 대상은 정치적 현실과 거리를 둔 근원적 인간 내면의 문제로 기울어졌을 것이다. 다시 말해 詩妓들은 주로 애정관계를 시적 모티브로 삼아 인간의 총체적인 삶의 지향성에 대해 고민했다고 볼 수 있다.

송이와 황진이의 시세계도 존재론적인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무엇보다 두 시인이 자존심을 바탕으로 순수와 진실을 추구함에 있어서는 동질적이라 할 만하며, 신분적 한계로서의 정념에 시달렸던 것도 마찬가지로 동일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황진이는 늘 자신감에 차 있고 주체적 입장에서 의지적으로 인간과 세상을 보고자 했다면, 송이는 자신감과 달리 비교적 감성적이며 소극적인 성격의 자조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하겠다.

자신들의 고유한 체험이 보다 진솔하게 구현된 시조작품을 통해 조선중기에 활동했던 대표적인 두 기생을 비교해 봄으로써 기생들 작품세계의 전반적 특성과 아울러 다채로움을 이해하는 단초가 될 수 있었다고 본다.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금계필담, 성소부부고, 소호당집, 숭양기구전, 어우야담, 한국시조대사전 등. 미소장
2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1986. 미소장
3 김덕현, 시조문학교육론, 박이정, 2004. 미소장
4 Figuration of farewell and aspect of confrontation expressed in the poem of Hwang Jin I 소장
5 김일렬, 애정시가의 시가사적 위치와 그 작품세계, 국어국문학 84, 국어국문학회, 1980. 미소장
6 박을수, 시화 사랑 그 그리움의 샘, 아세아문화사, 1994. 미소장
7 백승화ㆍ강기수, 황진이 시에 나타난 만남의 실존주의교육학적 의미, 한국교육사연구회, 제48회 학술논문집, 2010. 미소장
8 성기옥, 고전시가의 여성작가와 작품, 이혜순 외, 한국고전여성작가작품연구, 태학 사, 1999. 미소장
9 기녀시조의 감성특성과 시조사 소장
10 안남연, 황진이의 재조명, 한국어문학연구49,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7. 미소장
11 윤영옥, 송이의 시조, 여성문제연구제11집, 대구가톨릭대 사회과학연구소, 1981. 미소장
12 윤영옥, 기녀시조의 고찰, 여성문제연구제12집, 대구가톨릭대 사회과학연구소, 1983. 미소장
13 이수광, 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연애사건, 다산초당, 2007. 미소장
14 이신복, 황진이론, 한국문학작가론, 형설출판사, 1981. 미소장
15 이재선, 한국문학의 지평, 새문사, 1981. 미소장
16 時調에 나타난 기녀들의 존재의식 탐구 : 절대적 임에서 주체적 자아까지 소장
17 이화형, 기녀시조의 해학성과 구경적 소망, 국제어문25집, 국제어문학회, 2001. 미소장
18 이화형, 뜻은 하늘에 몸은 땅에-세상에 맞서 살았던 멋진 여성들, 새문사, 2009. 미소장
19 정병설, 나는 기생이다-소수록 읽기, 문학동네, 2007. 미소장
20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미소장
21 조세형, ‘동짓달 기나긴 밤...’의 시공인식, 한국고전시가작품론2, 집문당, 1992. 미소장
22 Ginyeo Sijo's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소장
23 황충기, 기생시조와 한시, 푸른사상, 2004.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