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중국 대륙 무협블록버스터를 관통하는 예술적 아름다움의 전시성에 대한 분석 : 〈연인〉(2004), 〈무극〉(2005), 〈야연〉(2006)의 '절세가인(傾城傾國)' 이미지를 중심으로 / 문현선 1

I. 들어가는 말 1

II. 절세가인(傾城傾國), 2000년대 중국 대륙의 무협블록버스터를 장악하다 5

1. 장이머우(張藝謨)의 〈연인〉(2004)과 샤오메이(小妹) 5

2. 천카이거(陳凱歌)의 〈무극〉(2005)과 칭청(傾城) 9

3. 펑샤오깡(馮小剛)의 〈야연〉(2006)과 완(婉) 15

III. '가장 중국적인 것의 아름다움(中華)'을 향하여: '절세가인'과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스토리텔링 24

IV. 나오는 말 31

■ 참고문헌 34

■ 국문초록 38

■ 中文提要 40

초록보기

이 논문은 2000년대 중반 중국 대륙 감독의 무협블록버스터 3편을분석함으로써, 이 동시대의 영화들이 ‘절세가인(傾城傾國)’이라는 고전적 기호를 어떻게 영화적으로 재구성하며 기호의 자기반영-전고(典故)로서의 패러디-에 의해 ‘가장 중국적인 아름다움’을 각인시키고자 하는지에 주목한다.

또한 이처럼 반복되는 ‘절세가인’의 이미지는 고사성어의 스토리텔링과 자기반영적 기술을 통해 이 미적 추구를 하나의 역사적 ‘사실’로서 확증한다. 장이머우의 영화가 ‘절세가인’의 이미지의 물량 공세로관객을 압박한다면, 천카이거의 영화는 이를 일종의 고정관념으로서제시한다. 그러나 감독의 냉소적인 시선에도 불구하고 이 고정관념은오히려 ‘절세가인’에 대한 기존의 이미지를 공고하게 만들 따름이다.

펑샤오깡의 <야연>은 서슴지 않고 이러한 ‘치명적인 아름다움’에 지고 한 권위를 부여한다. 아름다움, 아름답기 때문에 지니는 치명성 뿐 아니라 치명적이기 때문에 더욱 추구되는 아름다움은 이 영화로 인해 완전히 정통성을 획득한다. 중국 대륙의 무협블록버스터는 이처럼 ‘절세가인’ 이미지의 자기반영적 기술을 통해 그 자신의 과도한 미적 추구를 합리화하는 것처럼 보인다.

武打片是最中國的類型電影, 自從香港電影中的武俠電影和功夫電影的基礎發展到如今. 新世紀來臨之際, <臥虎藏龍>達成了光輝燦爛的大成功以後, 武打片逐漸擴大規模, 融聚圍繞中華電影界人員和資源的一切力量, 集中于大作中國武術電影. 張藝謀, 陳凱歌, 馮小剛等中國本土的著名導演也不例外. 本稿爲了達道理解中國當代大作武術電影追求的目標, 對于<十面埋伏>(2004), <無極>(2005), <夜宴>(2006)等所上述的三位導演的電影進行分析, 發見到這些電影引用所謂`傾城傾國'的古典符號,運用其故事成語的故老敍述方式, 創新新世紀中國本土的最代表性類型電影, 表現出具備致明魅力的`眞正中國之美'.

武打片會細分三成種類, 其一是武俠片, 其二是香港功夫片, 其三是中國本土武術片. 其中中國本土武術片在2000年以後迅速發展, 引起大轟動, 已成最成功的電影一類. 此種電影以中國武術及武術電影的藝術化爲目標, 還要和美國好來塢的動作片, 或着香港的功夫片劃分淸雪, 追求沒有殘酷沒有殺戮, 到達文化藝術境界, 創造美麗無比的中國武術. 因此在這美麗無比的中國本土武術片裏, 所謂傾城傾國的絶世佳人堂堂占領王子之位, 君臨天下.

참고문헌 (4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가라타니 고진, 역사와 반복 , 조영일 옮김, 도서출판 b, 2008. 미소장
2 김광억 외 지음, 종족과 민족: 그 단일과 보편의 신화를 넘어서 , 아카넷, 2005. 미소장
3 김영순 외, 패러디와 문화 ,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5. 미소장
4 김한규, 천하국가(天下國家), 전통 시대 동아시아 세계 질서 , 소나무, 2005. 미소장
5 노스럽 프라이, 비평의 해부 , 임철규 옮김, 한길사, 2004(2000). 미소장
6 다이진화(戴錦華) 지음, 무중풍경: 중국영화문화 1978-1998 , 이현복․성옥례 옮김, 산지니, 2007. 미소장
7 다이진화(戴錦華) 지음, 숨겨진 서사: 1990년대 중국대중문화 읽기 ,오경희․차미경․신동순 옮김,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6. 미소장
8 레이 초우, 원시적 열정: 시각, 섹슈얼리티, 민족지, 현대중국영화 ,정재서 옮김, 이산, 2004. 미소장
9 로버트 랩슬리․마이클 웨스틀레이크 지음, 현대 영화이론의 이해 ,이영재․김소연 옮김, 시각과 언어, 1995. 미소장
10 루샤오펑 지음, 역사에서 허구로 , 조미원․박계화․손수영 옮김,길, 2001. 미소장
11 문현선, 무협 , 살림, 2004. 미소장
12 박진, 장르와 탈장르의 네트워크들: 탈근대의 서사와 담론 , 청동거울, 2007. 미소장
13 슈테판 크라머 지음, 중국영화사 , 황진자 옮김, 이산, 2000. 미소장
14 아리스토텔레스, 시학(詩學) , 천병희(千丙熙) 역, 문예출판사(文藝出版社), 1993(1976). 미소장
15 앤드류 에드거․피터 세즈윅 엮음, 문화 이론 사전 , 박명진 외 옮김, 한나래, 2006. 미소장
16 움베르토 에코, 기호학 이론 , 서우석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02(1985). 미소장
17 이와부치 고이치, 아시아를 잇는 대중문화: 일본, 그 초국가적 욕망 ,히라타 유키에․전오경 옮김, 또 하나의 문화, 2004. 미소장
18 정성호, 화교 , 살림, 2004. 미소장
19 클리퍼드 기어츠, 문화의 해석 , 문옥표 옮김, 까치글방, 1998. 미소장
20 팀 에덴서,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 정체성 , 박성일 옮김, 이후, 2008. 미소장
21 폴 리쾨르, 시간과 이야기 1: 줄거리와 역사 이야기 , 김한식․이경래 옮김, 문학과지성사, 2001(1999). 미소장
22 Chinese Pop Culture in the 1990s: The Analysis of Drama ‘Ambition’ 소장
23 An Analysis of Literary Quotation from the Parody Point of View ― Focus on the Lishangyin(李商隱)´s 『Yunyumeng(雲雨夢)』 Literary Quotation 소장
24 펑샤오깡(馮小剛) 영화를 통한 상업영화 연구 소장
25 Interview with Mo Yan(莫言) by Fujii Shozo(藤井省三) 네이버 미소장
26 박희성, 「백화제방(百花齊放)의 시기에 접어든 중국 영화에 대한 고찰」, 씨네포럼 Vol.11, 2010. 미소장
27 중국의 희곡영화에 관한 一考 소장
28 An Insightful and Dangerous Approach to the Martial Arts Genre in Zhang Yimou’s Films 소장
29 장예모 영화와 중국 전통사회 소장
30 세계화를 향한 중국영화의 새로운 징후 : 張藝謀의 <英雄>을 중심으로 소장
31 임대근, 「중국을 보는 시선: ‘중화의 영화(榮華)’ 꿈꾸는 영화(映畵)… 이데올로기 작품이 주도」, 경향신문 , 2008년 8월 12일자. 미소장
32 장정아, 「홍콩인: ‘국제도시의 시민’에서 ‘국민’으로」, 종족과 민족:그 단일과 보편의 신화를 넘어서 , 아카넷, 2005., 미소장
33 兩岸通俗文化交流對中國大陸的影響 소장
34 주성철, 「중국 대작영화의 욕망: <와호장룡> 이후 <삼국지: 용의 부활>까지 중국 무협블록버스터 총정리」, 씨네21 통권 647호, 2008. 4. 미소장
35 한어대사전 편찬위원회 엮음(韓語大詞典編輯委員會編), 한어대사전(漢語大詞典) 제2권, 한어대사전출판사(漢語大詞典出版社),1994(1988). 미소장
36 홍상훈, 전통 시기 중국의 서사론 , 소명출판, 2004. 미소장
37 민중서림 편집부 엮음(民衆書林編輯局 編), 한한대자전(漢韓大字典) (全面 改訂 增補版), 민중서림(民衆書林), 1999(1966). 미소장
38 신화사전 편찬조 엮음(新華詞典編纂組 編), 신화사전(新華詞典) (1998年 修訂版), 상무인서관출판(商務印書館出版), 1989(1995). 미소장
39 연수성(連樹聲)․백응빙(白應聘) 주편(主編), 학생십용성어사전(學生十用成語詞典 , 북경공업대학출판사(北京工業大學出版社),1995(1994), 812쪽. 미소장
40 중국대백과전서출판사 편집부 엮음(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編輯部編) 중국대백과전서(中國大百科全書): 중국문학(中國文學)2 , 중국대백과전서출판사(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86. 미소장
41 리렌제(李連杰) 공식 홈페이지 www.jetli.com 미소장
42 중국학@센터 홈페이지 http://www.sinology.org 미소장
43 경향신문 홈페이지 http://news.khan.co.kr/kh_news 미소장
44 영화 <화피> 공식 홈페이지 http://www.huapi.co.kr 미소장
45 중국의 창 http://korean.cri.cn 미소장
46 씨네21 공식 홈페이지 http://www.cine21.com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