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기성시가지 정비를 위한 도시개발사업의 입체환지 효과 분석 / 김옥연 ; 김주진 ; 이영은 1
○ 국문요약 1
○ Abstract 1
1. 서론 2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2. 국내외 입체환지 관련 제도 및 선행연구 3
2.1. 국내 입체환지 관련 제도 동향 3
2.2. 일본의 입체환지 동향과 시사점 4
2.3. 선행연구 동향 4
3. 입체환지 적용 시뮬레이션 분석 5
3.1. 사례지구 선정 5
3.2. 시나리오 설정 및 특성 5
3.3. 환지계획 기준 설정 6
3.4. 사업성 분석 가정 7
4. 분석결과 및 효과 8
4.1. 사업성 분석 결과 8
4.2. 민감도 분석 8
5. 입체환지방식 적용 가능성 및 효과 9
5.1. 도시개발사업 활성화를 위한 입체환지 적용 가능성 9
5.2. 입체환지방식의 영향 및 효과 9
6. 결론 10
참고문헌 11
본 연구는 기성시가지 도시개발사업의 새로운 사업방식으로서 입체환지의 적용가능성을 타진하고, 다른 사업방식과의 차이점과 그 효과 등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이다. 입체환지 적용을 위해 도시개발법상의 규정을 개선하여 환지설계 기준을 수립하고, 사업성 분석 기준 등을 가정하여 특정지구의 시나리오(사업방식)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권리관계가 복잡하고 주민참여가 요구되는 기성시가지 도시개발사업 방식으로 입체환지방식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수용이나 평면환지 방식에 비해 입체환지방식은 초기 사업비용이 경감되어 공공시행자의 재무적 부담이 없으며, 적절한 환지설계로 원주민에게는 일정부분 개발이익을 발생시키고 청산금도 축소된다. 단, 부동산 시장이 침체될 경우에는 현금청산비율 증가와 분양가가 인하될 가능성이 있어 사업추진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에도 불구하고, 입체환지방식을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평가식과 개발이익 배분 등 사업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관련 세부 규정이 많으므로 입체환지방식을 위한 세부 업무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도시대학 교육프로그램의 주민역량강화 효과성 분석 : 푸른 경기 21 도시대학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김진경, 황기원 | pp.5-18 |
|
보기 |
기성시가지 정비를 위한 도시개발사업의 입체환지 효과 분석 | 김옥연, 김주진, 이영은 | pp.19-30 |
|
보기 |
입체/복합시설 외부공간을 계획하기 위한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 전문가 설문 및 면담 조사를 중심으로 | 문정인, 이상호 | pp.31-46 |
|
보기 |
한옥밀집지역에서의 지역인지 및 영역성 인식에 관한 거주자와 방문자 간 차이 분석 : 서울시 북촌한옥밀집지역을 대상으로 | 구자훈, 박청호, 김재하 | pp.47-58 |
|
보기 |
도시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구지연, 김기호 | pp.59-77 |
|
보기 |
단기 주거에서의 장소애착에 대한 연구 : 대학교 기숙사생 및 자취생을 대상으로 | 김동근 | pp.79-90 |
|
보기 |
그린캠퍼스의 구성요소에 대한 대학별 비교분석 | 조기찬, 성순택, 양승우 | pp.91-102 |
|
보기 |
일제강점기 여수의 도시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우승완, 김행범, 이석배 | pp.103-121 |
|
보기 |
스마트녹색도시 구현을 위한 소셜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도시설계 프로세스 방법론 연구 : 설계스튜디오 디자인 프로세스 실험을 중심으로 | 최윤, 김성아 | pp.123-135 |
|
보기 |
도시재생 과정에서 활용가능한 건강도시 계획지표 개발 및 전문가 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 건축, 도시 분야 전문가 설문을 중심으로 | 이경환, 김성길 | pp.137-150 |
|
보기 |
서울시 대표경관의 야간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 장미래, 신근창, 양승우 | pp.151-162 |
|
보기 |
주거환경정비사업 추진시 사업지연에 미치는 요소별 영향 분석 : 서울시 주거환경정비사업을 대상으로 | 김동현, 김세용 | pp.163-178 |
|
보기 |
TV 드라마 촬영 명소의 방문요인 분석 : '제빵왕 김탁구' 드라마 촬영지를 중심으로 | 박태원, 이명철 | pp.179-19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토해양부 2009, “도시개발법‧시행령‧시행규칙”. | 미소장 |
2 | 국토해양부 2009, “도시개발업무지침”. | 미소장 |
3 | 국토해양부 2009,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 미소장 |
4 | 국토해양부 2009,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시행령‧시행규칙”. | 미소장 |
5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ree-Dimensional Land Reallocation System of Application i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 소장 |
6 | 김주진 외 6인 2009, “도시개발사업의 입체환지 적용 방안 연구”, 주택도시연구원 . | 미소장 |
7 | 서울시 2009,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조례”. | 미소장 |
8 | 이동훈 2005, “도시개발법과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의 비교연구-입체환지방식과 관리처분방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이영은ㆍ김옥연ㆍ조승연 2007, “주거환경개선사업에서의 입체환지방식의 타당성 분석”, 주택도시연구원 . | 미소장 |
10 | 이영은 외 3인 2006, “택지개발사업지구에서의 절충식 환지기법 적용 방안”, 주택도시연구원 . | 미소장 |
11 | 기성시가지 정비를 위한 입체환지방식의 도입 | 소장 |
12 | 조승연ㆍ김옥연, 2008, “기성시가지 정비를 위한 입체환지 수법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 9권, 4호, pp.213-23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