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근대도시 수원의 산업적 변화와 특징 / 김인호 1
1. 들어가며 : 두 개의 계기에 대하여 1
2. 지주제는 강화되고, 전통수공업만 잔존하고 3
1) 소작농만 퇴적되는 수원 3
2) 영세 수공업만이 일자리의 모든 것 8
3. 1930년대, 토착시장을 바탕으로 11
1) 부업 중심 직물업 11
2) 전통 공업의 성장 14
3) 축우교환 시장에서 공산품 시장으로 16
4. 전쟁 특수를 안고 19
1) 전쟁과 직물업의 성장 19
2) 적산 선경직물의 향방 29
5. 나오며 : 지주제가 강한 곳에 조선인 자본가도 튼튼했다. 34
국문초록 37
Abstract 39
〈그림 1〉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해방 직후 한국소재 일본인 자산 관련 자료』, 139쪽(General Headquarters 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 『Japanese External Assets as of August 1945』(volume1), 1948.9.30, p.106). 30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수원(水原)의 지명 및 관할구역의 변천과정 | 이재범 | pp.5-34 |
|
보기 |
조선시대 수원의 상무전통과 '무향(武鄕)'의 형성 : 17세기 방어사와 총융청의 설치를 중심으로 | 정해은 | pp.35-70 |
|
보기 |
정조시기 읍치 이전(移轉)과 수원지역의 사회·경제적 변화 | 이정일 | pp.71-123 |
|
보기 |
근대도시 수원의 산업적 변화와 특징 | 김인호 | pp.125-164 |
|
보기 |
역사문화도시 수원의 성장특성과 향후 도시정책 방향 | 이창수 | pp.165-202 |
|
보기 |
일제강점기 이병헌의 생애와 민족운동 | 성주현 | pp.203-227 |
|
보기 |
수원의 여성 독립운동가 이선경과 이현경 | 한동민 | pp.229-259 |
|
보기 |
洪承河의 전도활동과 민족운동 | 박환 | pp.261-301 |
|
보기 |
일제하 전시체제기 수원예술호연구락부의 활동과 역사적 성격 | 박철하 | pp.303-335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