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일반적인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 가족건강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1, 2, 3학년을 대상으로 2010년 11월 3일-11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00부를 배부하여 부실자료를 제외한 858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은 아홉 가지 가족건강성 하위영역 중 가족에 대한 존중이 3.59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감사와 애정정서, 가족 간 문제해결능력, 가족 경제적 안정, 역할의 충실도, 유대의식, 긍정적 의사소통과 가치관목표공유의 순이었고, 사회와의 유대의식은 2.90으로 가장 낮았다. 총 가족건강성은 3.36으로 중간 정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 중 관여성이 3.4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성향성, 독립성, 타협성의 순이었으며, 결정성이 2,75로 가장 낮았다. 총 진로성숙도 점수는 3.05이었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은 여학생이, 인문계고교 학생이, 부모와 본인 종교가 있을 경우, 부모의 학력이 대체로 높은 경우, 부모의 결혼유형은 초혼인 경우, 경제수준이 상인 경우, 부모결혼기간은 길수록,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 친조부모와 외조부와는 비동거시, 부모의 직업이 전문직인 경우 가족건강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어머니나 본인의 종교가 없거나 불교인 학생이, 부모의 학력이 대졸인 경우, 부모의 결혼유형이 초혼이거나 재혼인 경우, 경제수준이 중간 이상인 경우, 부모결혼기간은 11년-30년 사이인 경우, 부모와 동거하는 학생이, 친조모와 외조부와 동거하지 않는 학생이, 부모의 직업이 전문직인 경우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다섯째, 가족건강성에 따른 진로성숙도가 하위영역에서는 다소 상반된 결과를 보였지만 가족건강성은 총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어서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관여성과 성향성에서 그 효과는 더욱 명백하였다. 반면 조사대상 학생의 평균점수가 중간점수 미만이었던 결정성과 타협성은 가족건강성이 낮은 학생에게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독립성은 가족건강성이 높은 학생이 가장 낮았고 가족건강성이 중간인 학생이 가장 높았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mily strength and career maturity,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family strength,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as subjects. A total of 1,0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85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respect to general tendency of family strength and career maturity, the score of family respect was the highest, 3.59, followed by 3.56 of gratitude and affection, 3.54 of problem shooting ability, economic stability, faithfulness to role, emotional bond, positive communication and goal sharing. The score of emotional bond with society was the lowest, 2.90. The score of family strength was 3.36, which was the intermediate level. As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the score of relevancy was 3.40, and that of tendency was 3.17, followed by that of independence and compromise. The score of determination was the lowest, 2,75. A total score of career maturity was 3.05.
Family strength was marked highly by the girls students studying humanities, and religious ones. Those whose parents have high education and no-divorce background also showed high scores.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economic levels and long-married par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high school students with poor economy levels and single parents. Students with parents who have professional jobs also marked high scores.
Career maturity degree as a background variab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llowing cases: In terms of religious background, students whose mother are buddhists or atheists marked high scores. High scores were marked by those whose parents have higher education and no-divorce background. High school students from middle class and over and long-married parents showed higher career maturity degree than high school students with poor economy levels and single parents. Students with parents who have professional jobs also marked high career maturity degree.
While career maturity degree, which is subjected to family strength, showed very different results when analysed with 5 sub-variables. As family strength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to career maturity degree, higher family strength showed higher career maturity degree. Especially, in the areas of relevance and tendency of career maturity degree, the effects of positiveness was clearly high.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청소년의 전통 의생활 문화 인식 고취를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1학년 '가정생활 문화의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 반윤자, 김남은, 이혜자 | pp.1-17 |
|
|
가족탄력성, 자기결정성, 진로결정 몰입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이지혜, 이재신, 류진숙 | pp.19-34 |
|
|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 애착과 자동적 사고의 관계 | 이영화, 임정하 | pp.35-48 |
|
|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 진로교육 관심단계와 실행수준 및 실태 : CBAM 모형에 기초하여 | 최민지, 박미정, 채정현 | pp.49-65 |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1학년도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운영 실태와 가정과 교사의 인식 | 조재순, 김상미, 강소정 | pp.67-85 |
|
|
동기 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청소년의 성과 친구관계' 단원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한주, 채정현 | pp.87-103 |
|
|
인문계와 가사·실업 전문계 고등학생의 '성공적인 노후생활 준비교육'을 위한 가정과 수업의 적용과 효과 :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과 강의식 수업을 중심으로 | 이종희, 조병은 | pp.105-124 |
|
|
가정과 교사들이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과 가정과 교사들의 수업문화 | 권기영, 이기영, 이수희 | pp.125-141 |
|
|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양남희, 홍은실 | pp.143-15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Family Strengths and Ego-Resilience of School-Aged Children | 소장 |
2 | 권미희 (2003).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존 중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Family Strength and Self-Esteem Perceived by Adolescent Children | 소장 |
4 | 권용미 (2003).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진로태도 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교육인적자원부 (2007). 교육과정해설. | 미소장 |
6 | 김길정 (2003).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공 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명자 (2004). 부모와 대학생자녀의 가족생활에 관한 가치의식 과 가족건강성 연구.한국가족학회지 9(3), 55-80 | 미소장 |
8 | 김미영 (2006).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의 자아 존중감 및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영인, 노경주, 정철영 (2006). 청소년 진로 및 학업지도. 서울: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0 | 김진희 (1989). 부모-청소년 간 의사소통과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 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김충기 (1996). 미래를 위한 진로교육-자기성장을 위한 합리적 접 근-. 70-75, 서울: 양서원. | 미소장 |
12 | 김현옥 (1989).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건 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박소영 (1995).청소연이 지각하는 가족응집성이 스트레스에 미치 는 영향. 영안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4 | 송경희 (2004). 중학생이 지각하는 가족의 건강성과 가족의식에 관한 연구: 제주도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송영준 (2002).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신미자 (2002). 자아정체감과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 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 미소장 |
17 | The Money Spending Styles and Money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Family Strengths of Adolescents | 소장 |
18 |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 소장 |
19 | 어은주 (1996). 한국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연구-자녀 교 육기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양순미 (2003). 건전가정육성을 위한 가족복지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45-63. | 미소장 |
21 | Difference in Adolescent's Academic Motivation by Family Strengths and Parent's Expectation Styles | 소장 |
22 | A Survey on the Elements of Strong Families -Focusing on Family Systems and Family Strengths- | 소장 |
23 | 유영주 (1991). 건전가정 육성을 위한 가족복지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45-63. | 미소장 |
24 | 유영주 (1994). 가족건강을 위한 가족원의 역할. 제16차 한국아동 학회 총회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 미소장 |
25 | 건전가정과 건강가족의 개념 설정에 대한 논의 | 소장 |
26 | 유영주 (2001). 건강가족연구. 서울: 교문사. | 미소장 |
27 | 유영주 (2002). 건강가족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생활과학논집, 6(1), 1-24. | 미소장 |
28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Family Strengths Scale for Strengthening the Family | 소장 |
29 | 윤세은 (2000).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정 체감과의 관계-서울시 남녀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경희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윤연정 (2007). 가족건강성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 동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1 | 이동숙 (2000). 고등학생의 성격과 진로 성숙도와의 관계. 건국대 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이민영 (1997). 청소년 진로발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이정근 (1988). 진로지도의 실제. 서울: 성원사. | 미소장 |
34 | 이충국 (1998). 진로 태도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5 | 임정아 (2005). 청소년기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연구. 서울여자대 학교 기독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6 | 임정아, 이인수 (2006). 청소년기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연구. 유 아교육, 15(2), 105-122. | 미소장 |
37 | 장석민, 임두순, 송병국 (1991).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 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 미소장 |
38 | 장지연 (2005). 고등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족에 관한 교 육 요구도 및 가족건강성.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39 | 정미란 (2005).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삶의 의미 및 진로성숙도 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0 |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41 | 최선희 (1999). 한국인의 가족 건강성 영역에 관한 연구. 연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최송희 (2006). 실업계고교생의 진로선택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3 | 한영준 (2006). 고등학교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공주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4 | 허봉렬 (1996). 건강한 가족이란 어떤 가족인가?. 제3회 가정의 날 기념행사. 한국건강가족실천운동본부. | 미소장 |
45 | 허봉렬 (1997). 건강가족 실천 운동의 방향과 과제. 건강가족상 적립을 위한 워크샵. 한국건강가족실천운동본부. | 미소장 |
46 | Analysis of Influential Variables on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Self-Identity - | 소장 |
47 |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 |
미소장 |
48 | Crites, J.O. (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Book Co. | 미소장 |
49 | Crites, J.O. (1978).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Monterey, California: CTB/ McGraw-Hill. | 미소장 |
50 | Crites, J.O. (1981). Career Counseling: Models, Methods and Materials. New York: McGraw-Hill Book Co. | 미소장 |
51 | Roe, A. (1956). The Psychology of Occupations. New York: John Wiley. | 미소장 |
52 | Olson, D.H., & DeFrain, J. (2003). Marriage and Families-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 New York: McGraw-Hill, Company. | 미소장 |
53 | Otto, H.A. (1962). What is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 77-80. | 미소장 |
54 | Super, D.E. (1955).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57. | 미소장 |
55 | Super, D.E. (1957).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and Row. | 미소장 |
56 | Tolbert, E.L. (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Houghton Mifflin. | 미소장 |
57 | MBN 뉴스, 2011. 12. 14. http://mbn.mk.co.kr/pages/news/ newsView.php?category=mbn00003news_seq_no=113577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