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결합개발방식 적용 사례 고찰 및 정책적 시사점 / 김주진 ; 송영현 ; 김옥연 1

목차 1

I.서론 2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2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2

3. 선행연구 고찰 4

II. 결합개발제도 운영 현황 4

1. 결합개발방식의 법적 적용 근거와 주요 내용 4

2. 결합개발방식 시행 관련 세부 규정 6

3. 광의적 결합개발제도로서 지역종합개발사업제도 운영 현황 7

III. 결합개발방식 적용 사례 고찰 9

1. 사례지역 사업추진 개요 9

2. 결합개발 추진특성 10

lV. 정책적 시사점 16

1. 결합개발 목적의 명확화 16

2. 결합개발의 법적 근거 확보 및 의견 수렴 절차 등의 보완 16

3. 결합정비구역 선정기준과 사업방식의 보완 17

4. 결합개발 인센티브의 효과 제고 및 다양화 17

V. 결론 18

참고문헌 19

Abstract 20

초록보기

본 연구는 결합개발방식의 적용 사례 - 이문3구역, 해방촌지역, 원미6B구역, 광명 llR구역 - 추진실태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결합개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코자 하였다. 사례지역의 고찰 결과, 결합개발의 검토배경과 적용 목적은 대동소이하나, 결합개발 적용방안을 결정해가는 의견수렴과정의 특성이나 결합대상 구역 간의 개발여건, 정비사업의 시급성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참여의지 등에 따라 지자체와 주민 간의 갈등유발 혹은 원활한 사업추진 여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도현황 및 사례고찰을 토대로 도출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결합개발의 공익성이 일차적으로 대상구역 주민의 편익과 직결될 필요가 있다. 둘째, 결합대상구역의 선정과정에서 주민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법적 근거가 명확한 구역을 우선 적용하고, 결합개발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토대로 주민의견을 수렴해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셋째, 결합개발대상구역의 지정요건은 도시계획 여건뿐 아니라 해당 커뮤니티의 사회적·경제적 특성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끝으로 결합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수익사업구역이 참여할 수 있도록 그에 상응한 인센티브 제고가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선후기의 주거관과 이상적 거주환경 논의 : 건강장수도시의 한국적 원형 탐구를 위한 문헌 고찰 최원석 pp.3-27

보기
Lesson from businesses preparedness, response, and planning : natural disaster experience in Texas Hyun Kim, Hyun Woo Kim pp.29-45

보기
세력권 방식의 공간적 연관성을 이용한 인구분포 변화 분석 김호용 pp.47-61

보기
미혼 직장여성의 네트워크거주 실태분석 최정민, 박영미 pp.63-82

보기
내생적 경제성장모형을 활용한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적정성의 평가 류덕현 pp.83-97

보기
주택자산이 가구의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선택에 미치는 영향 임미화, 정의철 pp.99-114

보기
서울 오피스 NOI 증가율과 위험프리미엄 조정과정에 관한 연구 민성훈, 고성수 pp.115-129

보기
공간회기분석을 활용한 통행발생모형 추정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진창종, 이향숙, 추상호 pp.131-143

보기
임대주택사업의 사업성 분석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국민임대주택사업을 중심으로 유성호, 이용범, 유선종 pp.145-162

보기
저스트성장(Just Growth) 특성을 고려한 지역발전 유형 분석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양광식 pp.163-181

보기
토지 합병을 통한 국공유지 관리의 효율화 방안 : 청주시의 공공용지 합병을 사례로 조영태 pp.183-202

보기
비도시지역 개발행위허가제 운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강화군을 사례로 이왕기, 정승현 pp.203-225

보기
도시홍수조절을 위한 공동주택단지 내 빗물운영기법 도출 : 독일사례를 중심으로 김원현 pp.227-244

보기
지식외부효과가 임금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일자리 수준 변수를 이용한 다층적 모형의 설계 조성철, 임업 pp.245-260

보기
교외간선도로의 차두시간 분포에 대한 사례 연구 박창수, 장진환 pp.261-270

보기
해외건설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김명수 pp.271-281

보기
결합개발방식 적용 사례 고찰 및 정책적 시사점 김주진, 송영현, 김옥연 pp.283-302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