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우리나라 베트남 참전군인의 사망률을 같은 연령대의 우리나라 남자전체인구 사망률과 비교하여 베트남참전이 참전군인의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고엽제노출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살펴본다.
방법: 185,760명의 베트남 참전군인에 대해 1992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사망여부를 추적하였다. 사망추적은 통계청의 사망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사망원인 분류는 통계청의 일반사망 19개 장 분류와 요약 분류 103개 항목을 기본으로 하였다. 참전군인의 보통사망률과 연령조정사망률, 표준화사망비와 사망비의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1992-2005년 우리나라 36-83세 남자인구를 표준인구로 하였다.
결과: 참전군인의 사망의 모든원인의 보통사망률은 10만명당 780.2명, 연령조정사망률은 868.1명이었다. 1992-2005년간 우리나라 36~83세군의 보통사망률은1226.5명이었다. 사망의 모든 원인 사망률은 전체인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SMR=0.83, 95% CI: 0.82~0.84). 신생물(SMR=0.87), 순환계통질환(SMR=0.79),사망의외인(SMR=0.92)도 사망률이 전체인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참전군인의 사망건수가 많아 통계적 검정력이 있는 사망원인 중에서 자살, 사고성중독, 피살 등 일부 사망의 외인과 다발성골수종, 백혈병, 비호지킨림프종 등 조혈계신생물, 전립샘암, 협심증, 만성허혈심장질환 등에서 참전군인과 일반인구 사망률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참전군인의 사망률은 일반인구보다 낮았고, 이는 건강제대군인효과(Healthy veteran effect)으로 설명 할 수 있다. 건강제대군인효과를 고려할때, 사망건수가 많으면서 참전군인과 일반인간에 차이가 없는 사망원인들이 고엽제 또는 베트남 참전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90%의 참전군인들이 생존해 있으므로, 계속적인 사망추적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A total of 320,000 Korean soldiers in three combat units and four supporting units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Vietnam experience and mortality by comparing mortalities in Korean Vietnam War veterans to the general population.
Methods: The deaths of 185,760 Vietnam veterans from January 1, 1992 to December 31, 2005 were confirmed by matching the veterans' information to death records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rude death rate, age adjusted rate and Standardized mortality ratios (SMRs) were calculated 95% confidence. Age was standardized to the total male population during 1992-2005 with the age of 36 to 83 years old.
Results: The age adjusted death rate per 100,000 was 868.1 among veterans and 1226.5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Mortality of all causes was significantly lower among veterans (SMR=0.83, 95% CI: 0.82-0.84). Mortalities from neoplasms (SMR=0.87), circulatory diseases (SMR=0.79), and external causes of deaths (SMR=0.92) were significantly lower among veterans. Mortalities from several external causes of deaths including Intentional self-harm (X60-X84), assault and accidental poisoning, angina pectoris, chronic ischemic heart diseases, prostate cancer, and malignant neoplasms of hematopoietic system including multiple myeloma, non-Hodgkin's lymphoma, and leukemia were not different between veterans and the general population.
Conclusions: Mortality among Vietnam veterans was lower than that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It would be explained mainly by healthy veteran effect.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직업성 암의 최신 지견 | 안연순 | pp.235-252 |
|
|
서울 일부 지역 고령자들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가 심박동변이에 미치는 영향 | 서정철, 강모열, 조수헌, 임연희, 김진희, 손종렬, 홍윤철 | pp.253-260 |
|
|
직무스트레스와 hsCRP와의 관계 | 이종헌, 장태원, 권영준, 김용규, 유상철, 김인석 | pp.261-269 |
|
|
고속버스 운전직 근로자들의 고혈압과 생활습관 행태와의 관계 | 이진우, 이남수, 이경재, 김주자 | pp.270-278 |
|
|
베트남 참전군인의 사망양상 | 이상욱, 오희철 | pp.279-286 |
|
|
직장 내 물리적, 화학적 유해인자 노출과 정신건강 문제의 관련성 | 조기옥, 박태준, 오재일, 백도명, 박정선, 조성일 | pp.287-297 |
|
|
전국표본조사를 통한 근골격계 부담 작업과 작업 관련 요통의 연관성 연구 | 오재일, 유동현, 백도명, 박정선, 조성일 | pp.298-308 |
|
|
노인인구에서 카드뮴과 인지기능의 상관성 | 강모열, 조수헌, 임연희, 김진희, 배상혁, 홍윤철 | pp.309-316 |
|
|
소규모 주물공장 근로자의 폐기능 | 김세영, 김정일, 정지현, 최석환, 정갑열 | pp.317-323 |
|
|
조선소 근로자들의 폐기능 관련 요인 | 박미희, 서춘희, 이채관, 손병철, 김대환, 김정호, 이종태 | pp.324-332 |
|
|
반도체 웨이퍼 가공 공정 및 잠재적 유해인자에 대한 고찰 | 박동욱, 변혜정, 최상준, 정지연, 윤충식, 김치년, 하권철, 박두용 | pp.333-342 |
|
|
반복적인 접촉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한 키엔벡병 사례 | 김철주, 주영수, 임형준, 방예원, 권영준 | pp.343-349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 Proposal of Study Designs and Methods for Evaluating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Agent Orange among Korean Vietnam Veterans | 소장 |
2 | Institute of Medicine. 1994. Veterans and Agent Orange: Health Effects of Herbicides Used in Vietna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 미소장 |
3 | The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and National Development. (translated by YI SW) Institute for National Defence and Military History. Seoul. 1996. pp 329-31. (Korean) | 미소장 |
4 | A Study o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and defoliant sprayed by the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during Vietnam War. Kyonggi University. Suwon. 2009. pp 1-4. | 미소장 |
5 | An Epidemiologic Study on the Adverse Health Effect of Agent Orange.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Seoul. 2001. pp 1-2. (Korean) | 미소장 |
6 | Act on care of people with diseases associated with Agent Orange exposure. (translated by YI SW) Available: http://www.law.go.kr/ [cited 10 May 2011]. | 미소장 |
7 | 120,000 Vietnam Veterans are weeping in Korea. (translated by YI SW) Available: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670308” [cited 10 May 2011]. | 미소장 |
8 | Postservice mortality in Vietnam veterans: 30-year follow-up. ![]() |
미소장 |
9 | Mortality Patterns of Army Chemical Corps Veterans Who were Occupationally Exposed to Herbicides in Vietnam ![]() |
미소장 |
10 | Health status of Air Force veterans occupationally exposed to herbicides in Vietnam. II. Mortality. ![]() |
미소장 |
11 | Military service in Vietnam and the risk of death from trauma and selected cancers. ![]() |
미소장 |
12 | Mortality among Army Chemical Corps Vietnam veterans ![]() |
미소장 |
13 | Australian Vietnam Veterans Mortality Study 2005. Canberra: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2005. | 미소장 |
14 | Mortality of Vietnam veterans: the veteran cohort study. A report of the 1996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Australian Vietnam veterans. Canberra: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1997. | 미소장 |
15 | Modern epidemiology. 2nd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1998. pp 260-4. | 미소장 |
16 | Postservice Mortality Among Vietnam Veterans ![]() |
미소장 |
17 | Institute of Medicine. 1994. Veterans and Agent Orange: Health Effects of Herbicides Used in Vietna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 미소장 |
18 | Institute of Medicine. 2003. Veterans and Agent Orange: Update 2002.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 미소장 |
19 | Cancer mortality in a cohort of licensed herbicide applicator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2004; 77:293-5. | 미소장 |
20 | Institute of Medicine. Veterans and Agent Orange: Update 200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8. pp 7-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