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 A도청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 문현미 ; 신윤희 1
〈요약〉 1
I. 서론 2
1. 연구의 의의 2
2. 연구 문제 4
II. 연구 방법 4
1. 연구 대상 4
2. 연구 절차 5
3. 연구 도구 7
4. 자료 수집과 분석 10
III. 연구 결과 11
1. 공공기관 사이트의 접근성 준수실태 11
2. 공공기관 사이트의 개선 및 요구사항 분석 16
IV. 결론 19
참고문헌 21
〈Abstract〉 22
본 연구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 2.0)에 따라 장애인 사용자가 평가한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준수 실태를 알아보고, 이들이 가진 개선 및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를 가진 6명의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수정된 항목으로 구성된 KWCAG 2.0을 이용하여 550개의 웹 페이지를 점검하였으며, 15개의 과제수행을 통해 장애인 웹 사용자의 입장에서 접근성이 용이한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영역별 공공기관 홈페이지 준수실태는 모든 지표에서 90% 이상 준수되고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 중심의 수행과제에서는 준수실태와 달리 일부분 접근이 어렵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형식적인 측면을 넘어 내용의 전달에 중점을 맞춘 질적 측면의 개선을 고려해 달라는 요구가 공통적이었으며, 장애영역과 장애수준을 고려한 항목이 현재 준수지침에 추가적으로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urrent conditions and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web accessibility on the public institution’s web-site using the KWCAG 2.0. The participants were 6 (2 users with visual disability, 2 users with hearing disability, 2 users with physical disability) as a web-user. 550 web pages were reviewed by the participants using the checklist revised KWCAG and task-list for web-user. All of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d Likert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wo things.
First, the accessible rate was high over 90% in the subscales of KWCAG 2.0. However, the task-list rate was different, reporting they had some difficulties for assessing some of pages. Second, Main needs by the participants was easy understanding of context beyond checklist’s accomplishment.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checklist focusing on web developer needs to take complimentary items focusing on web user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민규 (2009). 장애인의 웹 접근성 평가도구 개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 미소장 |
2 | The Current Status and Strategies for Improvement on Web Accessibility of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 소장 |
3 | The Study on the Web Accessibility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 소장 |
4 | 나은주 (2005). 저시력 장애인의 웹 디자인 접근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 미소장 |
5 | 박성수 (2009). 국내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 및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 미소장 |
6 | 박지영 (2010). 저시력 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 미소장 |
7 |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applying Universal Design Principles for Cerebral Palsy Student"s Enhancement of Web Accessibility | 소장 |
8 | 이명희 (2006).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실태조사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 미소장 |
9 | 정보통신부 (2004).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TTAS.OT-10.0003). | 미소장 |
10 | 정보통신부(2005).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한국정보통신표준(KICS.OT-10.0003). | 미소장 |
11 | 정보통신부 (2009).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TTAK.OT-10.0003/R1): 단체표준. | 미소장 |
12 | 정보통신부 (2010).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KICS.OT-10.0003/R1): 국가표준. | 미소장 |
13 | 홍경순 (2009). 특수교육기관을 위한 웹 접근성 제고 방안. 새 시대로 도약하는 2009년 특수교육의 비전, 115-135. | 미소장 |
14 |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a). 2005 웹 접근성 실태조사. | 미소장 |
15 |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b). 웹 접근성 평가프로그램 KADO-WAH 사용자 가이드. | 미소장 |
16 |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2006 웹 접근성 실태조사. | 미소장 |
17 | 행정안전부 (2009). 장애인을 위한 전자정부서비스 획기적 개선.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 미소장 |
18 | Accessible Website Content Guidelines for Us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
미소장 |
19 | W3C Recommendatio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Dec, 200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