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투자자보호법제로서의 한국 자본시장법과 일본 금융상품거래법에 대한 고찰 / 강영기 1

I. 들어가며-투자자보호를 위한 법제개혁의 시대 1

II. 한국의 자본시장법의 개요 3

1. 자본시장법의 제정배경과 의의 3

2. 자본시장법상의 투자자보호제도 8

3. 투자자보호법제로서의 문제점과 향후과제 12

III. 일본의 금융상품거래법의 개요 13

1. 금융상품거래법의 제정배경과 의의 13

2. 금융상품거래법상의 투자자보호법리 20

3. 금융상품거래법의 문제점과 향후과제 22

IV. 맺음말-진정한 투자자보호를 위하여 24

♣ 참고문헌 26

〈Abstract〉 28

초록보기

 The capital market law of Korea and the financial goods transactions law of Japan become, with regulation reform and investor protective reinforcement of capital market, as investor protective laws of step forward one form more and faithfully is evaluated they do. Of course, compares hitherto and the fact that the part which is an investor protection is strengthened is fact. By the way, the investor discusses one capital market relation laws at prerequisite, the part which is a laws for an investor protection being emphasized encounters, but fact, almost there is not discussion about the investor protection which is genuine. Anyway, as the tendency whose is general to understand with investor preservation law, there is a possibility of doing about the capital market relation laws including a Financial Services Act. Of course, banking system reform mainly the reform of the financial institution is most. So, I think that the protection of the common people who includes the consumer as the investor being well discussed is difficult. Consequently, emphasizes an investor protection mind oneself will be able to sympathize. But sees in historical experience and, capital market bringing the situation of bubble economy even when but, the case where the bubble condition collapses must remember a fact to drive absurd unhappiness, comes. Collapse of bubble economy becomes unemployed, crime, to become one of cause of warfare etc., also is damaged the private citizen is many. The investor, is not as only the relative person of transactions, as one person of the citizen is to be damaged huge. By the way, when discussing an investor protection, the protection of one investor is discussed transactions relationship of the financial investment goods with a prerequisite generally. But that thinks that the discussion of different dimension is necessary. The investor protective principle of law, could be formed well from only under the situation where the principal part of financial system what, is well maintained. Namely, first of all, provides all information which are necessary to an investment judgment and the competition which is fair is guaranteed, the market system is necessary. And, for the maintenance of such system from the financial brokerage voluntary contribution is necessary. Then automatically is connected with the investor protection which is substantial. Actually, about investor protection only institutional maintenance situation sees, but in the investor protective concept which departs from a private autonomous principle, the investor protective principle of law which is substantial exists, is difficult. Therefore, the precondition sufficiency for an investor protection at prerequisite, must discuss the investor protection which is genuine the thing, rightly is basic recognition of capital market legal logic. Consequently, to the case which discusses an investor protective laws, there is a necessity which will escape from hitherto transactions legal recognition. And, must convert with capital market legal recogni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資本金 制度上 債權者 保護의 法的 課題 金淳錫 pp.9-52

보기
기업분할형 구조조정과 채권자보호의 정합성 송옥렬 pp.53-73

보기
LBO(Leveraged Buyout)와 채권자보호에 대한 검토 김병연 pp.75-98

보기
미국법상 S 주식회사제도에 관한 소고 金洸祿 pp.99-116

보기
의결권 행사의 전자화와 그 활성화를 위한 법적 과제 정승화 pp.117-155

보기
株式會社의 會計監査制度에 관한 硏究 徐聖浩, 李在云, 金晋煥 pp.157-183

보기
자금조달 수단으로서 Crowdfunding에 관한 법적 연구 윤민섭 pp.185-226

보기
투자자보호법제로서의 한국 자본시장법과 일본 금융상품거래법에 대한 고찰 강영기 pp.227-256

보기
스마트그리드 사업과 개인정보보호 : 스마트그리드 거버넌스의 제안 박훤일, 윤덕찬 pp.257-281

보기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자본시장 통합법의 제정 배경과 향후 전망 소장
2 황인덕, 자본시장통합법의 영향 및 과제, 한국기업평가, vol.19, No.2, 통권 227, 2006. 미소장
3 새로운 투자자보호법제로서의 자본시장통합법 소장
4 자본시장통합법의 특징과 향후 전망 소장
5 자본시장의 글로벌화, 자본시장통합법 소장
6 서영미, 자본시장통합법 시대의 개막과 그 의미, 월간 하나금융, No.222, 2009. 미소장
7 김동환, 자통법이 은행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컴퓨터월드, 통권 289호, 2007. 미소장
8 김상조, 자본시장통합법과 투자자보호, 기업지배구조연구, vol. 24, 2007. 미소장
9 맹수석, 자본시장통합법상 금융투자자보호제도의 문제점과 예금보험제도의 개선방안, 「금융안정연구」, 제9권 제2호, 2008. 미소장
10 Investor Protection in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 Act 소장
11 (가칭)자본시장통합법과 소비자보호법의 접점 : ''금융소비자''의 보호 소장
12 자본시장통합법에 대한 해석과 법리의 고찰 소장
13 맹수석, 자통법상 투자권유단계에서의 투자자보호, 「투신」 제69호, 2008. 미소장
14 자본시장통합법 시행과 투자자보호제도 소장
15 자본시장통합법의 경제적 의의와 과제 소장
16 松尾直彦=岡田 大=尾崎輝宏, 金融商品取引法制の槪要, 商事法務 No.1771, 2006. 미소장
17 林 康史, 英國の金融서비스法制の展開, 大藏省財政金融硏究所IFMP Discussion Paper Series No.00A-01, 2000. 미소장
18 黑沼悅郞, 金融商品取引法入門 제3판, 日本經濟新聞出版社, 2009. 미소장
19 近藤光男=吉原和志=黑沼悅郞, 金融商品取引法入門 제2판, 商事法務, 2011. 미소장
20 松尾直彦, 金融商品取引法制定の意義と今後の課題, 季刊 企業と法創造, 제4권 제3호 통권13호, 2008. 미소장
21 上村達男, 證券取引法の目的と體系, 企業會計 vol.53 No.4, 2001. 미소장
22 河村賢治, 金融商品取引法に關する一考察(上村達男=神田秀樹=犬飼重仁 編著, 金融サービス市場法制のグランドデザイン), 東洋經濟新報社, 2007. 미소장
23 神田秀樹, 金融の證券化と有價證券槪念, 商事法務, No.1187, 1989. 미소장
24 上村達男, 證券取引法の基本槪念, 企業會計, vol.53 No.5, 2001. 미소장
25 松尾直彦, 金融商品取引法の槪要と意義, 季刊 企業と法創造, 제3권 제4호 통권10호, 2007. 미소장
26 高橋洋明=矢原雅文, 金融商品取引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槪要, 商事法務, No. 1900, 2010. 미소장
27 藤本拓資, 金融 資本市場制度をめぐる現狀と展望, 商事法務, No. 1920, 2011. 미소장
28 黑沼悅郞, 投資者保護のための法執行(日本私法學會シンポジウム資料 ‘金融商品取引法の課題’), 商事法務 No. 1907, 2010. 미소장
29 姜永起, 大買收時代における資本市場法制のあり方, 와세다 대학 박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30 神田秀樹, 上場會社に關する會社法制の將來, 金融法務事情 No. 1909, 2010. 미소장
31 內藤純一, 金融商品市場・市場監視當局の現狀と今後の課題, 商事法務 No. 1812, 200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