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두만강 하류의 사구는 주로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겨울철 풍향과 일치하는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사구가 발달한 지역의 인근 두만강 하상에는 사질성의 사주와 하중도가 형성되어 있다. 단면기술과 입도특성분석으로 볼 때 연구지역 사구의 형성과정은 퇴적환경에 따라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회룡봉, 경신-원정 및 두만강변 사구는 두만강이 운반해온 충적물이 하상에 퇴적되고, 다시 바람에 의해 인근의 사주단, 단구면과 보다 고도가 높은 침식 구릉지 등에서 퇴적된 것이다. 둘째, 방천-노동자지역에서의 이동사구는 첫 번째 유형과 유사하게 형성되었지만, 정착 사구는 수중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사료된다.

The sand dunes at the lower reach of the Duman river indicate that their distribution patterns and directions conform to the dominant northwestern winter wind. On the riverbed of the Duman river at the surroundings of sand dunes form sandy point bars and mid-stream islands. The geomorphic processes of sand dun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depositional environments via analyses of the sand grain size and stratigraphic profiles. First, the sand dunes of Hoelyongbong, Kyeongshin-Wonjeong, and the riverside areas of the Duman river, have formed by alluvium of the Duman river which deposits and accumulates on the riverbed, then being wind blown to the nearby sand bars, terraces and higher eroded hills. The second type is the active sand dune of the Bangcheon-Nodongja District which develops similarly as to the formation of the first type, but the fixed sand dunes of the district seem to have formed in the underwater condi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의 지형학 연구 : 해안지형 일반 김성환 pp.1-15

태풍의 통과로 인한 해안사구 지형의 침식과 회복 최광희, 정필모, 김윤미, 서민환 pp.17-27

두만강 하류 사구지형의 특징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朱哲, 이민부 pp.29-40

대전지역에 있어서 선사·고대 유적의 입지환경 박지훈, 장동호, 김찬수 pp.41-56

한반도 남서부 나주 일대 화강암 구릉대의 적색화와 화학적 풍화 경향 김영래 pp.57-68

다중시기 위성영상과 ASTER DEM자료를 이용한 충남해안지역의 임상 변화 분석 김장수, 장동호 pp.69-81

무등산 평활사면(cryoplanation surface)의 형성시기와 분포특성 오종주, 박승필, 성영배 pp.83-97

목포 갓바위의 지형 및 지질특성과 활용 김해경, 문병찬, 고영구, 윤석태, 오강호 pp.99-108

Human responses as landscape indicators of the place vulnerability Han, Joo-Yup, Lee, Min-Boo pp.109-121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류호상, 2001, 겨울철 모래이동과 전사구의 지형변화:신두리 해안사구지대를 사례로,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Development of Coastal Sanddunes at Kimnyong-Wolchung Beach in Jejudo 소장
3 서종철, 2001, 서해안 신두리 해안사구의 지형변화와퇴적물 수지,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 우경식·유강민, 2007, 퇴적암의 이해, 한국학술정보. 미소장
5 Estimation of Soil Loss Due to Cropland Increase in Hoeryeung Northeast Korea 소장
6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hanges of Sand dune at the Lower Reach of Duman River, North Korea 소장
7 조성권·이철우·황인걸, 1995, 퇴적학, 도서출판, 우성. 미소장
8 Luminescence Dating of Coastal Dune Sequences on Wonsan Island and its Implications 소장
9 GEODERMA 네이버 미소장
10 A chronosequence of rapid leaching of mixed podzol soil materials following sand mining 네이버 미소장
11 樊·王福生, 2009, 積岩과 積相, 石油工業出版社. 미소장
12 胡思輝·袁勝元· 炬· 長安, 2006,“ 長江中 砂山의 度特徵및 古氣候環境意義”, 地質科技情報, 25(1), 35-40. 미소장
13 馬峰· ·王安平·曹林, 2004,“ 圖們江下游砂丘 度分布및 石英表面結構”, 積學報, 22(2),261-266 미소장
14 馬峰, 2002, 圖們江口附近砂丘砂의 結構와碎屑成分特徵, 吉林大學碩士學位論文. 미소장
15 馬志正·胡曉猛· 有利, 1999, “禹門口黃河東岸砂丘初步硏究”, 中國沙漠, 19(2), 184 -186. 미소장
16 曲玉溪· 立·高福洪·王安平·曹林, “2002圖們江口附近砂丘의 成因”, 海洋地質動態, 18(6), 6-10. 미소장
17 琿春市地方志編纂委員會, 2000, 琿春市志. 미소장
18 張雲翔, 1997,“ 黃河中游晩第三紀과第四紀古氣候關係初探”, 西 大學學報, 27(6), 517-520. 미소장
19 周興佳, 1987, “和田河中下流沙漠地貌”, 干旱區硏究,1, 9-22. 미소장
20 平社定夫·佐和平·堀口萬吉, 1994, “埼玉平野の河畔砂丘”, J. College Liberal. Arts Suitama.univ. 29. 121-134. 미소장
21 森山昭雄·木下芳和·濃尾平野, 1979,“ 河畔砂丘”, 愛知敎育大學硏究報告, 28, 191-20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