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생태주의로 본 보이스의 미술 / 윤희경 1
I. 서론 1
II. 심층생태학과 생태주의적 세계관 : 네스 - 베이트슨 - 가타리 2
III. 보이스 미술의 생태주의적 관점 - 연관된 생태 시스템으로서의 인간, 자연, 사회 6
IV. 생태주의 운동가로서의 보이스의 다양한 활동: 독일학생당에서 녹색당까지 11
V. 생태주의적 총체예술 18
VI. 결어 25
참고문헌 28
Abstract 30
질의 / 이현애 32
종합토론 34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중세말 문학적 상상력의 근원으로서의 시각이미지 : 단테의 『신곡』과 당대 종교미술을 중심으로 | 이은기 | pp.7-29 |
|
보기 |
다비드의 회화에 나타난 프랑스혁명의 평등사상 연구 | 박화선 | pp.31-56 |
|
보기 |
타마라 드 렘피카(Tamara de Lempicka)의 1920-1930년대 작품에 나타나는 여성 이미지 연구 : 가르손(garçonne) 이미지를 중심으로 | 이지혜 | pp.57-80 |
|
보기 |
요셉 보이스의 작업에 공존하는 기독교와 샤머니즘 연구 | 송혜영 | pp.81-108 |
|
보기 |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의 초기 구상회화에 나타나는 언어적 요소와 평면 인식에 관한 연구 | 김행지 | pp.109-143 |
|
보기 |
제프리 쇼(Jeffrey Shaw)의 뉴미디어 설치미술 : 물리공간과 가상공간 사이의 긴장 | 손부경 | pp.145-169 |
|
보기 |
Passage of demons of tool for meditation? : monstrous and deformed bodies in Hieronymus Bosch's garden of earthly delights triptych | Sohn sooyun | pp.171-198 |
|
보기 |
미국 초기 모더니즘 속의 자연과 '여성성' : 앤 브리그먼과 여성 작가들 | 조은영 | pp.199-227, 355-358 |
|
보기 |
생태주의로 본 보이스의 미술 | 윤희경 | pp.229-261, 358-360 |
|
보기 |
아나 멘디에타(Ana Mendieta) : 대지와 신체의 접점(1972-1985) | 정연심 | pp.263-294, 360-362 |
|
보기 |
통섭학으로서의 생태미술 : 생태주의 미학의 새로운 전망 | 정헌이 | pp.295-328, 362-363 |
|
보기 |
에두아르도 카츠(Eduardo Kac)의 '새로운 생태'에 관한 연구 : '바이오봇'과 유전자이식 미술을 중심으로 | 전혜숙 | pp.329-354, 363-371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Utopia bei Joseph Beuys und seine schritte zur (politischen) verwirklichung | 소장 |
2 | 송명규, 심층생태학과 사회생태학의 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한국 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적학보 제 16집, 2003, 12, pp. 45-61. | 미소장 |
3 | 요셉 보이스의 <20세기 종말> | 소장 |
4 | 가타리의 생태학적 문제제기 : 세 가지 생태학 | 소장 |
5 | Joseph Beuys: Pioneer of a Radical Ecology ![]() |
미소장 |
6 | Altenberg, Theo, Oswald Oberhuber, Gespraeche mit Beuys, Klangenfurt:: Ritter Verlag, 1988, | 미소장 |
7 | Bateson, Gregory, Step to an ecology of mind, 박대식 역, 마음의 생태학, 책세상, 2006 | 미소장 |
8 | Beckmann, Lukas, “The Cause lie in the Future”, in: Gene Ray(edit.), Joseph Beuys - Mapping the Legacy, New York: Distributed Art Publishers Inc., 2001, pp. 91-111. | 미소장 |
9 | Art, Ecological Restoration, and Art Education ![]() |
미소장 |
10 | Dagmar, Marion / Diwo, Gabriela, Gesellschaftskritische Aspekte bei Joseph Beuys, Lotar Baumgarten und Ingo Günther, Diss. Rheinischen Friedrich-Wihlems-Universität zu Bonn, 1993. | 미소장 |
11 | Beate Else, Studien zu der Installation von Joseph Beuys. Ein Beitrag zur Gegenstandssicherung, Diss. Rheinischen Friedrich-Wilhelms Universität zu Bonn, 1992. | 미소장 |
12 | Contradictory Modernities: Conceptions of Nature in the Art of Joseph Beuys and Gerhard Richter ![]() |
미소장 |
13 | Gauss, Silvia, Joseph Beuys Gesamtkunstwerk Freie- und Hansestadt Hamburg, 1983/84, Wangen/Allgäu: FIU-Verlag, 1995. | 미소장 |
14 | Guattari, Félix, Les trois écologies, 윤수종 역, 세가지 생태학, 동문선, 2003. | 미소장 |
15 | Gottwald, F.-T. / Klepsch, A. (edit.): Tiefenökologie. Wie wir in Zukunft leben wollen. München, 1995. | 미소장 |
16 | Hildebrandt, Carla, Bildung aus ökologische Perspektive - Psychodrama, Tiefenökologie und erweiterter Kunstbegriff als interdisziplinäre Impulse, Diss.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2000. | 미소장 |
17 | Kolossa, Alexandra, Das neue Bild der Natur in der zeitgenössischen Kunst, Diss. Universität Trier, 2003. | 미소장 |
18 | Mesch, Claudia, “Institutionalizing Social Sculpture, Beuys’ Office for direct Democracy”, in: Joseph Beuys, The Reader, Cambridge, MA: MIT Press, 2001, pp. 198-217. | 미소장 |
19 | Rappmann, Rainer, “Dieser nacht, in die die Menshcen...” / Petra Kelly ; Joseph Beuys, Wangen: FIU-Verlag, 1994. | 미소장 |
20 | Stachelhaus, Heiner, Joseph Beuys (English, translated. by David Britt), New York: Abbeville Press, 1991. | 미소장 |
21 | Strelow, Heike(edit.), Ökologische Ästhetik - Theorie und Praxis künstlerischer Umweltgestaltung, Berlin, 2004. | 미소장 |
22 | Stüttgen, Johannes, Zeitstau. Im Kraftfeld des erweiterten Kunstbegriffs von Joseph Beuys, Stattgart: Urachhaus Verlag, 1988. | 미소장 |
23 | Tisdall, Caroline, Joseph Beuys, New York: Thames and Hudson, 1979. | 미소장 |
24 | Tisdall, Caroline, Joseph Beuys, Coyote, München: Schirmer-Mosel, 1988. | 미소장 |
25 | Avantgarde und soziales Bewußtsein: Das Beispiel Joseph Beuys ![]() |
미소장 |
26 | Volkerm, Harlan / Rainer, Rappmann / Peter, Schata, Soziale Plastik, Materialen zu Joseph Beuys, Achber: Archberger Verlag, 1984. | 미소장 |
27 | Weber, Christa, Vom erweiterte Kunstbegriff zum erweiterten Pädagogikbegriff: Versuch einer Standortbestimmung von Joseph Beuys, Diss, Frankfurt/M, 199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