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朝鮮時代 國王胎峰의 風水的 特性 硏究 / 박대윤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大學校 奎章閣韓國學硏究院, 2012.09.30
수록지명
한국문화. 제59집 (2012년 9월), pp.227-25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2116877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朝鮮時代 國王胎峰의 風水的 特性 硏究 / 박대윤 1

1.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방법 1

2) 선행연구의 검토 3

2. 조선왕실의 태봉과 풍수이론적 배경 5

1) 안태제도와 국왕태봉의 분포 5

2) 풍수이론적 배경 9

3. 조선시대 국왕태봉의 풍수적 특성 16

1) 국왕태봉의 풍수적 분석 16

2) 국왕태봉의 풍수적 특성 27

4. 결론 31

〈Abstract〉 33

초록보기 더보기

This study was intended for analyzing Feng-Shui characteristics of Taebong (胎峯: mountaintop where placenta is buried) of King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objective and improved data from a perspective of the location of Taebong.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ll 22 Taebongs had Dol Hole(shape of risen hole) in common, and that they had changed to mountain (mountainous area) Dol Ho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had changed to plain (open field) Dol Ho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aebong of King was placed at the 1st grade mountaintop where placenta is buried, which is well equipped with Yongse (龍勢: capacity of mountains), Gukse (局勢: the place is surrounded by forward, back, left, and right mountain), Suse (水勢: capacity of water and appearance to embrace), and Hyeoljangse (穴場勢: capacity of stable space: place where vitality gather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crete Feung-Shui characteristics of Taebong, which is in between Yang Tak (a housing site of living people) and Eum Tak (grave). For the reason, it is meaningful in the respect that the study revealed the implicit value of Taebong Feung-Shui and laid the academic foundation for the analysis on location in order to offer the framework of study on Taisil.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萬國事物紀原歷史』의 성립 과정과 지식 체계의 특성 황재문 pp.3-3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전통적 역산천문학의 단절과 근대천문학의 유입 전용훈 pp.37-6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전기 도입에 의한 전통의 균열과 새로운 문명의 학습 : 1880~1905년을 중심으로 김연희 pp.65-9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高麗史』 地理志 고려초기 외관 설치 및 영속관계 편성 기사의 분석 윤경진 pp.99-138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일본 출토 고려청자의 제작시기에 대한 연구 : 카마쿠라(鎌倉) 및 큐슈(九州) 지역을 중심으로 김인규 pp.139-16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19세기 전반 평안도 지역 유배인의 성격과 유배행정 : 『平安監營啓錄』 순조대 기사 분석 심재우 pp.165-19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창조적 일탈의 상상 : 19세기 초 이규경의 하늘과 땅에 대한 사유 문중양 pp.197-22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朝鮮時代 國王胎峰의 風水的 特性 硏究 박대윤 pp.227-25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가나자와 쇼자부로(金澤庄三郞)의 「朝鮮語發音篇」에 대하여 이진호 pp.261-30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6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최호림, 1985 「조선시대 태실에 관한 일 연구」한국학논집제7호, 한양대한국학연구소, 59면. 미소장
2 신병주, 2009 「조선왕실에서 태실을 조성한 까닭」선비문화제16호, 남명학연구원, 13면. 미소장
3 세종실록권74, 세종18년(1436) 8월 8일 신미 미소장
4 태장경(胎藏經) 미소장
5 문종실록권3, 문종즉위년(1450) 9월 8일 기유 미소장
6 성종실록권73, 성종7년(1476) 11월 28일 무진 미소장
7 황영웅, 2002 風水原理講論, 동국비전, 128-132면 미소장
8 최순우, 1963 「백자정수아지씨태항」고고미술제4권 제6호, 한국미술사학회, 399-401면 미소장
9 강경숙, 1964 「이조백자태호」고고미술제5권 제8호, 한국미술사학회, 560-561면 미소장
10 이홍식, 1969 「이조전기의 백자태항」고문화제5。、6합집,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1-84면 미소장
11 윤석인, 2000 「조선왕실의 태실석물에 관한 一硏究」文化財제3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94-135면 미소장
12 심현용, 2006 「조선시대 아지태실비의 양식과 변천」미술자료제75호, 국립중앙박물관, 91-121면. 미소장
13 윤무병, 1965 「광주 원당리 태봉」고고미술제6권 제3,4호, 한국미술사학회, 46-47면 미소장
14 홍성익, 1998 「강원지역 태실에 관한 연구」강원도향토문화연구발표회, 강원향토문화연구회, 42-140면 미소장
15 심현용, 2001 「울진지역 태실에 관한 시고」고문화57,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57-194면 미소장
16 심현용, 2004 「광해군 태실에 대하여」강원문화사연구제9집, 강원향토문화연구회, 129-146면 미소장
17 홍성익, 2004 「원주시 대덕리 태실에 대하여」강원문화사연구제9집, 강원향토문화연구회, 147-157면. 미소장
18 최호림, 1985 「조선시대 태실에 관한 일 연구」한국학논집7,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59-88면 미소장
19 김 호, 2003 「조선왕실의 장태의식과 관련 의궤」한국학보제29권 제2호, 일지사, 164-199면 미소장
20 권영대 역해, 2006 국역 태봉등록,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소장
21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2,151-2,154면. 미소장
22 박천민, 1979 「조선초기 풍수지리사상의 적용」,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서삼능태실. 미소장
24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조선의 태실Ⅰ·Ⅱ·Ⅲ, 삼성문화인쇄(주). 미소장
25 박대윤·천인호, 2010 「조선 성종태봉의 풍수지리적 특징비교 :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한국학연구제33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331-363면. 미소장
26 윤석인, 2000 「조선왕실의 태실변천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박종득, 2003 「理氣風水와 形氣風水의 비교」,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8 박주헌, 2004 「胎峰의 풍수지리학적 입지특성 연구」, 대구한의대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三國史記 미소장
30 고려사 미소장
31 세종실록 미소장
32 宮田登·伊藤比呂美, 1986 女のフオークロア, 平凡社, 77-78면.(노성한, 2010 「일본민속에 나타난 태(胎)에 관한 연구」比較民俗學제42집, 비교민속학회, 255면에서 재인용) 미소장
33 성종실록 미소장
34 현종개수실록 미소장
35 태봉등록(胎峰謄錄) 미소장
36 선조실록 미소장
37 이필영, 2001 「생활사와 민속 : 민속의 지적과 변동 -출산의례 중의 안태를 중심으로-」역사민속학제13호, 한국역사민속학회, 17-18면. 미소장
38 이규상, 2003 청원지역 태실을 중심으로 한 胎室硏究, 향토문화원연합회, 366면. 미소장
39 조선왕조실록 미소장
40 선원계보 미소장
41 전주이씨대동종약원, 朝鮮의 胎室Ⅰ,Ⅱ 미소장
42 윤석인, 석사학위논문 「조선 왕실의 태실변천 연구: 서삼릉 이장 태실을 중심으로」 미소장
43 홍성익, 논문 「강원지역 태실에 관한 연구」 미소장
44 이규상, 태실연구 미소장
45 최창조, 1984 韓國의 風水思想, 민음사, 60면 미소장
46 서선계·서선술(김동규 역), 1992 人子須知, 명문당, 840면 미소장
47 撼龍經 미소장
48 明山論 미소장
49 撼龍經 미소장
50 人子須知 미소장
51 錦囊經 미소장
52 地理新法 미소장
53 靑烏經 미소장
54 憾龍經 미소장
55 疑龍經 미소장
56 雪心賦 미소장
57 地學 미소장
58 황영웅, 2002 風水原理講論, 동국비젼, 420면 미소장
59 이재영, 2009 조선왕릉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계량적 분석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면 미소장
60 疑龍經. 미소장
61 發微論 미소장
62 地理正宗 미소장
63 태조실록 미소장
64 김두규, 2005 풍수학대사전, 비봉출판사, 59면 미소장
65 성동환, 2001 「팔공산 동화사의 풍수 및 가람배치의 특징」한국지역지리학회지제7권 4호, 한국지역지리학회, 69면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